"일성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일성록의 유래)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문헌정보 | {{문헌정보 | ||
−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 일성록01. | +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 일성록01.gif |
− | |사진출처= "[http://www. | + | |사진출처= "[http://www.cha.go.kr/html/HtmlPage.do?pg=/heritage/world_heritage/record_treasure_08.jsp&mn=NS_04_04_04 일성록]", 세계기록유산,<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대표명칭= | + | |대표명칭= 일성록 |
− | |한자표기= | + | |한자표기= 日省錄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 | |이칭= | + | |이칭= |
|유형= 고서 | |유형= 고서 | ||
− | |저자= [[ | + | |저자= [[조선 정조]], [[규장각]] |
|역자= | |역자= | ||
− | |편자= | + | |편자= [[규장각]] |
|저술시기= | |저술시기= | ||
− | |간행시기= | + | |간행시기= 1760~1910년 |
|간행처= | |간행처= | ||
|간행지= | |간행지=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형태사항= | |형태사항= | ||
|표기문자= | |표기문자= | ||
− | |소장처= | + |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청구기호= | |청구기호= | ||
− | |지정번호= | + | |지정번호=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보 제153호 |
|지정일= | |지정일= | ||
}} | }} | ||
==정의== | ==정의== | ||
− | + | 1760년부터 1910년까지 국정 운영을 기록한 일기이다. | |
+ | |||
==내용== | ==내용== | ||
− | === | + | ===유래=== |
− | 『[[일성록]]』은 [[조선 정조|정조]](正祖, 재위 1776~1800)가 세손 시절 자신을 반성할 목적으로 쓰기 시작한 『존현각일기(尊賢閣日記)』에서 출발하였다. | + | 『[[일성록]]』은 [[조선 정조|정조]](正祖, 재위 1776~1800)가 세손 시절 자신을 반성할 목적으로 쓰기 시작한 『존현각일기(尊賢閣日記)』에서 출발하였다. [[조선 정조|정조]]는 항시 열람이 가능한 국정 기록을 남겨야 할 필요성을 느껴 1781년 자신이 직접 쓰던 것을 [[규장각]] 신하들에게 대신 기록할 것을 명하였다. 이것이 『[[일성록]]』이 되었다.<ref>"[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105&levelId=tg_003_2780&ganada=&pageUnit=10 일성록]", 교과서 용어 해설,<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 |||
+ | ===편찬과 내용 체제=== | ||
+ | [[정조]]는 [[규장각]] 각신들과 『[[일성록]]』의 체제를 논의하면서 기록의 주체를 ‘여(予)’라고 할 것을 결정하였다. 이는 『[[일성록]]』이 국왕의 시각으로 정리된 기록임을 나타낸다. 사건이나 일을 하나의 기사로 구성하였으며, 각 기사는 제목인 강(綱)과 세부 내용인 목(目)으로 나누어 기록하였다. 매일의 기록 끝에는 편찬을 담당한 인물의 관직과 성명을 기재하여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였다.<ref>"[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105&levelId=tg_003_2780&ganada=&pageUnit=10 일성록]", 교과서 용어 해설,<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 | |||
+ | ===가치와 의의=== | ||
+ | [[정조]]에서 시작된 『[[일성록]]』은 1910년까지 기록되었다. 『[[일성록]]』에는 신하들이나 백성들이 왕에게 올린 건의서나 왕의 명령, 왕의 동정, 서적의 편찬, 경연에서 읽은 책의 내용, 군사 훈련, 죄수 심리, 백성에 대한 진휼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당시의 생생한 기록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크다.<ref>"[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105&levelId=tg_003_2780&ganada=&pageUnit=10 일성록]", 교과서 용어 해설,<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 | === | +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
− | + | 『[[일성록]]』은 18~20세기 동·서양의 정치·문화적 교류의 구체적 실상과 세계사의 보편적 흐름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세계사적 중요성과 가치를 인정받아 2011년 5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ref>"[http://www.cha.go.kr/html/HtmlPage.do?pg=/heritage/world_heritage/record_treasure_08.jsp&mn=NS_04_04_04 일성록]", 세계기록유산,<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조선 정조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64/E06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 + | | [[일성록]] || [[조선 정조]]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성록]] || [[규장각]]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일성록]]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 [[일성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 ==시각 자료== |
