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세미나 참고자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단행본)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금석문 자료== | ==금석문 자료== | ||
− | *『海東金石苑』 | + | *'''『海東金石苑』''' |
** 유희해 편집/유승한 보유, 1832년 편집/1922년 보유간행, 8권 | ** 유희해 편집/유승한 보유, 1832년 편집/1922년 보유간행, 8권 | ||
** 청나라 고증학자 유희해(劉喜海, 1794-1852)가 우리나라 금석문을 모아 편집하고, 1922년 유승한(劉承幹)이 보유한 책. 매권마다 금석의 이름, 비의 높이·너비, 행수와 행별 자수, 서체(書體)·금석문, 금석과 금석문에 대한 고증, 해설과 평 등을 정연하게 적었다. | ** 청나라 고증학자 유희해(劉喜海, 1794-1852)가 우리나라 금석문을 모아 편집하고, 1922년 유승한(劉承幹)이 보유한 책. 매권마다 금석의 이름, 비의 높이·너비, 행수와 행별 자수, 서체(書體)·금석문, 금석과 금석문에 대한 고증, 해설과 평 등을 정연하게 적었다. | ||
− | *『朝鮮金石總覽』 | + | *'''『朝鮮金石總覽』''' |
** 조선총독부 편, 상·하권 2책, 1919년. 비갈(碑碣)·묘표(墓表)·시책(諡冊)·묘지(墓誌)·석표(石標)·석당(石幢)·석각(石刻)·석경(石經)·기타 종불상(佛像)·탑(塔)·등(燈)·망간(幢竿)·향로(香爐)·사리합(舍利盒)·경(鏡) 등을 망라한 책. 연대는 한치군(漢置郡)부터 고려 이전에 속하는 것은 대부분 망라하는 한편 그 이후에 속하는 것은 일부분만 수재(收載). 각 책 끝에는 탁본(拓本) 중 약간을 가리어 약 33매의 사진판을 첨부. | ** 조선총독부 편, 상·하권 2책, 1919년. 비갈(碑碣)·묘표(墓表)·시책(諡冊)·묘지(墓誌)·석표(石標)·석당(石幢)·석각(石刻)·석경(石經)·기타 종불상(佛像)·탑(塔)·등(燈)·망간(幢竿)·향로(香爐)·사리합(舍利盒)·경(鏡) 등을 망라한 책. 연대는 한치군(漢置郡)부터 고려 이전에 속하는 것은 대부분 망라하는 한편 그 이후에 속하는 것은 일부분만 수재(收載). 각 책 끝에는 탁본(拓本) 중 약간을 가리어 약 33매의 사진판을 첨부. | ||
** ▲도서관 소장 | ** ▲도서관 소장 | ||
− | *『韓國金石全文』 | + | *'''『韓國金石全文』''' |
** 허흥식 편저, 아세아문화사, 3책, 1984. 고대로부터 고려말에 이르는 금석문 총6백49종을 모아 본문과 연대·소재·게재된 서책,중요 논문을 싣고 있음. | ** 허흥식 편저, 아세아문화사, 3책, 1984. 고대로부터 고려말에 이르는 금석문 총6백49종을 모아 본문과 연대·소재·게재된 서책,중요 논문을 싣고 있음. | ||
** ▲도서관 소장 | ** ▲도서관 소장 | ||
− |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 + |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
**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소, 3책, 1992. | **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소, 3책, 1992. | ||
** ▲도서관 소장 ▲[http://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gskr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도서관 소장 ▲[http://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gskr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 | *『韓國古代金石文資料集』 | + | *'''『韓國古代金石文資料集』''' |
** 국사편찬위원회 편, 3책, 1995. | ** 국사편찬위원회 편, 3책, 1995. | ||
** ▲도서관 소장 ▲[http://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gskh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도서관 소장 ▲[http://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gskh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단행본== | ==단행본== | ||
− | * | + | * 정유진, 「중국 불교의 선」, 『선학연구입문』, 2009, 경서원. |
* 직지사성보박물관 편, 『깨달음의 길을 간 얼굴들』, 직지사성보박물관, 2000. ▲도서관 소장 | * 직지사성보박물관 편, 『깨달음의 길을 간 얼굴들』, 직지사성보박물관, 2000. ▲도서관 소장 | ||
+ | |||
+ | [[분류:프로젝트관리]] |
2017년 6월 14일 (수) 21:49 기준 최신판
금석문 자료
- 『海東金石苑』
- 유희해 편집/유승한 보유, 1832년 편집/1922년 보유간행, 8권
- 청나라 고증학자 유희해(劉喜海, 1794-1852)가 우리나라 금석문을 모아 편집하고, 1922년 유승한(劉承幹)이 보유한 책. 매권마다 금석의 이름, 비의 높이·너비, 행수와 행별 자수, 서체(書體)·금석문, 금석과 금석문에 대한 고증, 해설과 평 등을 정연하게 적었다.
- 『朝鮮金石總覽』
- 조선총독부 편, 상·하권 2책, 1919년. 비갈(碑碣)·묘표(墓表)·시책(諡冊)·묘지(墓誌)·석표(石標)·석당(石幢)·석각(石刻)·석경(石經)·기타 종불상(佛像)·탑(塔)·등(燈)·망간(幢竿)·향로(香爐)·사리합(舍利盒)·경(鏡) 등을 망라한 책. 연대는 한치군(漢置郡)부터 고려 이전에 속하는 것은 대부분 망라하는 한편 그 이후에 속하는 것은 일부분만 수재(收載). 각 책 끝에는 탁본(拓本) 중 약간을 가리어 약 33매의 사진판을 첨부.
- ▲도서관 소장
- 『韓國金石全文』
- 허흥식 편저, 아세아문화사, 3책, 1984. 고대로부터 고려말에 이르는 금석문 총6백49종을 모아 본문과 연대·소재·게재된 서책,중요 논문을 싣고 있음.
- ▲도서관 소장
-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소, 3책, 1992.
- ▲도서관 소장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韓國古代金石文資料集』
- 국사편찬위원회 편, 3책, 1995.
- ▲도서관 소장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웹사이트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 동국대학교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고려대장경, 한글대장경, 한국불교전서, 신집성문헌(국내외 사찰.기관.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불교기록문화유산)
논문
- 김두진, 「나말여초 선종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역사학보』 제188호, 2005, 299-323쪽.
- 김혜완, 「나말려초 남한강 주변의 선종사원과 선사들의 활동」, 『한국고대사학회』 제49호, 2008, 257-292쪽.
- 임병권, 「초기 선 어록에 나타난 신라ㆍ고려 선사」, 『한국선학회』 제2호, 2002, 301-331쪽.
- 정영호, 「월악산 월광사지와 원랑선사대보선광탑에 대하여」, 『한국미술사학회』제129, 130호, 117-121쪽.
- 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제7호, 한국목간학회, 203-222쪽.
단행본
- 정유진, 「중국 불교의 선」, 『선학연구입문』, 2009, 경서원.
- 직지사성보박물관 편, 『깨달음의 길을 간 얼굴들』, 직지사성보박물관, 2000. ▲도서관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