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관계정보) |
(→참고문헌)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 |
− | |||
{{작가정보 | {{작가정보 | ||
− | |사진= | + | |사진= 민족팀_일러_화가.pn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
|대표명칭 = 신영상 | |대표명칭 = 신영상 | ||
|한자표기 = 辛永常 | |한자표기 = 辛永常 | ||
17번째 줄: | 16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 | 대한민국의 [[한국화]] 화가이다. | |
=='''내용'''== | =='''내용'''== | ||
− | + | 1935년 충청남도 당진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대한민국미술전람회|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을 비롯해 여러 전람회에 출품하였다. 국전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을 역임하였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 |
− | |||
− | + | ===1960~70년대 활동 : '먹'의 효과=== | |
+ | 신영상은 1960년대 초에 [[묵림회]]에 참가하면서 전통회화의 현대적 재확립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실험적인 작업에 힘을 기울였다. 초기에는 인물과 동물 등을 소재를 수묵담채로 재구성하는 조형적 변주에서 출발하여 1970년대에 들면서는 그러한 조형적 실험을 한층 강화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변화를 통하여 그는 묵면(墨面)을 위주로 대상을 단순화하고, 전통회화의 발묵(潑墨)에 의한 먹의 효과가 두드러진 현대적인 추상회화 형식을 보여주었다.<br/> | ||
+ | |||
+ | 1960년 무렵부터는 ‘먹’이라는 전통적이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현대적 미감을 지닌 새로운 [[한국화]]를 추구했다. 이런 시도들은 서구 [[추상미술|추상회화]]의 본격적인 도입으로부터 70년대 서양화단에 주류를 이루었던 [[모노크롬 회화]]의 성행과 무관하지 않다. 먹은 [[동양화|동양회화]]의 핵심적인 요소이면서 전통적인 문인화에서 보듯 그 정신성을 상징하는 것이며, [[수묵화]] 자체가 이미 추상적인 속성을 지닌 것이라는 점에서 그 역시 당시의 추세에 공감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신영상의 작업은 수묵이 갖는 문인정신을 기반으로 대상을 해체하고 평면화하는 조형방식을 통해 종이와 먹이 만나 깊은 공간성과 조형적 깊이를 부여하는 것이었다. | ||
===1980년대 활동=== | ===1980년대 활동=== | ||
− | 1980년대 들어서는 창호지를 바른 문과 문살을 모티브로 안과 밖, 소통과 단절, 정신과 물질, 주체와 객체와 같은 이원적인 | + | 1980년대 들어서는 창호지를 바른 문과 문살을 모티브로 깊이 있는 무한한 심상의 공간을 제시하고자 하는 작업을 보여준 바 있다. 안과 밖, 소통과 단절, 정신과 물질, 주체와 객체와 같은 이원적인 요소들이 동양적 합일과 일치를 이루는 지점으로 삼은 것이다. 그는 이처럼 전통회화의 정신성을 근간으로 실험과 파격을 통해 현대 [[한국화]]의 형식을 지속적으로 시도하는 작업을 추구해왔다. |
===학력=== | ===학력=== | ||
78번째 줄: | 79번째 줄: | ||
|- | |- | ||
| [[신영상]]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신영상]]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신영상]] || [[수묵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신영상]] || [[수묵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119번째 줄: | 118번째 줄: | ||
===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 ||
# "[http://da-arts.knaa.or.kr/blog/shinyoungsang.do 신영상 블로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 | # "[http://da-arts.knaa.or.kr/blog/shinyoungsang.do 신영상 블로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 | ||
− | # "[http://monthlyart.com/dicwho/%EC%8B%A0%EC%98%81%EC%83%81-2/ 신영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월간미술』<sup>online</sup></online></html>. | + | # "[http://monthlyart.com/dicwho/%EC%8B%A0%EC%98%81%EC%83%81-2/ 신영상]", 인명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월간미술』<sup>online</sup></online></html>. |
− | # 고운석, "[http://www.goodnewspeople.com/read.php3?aid=11726308631249007 | + | # 고운석, "[http://www.goodnewspeople.com/read.php3?aid=11726308631249007 〈예술혼 산책〉 동양적 사유의 화가 신영상(辛永常)]",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굿뉴스피플』<sup>online</sup></online></html>, 2007년 2월 28일. |
− |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분류: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가]][[분류:인물]] |
2017년 12월 29일 (금) 13:34 기준 최신판
신영상(辛永常) | |
대표명칭 | 신영상 |
---|---|
한자표기 | 辛永常 |
영문명칭 | Shin Young-sang |
생몰년 | 1935년 9월 24일- |
출생지 | 충남 당진 |
국적 | 대한민국 |
분야 | 한국화 화가 |
목차
정의
대한민국의 한국화 화가이다.