− | + | ===영상=== | |
− | + | *일성록과 조선왕조실록, youtube, 게시일: 2014.10.16. | |
− | + | <html> | |
− | + | <iframe width="600" height="300" src="https://www.youtube.com/embed/exp5xmtvuzY"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 | </html> | |
− | |||
− | |||
−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더 읽을 거리=== | ||
+ | *논문 | ||
+ | **연갑수, 「《日省錄》의 사료적 가치와 활용 방안」, 『민족문화』27, 한국고전번역원, 2004. | ||
+ | **홍순민, 「《日省錄》의 편찬 과정과 구성 원리」, 『민족문화』27, 한국고전번역원, 2004. | ||
===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 ||
− | * "[http:// | + | * "[http://heritage.unesco.or.kr/mows/aeycoeeoe/ 『일성록(日省錄)』(Ilseongnok: Records of Daily Reflections)]", 세계기록유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유네스코와 유산』<sup>online</sup></online></html>,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 | *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janggak.snu.ac.kr/home/sub_index.jsp?ID=ILS 일성록 원문자료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7&cp_code=cp1009&index_id=cp10090357&content_id=cp100903570001&search_left_menu=6 일성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문헌]] | ||
[[분류:문헌]] | [[분류:문헌]] | ||
− |
2018년 1월 14일 (일) 00:50 기준 최신판
일성록(日省錄) | |
대표명칭 | 일성록 |
---|---|
한자표기 | 日省錄 |
유형 | 고서 |
저자 | 조선 정조, 규장각 |
편자 | 규장각 |
간행시기 | 1760~1910년 |
시대 | 조선 |
소장처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지정번호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보 제153호 |
목차
정의
1760년부터 1910년까지 국정 운영을 기록한 일기이다.
내용
유래
『일성록』은 정조(正祖, 재위 1776~1800)가 세손 시절 자신을 반성할 목적으로 쓰기 시작한 『존현각일기(尊賢閣日記)』에서 출발하였다. 정조는 항시 열람이 가능한 국정 기록을 남겨야 할 필요성을 느껴 1781년 자신이 직접 쓰던 것을 규장각 신하들에게 대신 기록할 것을 명하였다. 이것이 『일성록』이 되었다.[1]
편찬과 내용 체제
정조는 규장각 각신들과 『일성록』의 체제를 논의하면서 기록의 주체를 ‘여(予)’라고 할 것을 결정하였다. 이는 『일성록』이 국왕의 시각으로 정리된 기록임을 나타낸다. 사건이나 일을 하나의 기사로 구성하였으며, 각 기사는 제목인 강(綱)과 세부 내용인 목(目)으로 나누어 기록하였다. 매일의 기록 끝에는 편찬을 담당한 인물의 관직과 성명을 기재하여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였다.[2]
가치와 의의
정조에서 시작된 『일성록』은 1910년까지 기록되었다. 『일성록』에는 신하들이나 백성들이 왕에게 올린 건의서나 왕의 명령, 왕의 동정, 서적의 편찬, 경연에서 읽은 책의 내용, 군사 훈련, 죄수 심리, 백성에 대한 진휼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당시의 생생한 기록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크다.[3]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일성록』은 18~20세기 동·서양의 정치·문화적 교류의 구체적 실상과 세계사의 보편적 흐름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세계사적 중요성과 가치를 인정받아 2011년 5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4]
지식 관계망
- 조선 정조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일성록 | 조선 정조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일성록 | 규장각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일성록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 일성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 자료
영상
- 일성록과 조선왕조실록, youtube, 게시일: 2014.10.16.
주석
- ↑ "일성록", 교과서 용어 해설,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일성록", 교과서 용어 해설,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일성록", 교과서 용어 해설,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일성록", 세계기록유산,
『문화재청』online , 문화재청.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연갑수, 「《日省錄》의 사료적 가치와 활용 방안」, 『민족문화』27, 한국고전번역원, 2004.
- 홍순민, 「《日省錄》의 편찬 과정과 구성 원리」, 『민족문화』27, 한국고전번역원, 2004.
유용한 정보
- "『일성록(日省錄)』(Ilseongnok: Records of Daily Reflections)", 세계기록유산,
『유네스코와 유산』online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일성록 원문자료검색",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online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일성록",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