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영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각주)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고려 후기의 승려 | + | 고려 후기의 승려. |
=='''내용'''== | =='''내용'''== | ||
− | 속성은 양씨(梁氏)이고 본관은 남원(南原)인데, 속명은 알 수가 없다. 법명은 연감(淵鑑)이고, 식영암(息影庵)은 그의 호이다. 식영암을 혹 식영감 | + | 속성은 양씨(梁氏)이고 본관은 남원(南原)인데, 속명은 알 수가 없다. 법명은 연감(淵鑑)이고, 식영암(息影庵)은 그의 호이다. 식영암을 혹 식영감(息影鑑)으로 표기한 예가 있는데, 이는 승려의 경우 법명(法名)의 뒷글자만 지칭하여 선탄(禪坦)을 탄사(坦師)라 약칭한 것과 같이, 연감(淵鑑)의 감(鑑)자를 호인 식영(息影)에 붙여서 표기한 것으로 이해된다.<ref>김건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7574 식영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이제현(李齊賢, 1287∼1367), 민사평(閔思平, 1292∼1359), 이암(李嵓, 1297∼1364) 등과 교유하였다. | + | [[이제현|이제현(李齊賢, 1287∼1367)]], [[민사평|민사평(閔思平, 1292∼1359)]], [[이암|이암(李嵓, 1297∼1364)]] 등과 교유하였다. [[이제현]]과는 동년배 혹은 연상으로서 유자(儒者)와 불자(佛者)간의 사귐이 막역(莫逆)하였다. [[민사평]]에게는 대화상(大和尙)으로서 가르침을 베푸는 입장에 있었으며, [[이암]]과는 만년에 방외우(方外友 : 신분을 떠난 친구)로서 교유하였다. 특히 [[이암]]은 식영암이 강화도(江華島)의 [[강화 선원사|선원사(禪源寺)]]에 있을 때 절 가운데 집을 지어 해운당(海雲堂)이라 편액(扁額)하고 조각배로 왕래하며 각별한 교유를 하였다. [[강화 선원사|선원사]]에 있을 때에는 [[혼수|보각국사(普覺國師) 혼수(混脩, 1320∼1392)]]에게 [[능엄경|능엄경(楞嚴經)]]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식영암은 강화도의 [[강화 선원사|선원사]]와 용장사(龍藏寺), 전남 고흥 [[강진 월남사|월남사(月南寺)]]의 장로(長老)와 주지(住持) 등을 역임하였으며, 대화상(大和尙)에까지 올랐던 것으로 보인다.<ref>김건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7574 식영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식영암의 문학=== | ===식영암의 문학=== | ||
− | 식영암은 고승(高僧)들이 지니고 다니는 지팡이 석장(錫杖)을 의인화(擬人化)한 가전(假傳) | + | 식영암은 고승(高僧)들이 지니고 다니는 지팡이 석장(錫杖)을 의인화(擬人化)한 가전(假傳) 「[[정시자전|정시자전(丁侍者傳)]]」의 작자이다. 『[[동문선|동문선(東文選)]]』에 13편의 산문작품이 뽑힐 정도로 문학적 재능이 뛰어나 『[[식영암집|식영암집(息影庵集)]]』을 남기기도 하였으나, 현전하지 않는다.<ref>김건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7574 식영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지식 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23/monk_honsu.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관계정보'''=== |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식영암]] || [[혼수]]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식영암]] || [[혼수]]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식영암]] || [[이제현]]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isCloseTo B | ||
+ | |- | ||
+ | | [[식영암]] || [[민사평]]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isCloseTo B | ||
+ | |- | ||
+ | | [[식영암]] || [[이암]]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isCloseTo B | ||
+ | |- | ||
+ | | [[식영암]] || [[강화 선원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식영암]] || [[용장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식영암]] || [[강진 월남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식영암]] || [[능엄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 | =='''주석'''== |
− | |||
− | |||
−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참고문헌'''== | ||
+ | *강혜규, 「<정시자전>(丁侍者傳)의 주제의식: 식영암(息影菴)의 사물인식을 중심으로」, 『국문학연구』 19, 국문학회, 2009, 89-112쪽. | ||
+ | * 김건곤, 「釋 息影庵의 正體에 대한 再論 - 南原梁氏, 法名 淵鑑 : 釋 息影庵의 正體에 대한 再論」, 『대동한문학』25, 2006, 348-374쪽. | ||
+ | *김건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7574 식영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이종문, 「'息影菴 = 德興君'說에 對한 再檢討」, 『한문교육연구』19, 한국한문교육학회, 2002, 521-536쪽.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 | |||
[[분류:승려]] | [[분류:승려]] | ||
− | [[분류:승탑/ | + | [[분류:승탑/검토요청]] |
2017년 11월 24일 (금) 16:19 기준 최신판
식영암(息影庵) | |
대표명칭 | 식영암 |
---|---|
한자 | 息影庵 |
호 | 식영암(息影庵) |
성씨 | 양씨(梁氏) |
본관 | 남원(南原) |
정의
고려 후기의 승려.