내용
1935년 충청남도 당진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을 비롯해 여러 전람회에 출품하였다. 국전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을 역임하였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1960~70년대 활동 : '먹'의 효과
신영상은 1960년대 초에 묵림회에 참가하면서 전통회화의 현대적 재확립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실험적인 작업에 힘을 기울였다. 초기에는 인물과 동물 등을 소재를 수묵담채로 재구성하는 조형적 변주에서 출발하여 1970년대에 들면서는 그러한 조형적 실험을 한층 강화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변화를 통하여 그는 묵면(墨面)을 위주로 대상을 단순화하고, 전통회화의 발묵(潑墨)에 의한 먹의 효과가 두드러진 현대적인 추상회화 형식을 보여주었다.
1960년 무렵부터는 ‘먹’이라는 전통적이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현대적 미감을 지닌 새로운 한국화를 추구했다. 이런 시도들은 서구 추상회화의 본격적인 도입으로부터 70년대 서양화단에 주류를 이루었던 모노크롬 회화의 성행과 무관하지 않다. 먹은 동양회화의 핵심적인 요소이면서 전통적인 문인화에서 보듯 그 정신성을 상징하는 것이며, 수묵화 자체가 이미 추상적인 속성을 지닌 것이라는 점에서 그 역시 당시의 추세에 공감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신영상의 작업은 수묵이 갖는 문인정신을 기반으로 대상을 해체하고 평면화하는 조형방식을 통해 종이와 먹이 만나 깊은 공간성과 조형적 깊이를 부여하는 것이었다.
1980년대 활동
1980년대 들어서는 창호지를 바른 문과 문살을 모티브로 깊이 있는 무한한 심상의 공간을 제시하고자 하는 작업을 보여준 바 있다. 안과 밖, 소통과 단절, 정신과 물질, 주체와 객체와 같은 이원적인 요소들이 동양적 합일과 일치를 이루는 지점으로 삼은 것이다. 그는 이처럼 전통회화의 정신성을 근간으로 실험과 파격을 통해 현대 한국화의 형식을 지속적으로 시도하는 작업을 추구해왔다.
학력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졸업
경력
전시
- 1962-64 제6-8회 묵림회전, 서울 중앙공보관
- 1963 현대작가초대전, 경복궁미술관
- 1970 제1회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1 인도트리엔날, 뉴델리
- 1974 아세아현대미술전, 동경
- 1976 한국현대동양화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1 한국미술 81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2 이태리 현대미술전, 밀라노
- 1985 현대미술 40년전, 현대미술관
- 1986 한국화 100년전, 호암갤러리
- 1987 한국현대미술의 흑과 백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8 현대작가초대전, 조선일보미술관
- 1992 한국현대미술의 한국성 모색 IV, 한원갤러리
- 1994 유현의 미학-수묵화의 재발견, 공평아트센터
- 1995 한중미술교류전, 민족문화궁, 베이징
- 1998 98동경 베세토 국제서화전, 동경박물관
- 2005 한국화 비젼 2005, 예술의전당
수상
- 1961-72 국전 입선 및 특선 제10회 ≪국전≫ 입선
- 1962, 63 신인예술상전 입선 및 특선
- 1964 제13회 국전 문교부장관상
- 2001 황조근정훈장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신영상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최무선 표준영정 | 신영상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신영상 | 서울대학교 | A는 B를 졸업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신영상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신영상 | 수묵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신영상 | 한국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묵림회 | 신영상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묵림회 | 한국화회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한국화회 | 신영상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오(午), 1980, 종이에 수묵[1]
殘懷(잔회), 1970, 종이에 수묵[2]
조Ⅱ, 1982, 화선지에 수묵, 181x12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3]
율 9925, 2000, 옥양목에 수묵, 245.5x223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4]
영상
주석
- ↑ "신영상", 예술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 예술자료원. - ↑ "신영상", 예술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 예술자료원. - ↑ "조Ⅱ",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율 9925",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특집 16 신영상, 금성출판사, 1982.
- 『신영상』, K.C. Communications, 2000.
유용한 정보
- "신영상 블로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 예술자료원. - "신영상", 인명검색,
『월간미술』online . - 고운석, "〈예술혼 산책〉 동양적 사유의 화가 신영상(辛永常)",
『굿뉴스피플』online , 2007년 2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