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자유무역지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형성 및 변천)
(참고문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7번째 줄: 17번째 줄:
 
}}
 
}}
 
=='''정의'''==
 
=='''정의'''==
1970년에 착공하여 73년에 완공된 우리나라 동남해안의 대표적인 국가산업단지.<ref>이원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7365 마산자유무역지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9월 27일.</ref>
+
1970년에 착공하여 1973년에 완공된 우리나라 동남해안의 대표적인 국가산업단지이다.<ref>이원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7365 마산자유무역지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9월 27일.</ref>
  
 
=='''내용'''==
 
=='''내용'''==
23번째 줄: 23번째 줄:
  
 
===형성 및 변천===
 
===형성 및 변천===
1970년 1월 1일 「수출자유지역설립법」이 공포되면서 그 해 3월 16일에 마산수출자유지역 제1공구(659,752㎡)가 지정되었고, 1972년에 들어서 제2공구(264,535㎡)가 지정 건설되었다. 1973년에 입주기업체가 115개 유치되는 등 1970~74년의 기반 조성기는 성공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게 되었다. 한편 1975~1980년의 성장·정비기 동안에는 입주업체 수의 증가와 함께 입주업체의 평균 수출규모가 739만달러로 크게 늘어났고 외화가득률도 53.0%로 높아져 수출자유지역의 질적 고도화가 달성되었다.<br/>
+
1970년 1월 1일 「수출자유지역설립법」이 공포되면서 그 해 3월 16일에 마산수출자유지역 제1공구(659,752㎡)가 지정되었고, 1972년에 들어서 제2공구(264,535㎡)가 추가로 지정 건설되었다. 1973년에 115업체의 입주를 유치하는 등 1970~1974년의 기반 조성기는 성공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게 되었다. 한편 1975~1980년의 성장·정비기 동안에는 입주업체 수의 증가와 함께 입주업체의 평균 수출규모가 739만달러로 크게 늘어났고 외화가득률도 53.0%로 높아져 수출자유지역의 질적 고도화가 달성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7365 마산자유무역지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9월 27일.</ref><br/>
1980년 이후에는 수출의 안정적인 증가와 함께 노동집약형 업종이 기술집약형 업종으로 대체됨으로써 수출자유지역이 점차 성숙기에 접어들게 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말 민주화로 인한 노사분규의 여파로 1989년에는 수출이 전년보다 5.8%나 감소하는 등 침체의 시기도 겪게 되었다. 한편 1994년 이후에는 대표적인 업종 구조가 전기·전자업종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산업단지의 고도화를 경험하게 되었다.<br/>
+
1980년 이후에는 수출의 안정적인 증가와 함께 노동집약형 업종이 기술집약형 업종으로 대체됨으로써 수출자유지역이 점차 성숙기에 접어들게 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말 민주화로 인한 노사분규의 여파로 1989년에는 수출이 전년보다 5.8%나 감소하는 등 침체의 시기도 겪었다. 1994년 이후에는 대표적인 업종 구조가 전기·전자업종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산업단지의 첨단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2000년 「자유무역지역의 지정등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면서 마산수출자유지역에서 마산자유무역지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같은 해 12월 15일 마산자유무역지역의 제3공구(160,566㎡)가 마지막으로 준공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7365 마산자유무역지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9월 27일.</ref><br/>
2000년 「자유무역지역의지정등에관한법률」이 공포되면서 마산수출자유지역에서 마산자유무역지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같은 해 12월 15일 마산자유무역지역의 제3공구(160,566㎡)가 마지막으로 준공되었다.<br/>
 
  
 
===현황===
 
===현황===
현재 [[마산자유무역지역]]에는 외국인 단독투자, 합작투자, 내국인업체 등 98개 업체가 입주해 있으며 총생산의 98%를 수출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마산자유무역지역]]은 외국인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외국인전용 공단이기 때문에 좋은 외국인 투자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외국인 투자기업들이 제일 많이 밀집해 있는 산업단지이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7365 마산자유무역지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9월 27일.</ref>
+
현재 마산자유무역지역에는 외국인 단독투자, 합작투자, 내국인업체 등 98개 업체가 입주해 있으며 총생산의 98%를 수출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마산자유무역지역은 외국인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외국인전용 공단이기 때문에 좋은 외국인 투자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외국인 투자기업들이 제일 많이 밀집해 있는 산업단지이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7365 마산자유무역지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9월 27일.</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C072/C072.htm "마산공업단지(김원)"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72/C07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42번째 줄: 47번째 줄:
 
|-
 
|-
 
|}
 
|}
 +
===공간정보===
 +
*'''현대 기업의 탄생 전자지도'''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dh.aks.ac.kr/Encyves/Map/C010/C010.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경제개발 관련 산업단지 전자지도'''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dh.aks.ac.kr/Encyves/Map/C021/C021.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시각자료'''==
 