내용
속성은 양씨(梁氏)이고 본관은 남원(南原)인데, 속명은 알 수가 없다. 법명은 연감(淵鑑)이고, 식영암(息影庵)은 그의 호이다. 식영암을 혹 식영감(息影鑑)으로 표기한 예가 있는데, 이는 승려의 경우 법명(法名)의 뒷글자만 지칭하여 선탄(禪坦)을 탄사(坦師)라 약칭한 것과 같이, 연감(淵鑑)의 감(鑑)자를 호인 식영(息影)에 붙여서 표기한 것으로 이해된다.[1]
이제현(李齊賢, 1287∼1367), 민사평(閔思平, 1292∼1359), 이암(李嵓, 1297∼1364) 등과 교유하였다. 이제현과는 동년배 혹은 연상으로서 유자(儒者)와 불자(佛者)간의 사귐이 막역(莫逆)하였다. 민사평에게는 대화상(大和尙)으로서 가르침을 베푸는 입장에 있었으며, 이암과는 만년에 방외우(方外友 : 신분을 떠난 친구)로서 교유하였다. 특히 이암은 식영암이 강화도(江華島)의 선원사(禪源寺)에 있을 때 절 가운데 집을 지어 해운당(海雲堂)이라 편액(扁額)하고 조각배로 왕래하며 각별한 교유를 하였다. 선원사에 있을 때에는 보각국사(普覺國師) 혼수(混脩, 1320∼1392)에게 능엄경(楞嚴經)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식영암은 강화도의 선원사와 용장사(龍藏寺), 전남 고흥 월남사(月南寺)의 장로(長老)와 주지(住持) 등을 역임하였으며, 대화상(大和尙)에까지 올랐던 것으로 보인다.[2]
식영암의 문학
식영암은 고승(高僧)들이 지니고 다니는 지팡이 석장(錫杖)을 의인화(擬人化)한 가전(假傳) 「정시자전(丁侍者傳)」의 작자이다. 『동문선(東文選)』에 13편의 산문작품이 뽑힐 정도로 문학적 재능이 뛰어나 『식영암집(息影庵集)』을 남기기도 하였으나, 현전하지 않는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식영암 | 혼수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식영암 | 이제현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isCloseTo B |
식영암 | 민사평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isCloseTo B |
식영암 | 이암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isCloseTo B |
식영암 | 강화 선원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식영암 | 용장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식영암 | 강진 월남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식영암 | 능엄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 ↑ 김건곤, "식영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건곤, "식영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건곤, "식영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강혜규, 「<정시자전>(丁侍者傳)의 주제의식: 식영암(息影菴)의 사물인식을 중심으로」, 『국문학연구』 19, 국문학회, 2009, 89-112쪽.
- 김건곤, 「釋 息影庵의 正體에 대한 再論 - 南原梁氏, 法名 淵鑑 : 釋 息影庵의 正體에 대한 再論」, 『대동한문학』25, 2006, 348-374쪽.
- 김건곤, "식영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종문, 「'息影菴 = 德興君'說에 對한 再檢討」, 『한문교육연구』19, 한국한문교육학회, 2002, 521-5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