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대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27번째 줄: 27번째 줄:
 
대동은 취미(翠微)에게 현지(玄旨)를 크게 깨달았으며, 30여 년 동안 투자산(投子山)에서 머물렀다. 가르침을 청하는 사람이 방을 가득 채웠는데, 무외(無畏)의 변재(辯才)로 묻는 즉시 답해 주었다. 914년 미질(微疾)을 앓다가 입적했다.<ref>한보광, 임종욱,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이회문화사, 201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87912&cid=42980&categoryId=42980 대동]",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대동은 취미(翠微)에게 현지(玄旨)를 크게 깨달았으며, 30여 년 동안 투자산(投子山)에서 머물렀다. 가르침을 청하는 사람이 방을 가득 채웠는데, 무외(無畏)의 변재(辯才)로 묻는 즉시 답해 주었다. 914년 미질(微疾)을 앓다가 입적했다.<ref>한보광, 임종욱,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이회문화사, 201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87912&cid=42980&categoryId=42980 대동]",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인 [[찬유|원종대사 찬유(元宗大師 璨幽, 869-958)]]는 당나라로 유학하여 대동의 선법을 전해받았다고 전해진다.<ref>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4924&cid=50763&categoryId=50784 찬유]",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인 [[찬유|원종대사 찬유(元宗大師 璨幽, 869-958)]]는 당나라로 유학하여 대동의 선법을 전해 받았다고 전한다.<ref>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4924&cid=50763&categoryId=50784 찬유]",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blockquote
 
{{blockquote
 
|경복(景福; 唐 昭宗의 연호) 원년(892, 진성왕 6) 봄에 때마침 중국으로 들어가는 상선을 만나 그 배를 타고 서쪽으로 갔다. 그리하여 정처 없이 운수를 바라보고 마음을 맡기며 저녁 노을을 향하여 발길을 내디뎠는데, 참 스님은 반드시 찾아보고 옛 자취는 반드시 답사하였다. 드디어 서주(舒州) 동성현(桐城懸; 지금의 安徽省 桐城) 적주산(寂住山)으로 가서 투자선화상(投子禪和尙)을 예방하였다. 화상은 법호가 대동(大同)으로 석두산(石頭山)의 법손인 취미무학대사(翠微無學大師)의 정통이었다. 대사의 특이한 눈 모습과 남다른 옥호의 상을 보고 말하기를, "불법이 동으로 흘러간다는 말과 서쪽의 학문을 구하려는 자가 있기는 하지만, 함께 도를 말할 만한 사람은 오직 그대뿐일 것이다."라고 하였다. 대사는 이리하여 혀 밑에서 미묘한 말을 깨닫고 몸 가운데서 진짜 부처를 체득하였으니, 어찌 부처의 밀전(密傳)을 계승하고 유마(維摩)의 묵대(黙對)를 받드는 것에 그칠 뿐이겠는가 대사가 장차 투자화상을 하직하려 하니, 화상이 일렀다.
 
|경복(景福; 唐 昭宗의 연호) 원년(892, 진성왕 6) 봄에 때마침 중국으로 들어가는 상선을 만나 그 배를 타고 서쪽으로 갔다. 그리하여 정처 없이 운수를 바라보고 마음을 맡기며 저녁 노을을 향하여 발길을 내디뎠는데, 참 스님은 반드시 찾아보고 옛 자취는 반드시 답사하였다. 드디어 서주(舒州) 동성현(桐城懸; 지금의 安徽省 桐城) 적주산(寂住山)으로 가서 투자선화상(投子禪和尙)을 예방하였다. 화상은 법호가 대동(大同)으로 석두산(石頭山)의 법손인 취미무학대사(翠微無學大師)의 정통이었다. 대사의 특이한 눈 모습과 남다른 옥호의 상을 보고 말하기를, "불법이 동으로 흘러간다는 말과 서쪽의 학문을 구하려는 자가 있기는 하지만, 함께 도를 말할 만한 사람은 오직 그대뿐일 것이다."라고 하였다. 대사는 이리하여 혀 밑에서 미묘한 말을 깨닫고 몸 가운데서 진짜 부처를 체득하였으니, 어찌 부처의 밀전(密傳)을 계승하고 유마(維摩)의 묵대(黙對)를 받드는 것에 그칠 뿐이겠는가 대사가 장차 투자화상을 하직하려 하니, 화상이 일렀다.
41번째 줄: 41번째 줄:
 