=='''시각자료'''==

2017년 12월 1일 (금) 01:29 기준 최신판

마산자유무역지역(馬山自由貿易地域)
강인범, "창원시 '마산자유무역지역' 재도약", 『조선일보』, 작성일: 2011년 03월 02일.
대표명칭 마산자유무역지역
한자표기 馬山自由貿易地域
유형 지명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관련장소 익산자유무역지역


정의

1970년에 착공하여 1973년에 완공된 우리나라 동남해안의 대표적인 국가산업단지이다.[1]

내용

우리나라 최초의 외국인 전용공단으로 외국의 선진기술 및 자본의 도입과 수출, 고용창출 등으로 국가 및 지역경제 발전을 선도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총면적 953,576㎡의 규모로서 가장 큰 제1공구(56.1%)와 제2공구, 제3공구로 조성되어 있으며 지식경제부 마산자유무역지역관리원에서 직접 관리하는 국가산업단지이다.[2]

형성 및 변천

1970년 1월 1일 「수출자유지역설립법」이 공포되면서 그 해 3월 16일에 마산수출자유지역 제1공구(659,752㎡)가 지정되었고, 1972년에 들어서 제2공구(264,535㎡)가 추가로 지정 건설되었다. 1973년에 115업체의 입주를 유치하는 등 1970~1974년의 기반 조성기는 성공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게 되었다. 한편 1975~1980년의 성장·정비기 동안에는 입주업체 수의 증가와 함께 입주업체의 평균 수출규모가 739만달러로 크게 늘어났고 외화가득률도 53.0%로 높아져 수출자유지역의 질적 고도화가 달성되었다.[3]
1980년 이후에는 수출의 안정적인 증가와 함께 노동집약형 업종이 기술집약형 업종으로 대체됨으로써 수출자유지역이 점차 성숙기에 접어들게 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말 민주화로 인한 노사분규의 여파로 1989년에는 수출이 전년보다 5.8%나 감소하는 등 침체의 시기도 겪었다. 1994년 이후에는 대표적인 업종 구조가 전기·전자업종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산업단지의 첨단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2000년 「자유무역지역의 지정등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면서 마산수출자유지역에서 마산자유무역지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같은 해 12월 15일 마산자유무역지역의 제3공구(160,566㎡)가 마지막으로 준공되었다.[4]

현황

현재 마산자유무역지역에는 외국인 단독투자, 합작투자, 내국인업체 등 98개 업체가 입주해 있으며 총생산의 98%를 수출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마산자유무역지역은 외국인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외국인전용 공단이기 때문에 좋은 외국인 투자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외국인 투자기업들이 제일 많이 밀집해 있는 산업단지이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원-마산공업단지 마산자유무역지역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마산자유무역지역 자유무역지역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익산자유무역지역 자유무역지역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공간정보

  • 현대 기업의 탄생 전자지도

  • 경제개발 관련 산업단지 전자지도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kculturechannel] 마산 수출 공단으로 출근하는 시민(The civil work of Masan Export Corporation)(게시일: 2014년 6월 19일)

주석

  1. 이원호, "마산자유무역지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9월 27일.
  2. "마산자유무역지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9월 27일.
  3. "마산자유무역지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9월 27일.
  4. "마산자유무역지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9월 27일.
  5. "마산자유무역지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9월 27일.
  6. 강인범, "창원시 '마산자유무역지역' 재도약", 『조선일보』, 작성일: 2011년 03월 02일.
  7. 손승호, "자유무역지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9월 30일.
  8. 이원호, "마산자유무역지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9월 27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이원호, "마산자유무역지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9월 27일.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