}}
 
}}
  
=='''관련항목'''==
+
=='''지식 관계망'''==
 +
*'''원종대사 찬유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15/monk_wonjong.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50번째 줄: 58번째 줄:
 
|}
 
|}
  
=='''각주'''==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61번째 줄: 69번째 줄:
 
[[분류:인물]]
 
[[분류:인물]]
 
[[분류:승려]]
 
[[분류:승려]]
[[분류:승탑/검토요청]]
+
[[분류:승탑/교열완료!]]

2017년 11월 24일 (금) 15:46 기준 최신판

대동(大同)
BHST Monk1.png
대표명칭 대동
한자 大同
생몰년 819년-914년
시호 자제대사(慈濟大師)
성씨 유씨(劉氏)
출신지 안휘(安徽) 회녕(懷寧)


정의

당나라의 선승(禪僧).

내용

대동은 취미(翠微)에게 현지(玄旨)를 크게 깨달았으며, 30여 년 동안 투자산(投子山)에서 머물렀다. 가르침을 청하는 사람이 방을 가득 채웠는데, 무외(無畏)의 변재(辯才)로 묻는 즉시 답해 주었다. 914년 미질(微疾)을 앓다가 입적했다.[1]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인 원종대사 찬유(元宗大師 璨幽, 869-958)는 당나라로 유학하여 대동의 선법을 전해 받았다고 전한다.[2]

Quote-left.png 경복(景福; 唐 昭宗의 연호) 원년(892, 진성왕 6) 봄에 때마침 중국으로 들어가는 상선을 만나 그 배를 타고 서쪽으로 갔다. 그리하여 정처 없이 운수를 바라보고 마음을 맡기며 저녁 노을을 향하여 발길을 내디뎠는데, 참 스님은 반드시 찾아보고 옛 자취는 반드시 답사하였다. 드디어 서주(舒州) 동성현(桐城懸; 지금의 安徽省 桐城) 적주산(寂住山)으로 가서 투자선화상(投子禪和尙)을 예방하였다. 화상은 법호가 대동(大同)으로 석두산(石頭山)의 법손인 취미무학대사(翠微無學大師)의 정통이었다. 대사의 특이한 눈 모습과 남다른 옥호의 상을 보고 말하기를, "불법이 동으로 흘러간다는 말과 서쪽의 학문을 구하려는 자가 있기는 하지만, 함께 도를 말할 만한 사람은 오직 그대뿐일 것이다."라고 하였다. 대사는 이리하여 혀 밑에서 미묘한 말을 깨닫고 몸 가운데서 진짜 부처를 체득하였으니, 어찌 부처의 밀전(密傳)을 계승하고 유마(維摩)의 묵대(黙對)를 받드는 것에 그칠 뿐이겠는가 대사가 장차 투자화상을 하직하려 하니, 화상이 일렀다.

"멀리 가지도 말고 가까이 가지도 말라"

"비록 멀거나 가까이 가지 않는다 하더라도, 또한 머물러 있는 것도 아닙니다."

"이미 마음으로 전한 것을 알았는데 눈으로 말할 게 무엇이 있겠는가"

그 후 널리 뛰어난 벗을 찾고 두루 고명한 스승을 예방하여 혹은 천태(天台)에서 숨은 것을 찾고, 혹은 강좌(江左)에서 현묘한 것을 더듬음으로써, 진여(眞如)의 성해(性海)에 들고 들어가서 마니의 보주를 얻었다.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이우태, "고달원원종대사혜진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42-43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지식 관계망

  • 원종대사 찬유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희천 대동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대동 찬유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주석

  1. 한보광, 임종욱,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이회문화사, 2011. 온라인 참조: "대동",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찬유",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 한보광, 임종욱,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이회문화사, 2011. 온라인 참조: "대동",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