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6 회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궁중기록화와 표준영정(총 43명))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8번째 줄: 8번째 줄:
 
}}
 
}}
 
{{clickable button|[[0203 회의]]}}
 
{{clickable button|[[0203 회의]]}}
{{clickable button|[[02xx 회의]]}}
+
{{clickable button|[[0208 회의]]}}
 
<br/>
 
<br/>
 
*자유롭게 수정해 주세요~  
 
*자유롭게 수정해 주세요~  
73번째 줄: 73번째 줄:
 
*#** 초상화는 이미지로서 디지털 환경에서 이야기 자원의 중심 매개 역할을 하기에 좋은 소재임
 
*#** 초상화는 이미지로서 디지털 환경에서 이야기 자원의 중심 매개 역할을 하기에 좋은 소재임
 
*#** 인물의 얼굴, 인물의 복장, 그림을 그리게 된 경위, 인물과 관련된 역사적 이야기 등 역사문화적 차원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야기들을 많이 품고 있음
 
*#** 인물의 얼굴, 인물의 복장, 그림을 그리게 된 경위, 인물과 관련된 역사적 이야기 등 역사문화적 차원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야기들을 많이 품고 있음
*#* 표준영정과 관련된 논란 가능성과 그에 대한 기록의 필요성
 
*#** 김은호, 장우성, 김기창 화백 등이 그린 표준영정들의 경우 화가들의 친일파 행적으로 인해 현재 논란 중에 있음
 
*#** 현 시점에서 그러한 논란의 맥락들을 해당 표준영정과 연계하여 객관적 기록으로 정리할 경우 역사교육 차원에서 의미있는 콘텐츠의 한 부분이 될 수 있음
 
 
*#* 1차년도 사업 결과물과의 연계 가능성
 
*#* 1차년도 사업 결과물과의 연계 가능성
 
*#** 인물 정보가 이미지 형태로 기록문화유산과 연계했을 때 기능할 수 있는 역할의 풍부함
 
*#** 인물 정보가 이미지 형태로 기록문화유산과 연계했을 때 기능할 수 있는 역할의 풍부함
85번째 줄: 82번째 줄:
 
*### 한국의 역사인물 초상화 DB 편찬 <span style='color:blue'>6p</span>
 
*### 한국의 역사인물 초상화 DB 편찬 <span style='color:blue'>6p</span>
 
*#### 초상화 선정 근거 및 그와 관련된 논리 제시 (텍스트)
 
*#### 초상화 선정 근거 및 그와 관련된 논리 제시 (텍스트)
 +
*####* 표준영정과 관련된 논란 가능성과 그에 대한 기록의 필요성
 +
*####** 김은호, 장우성, 김기창 화백 등이 그린 표준영정들의 경우 화가들의 친일파 행적으로 인해 현재 논란 중에 있음
 +
*####** 현 시점에서 그러한 논란의 맥락들을 해당 표준영정과 연계하여 객관적 기록으로 정리할 경우 역사교육 차원에서 의미있는 콘텐츠의 한 부분이 될 수 있음
 
*#### 웹 문서 제작 수량 및 관련 콘텐츠 형식 제시 (텍스트 서술 및 표 활용)
 
*#### 웹 문서 제작 수량 및 관련 콘텐츠 형식 제시 (텍스트 서술 및 표 활용)
 
*#### 선정된 초상화 목록 (표 첨부)
 
*#### 선정된 초상화 목록 (표 첨부)
207번째 줄: 207번째 줄:
 
====신규계획서와의 연계 작성자료====
 
====신규계획서와의 연계 작성자료====
 
*[[미디어:궁중기록화 연구계획서.pdf|궁중기록화 연구계획서 초안]]
 
*[[미디어:궁중기록화 연구계획서.pdf|궁중기록화 연구계획서 초안]]
 +
*[[궁중기록화 네트워크그래프 예시]]
  
====궁중기록화와 표준영정(총 43명)====
+
====궁중기록화와 국가지정 초상화(총 74점)과 표준영정(총 43점)====
*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표준영정 선정.
+
* 선정기준
* 왕실인물, 관복, 군복, 사인복(출입상복, 연거복), 여성으로 분류함.
+
** 국가지정 초상화 : 국보, 보물. 고려말~조선말까지의 인물.
 +
** 표준영정 : 조선시대 인물.
 +
* 분류기준
 +
** 왕실인물, 관복, 군복, 사인복(출입상복, 연거복), 여성.
  
  
#'''왕실 인물 복식'''  
+
 
 +
* 국보‧보물로 지정된 초상화
 +
#'''왕실 인물 복식(4)'''
 +
#*국보 제317호 조선태조어진 [[익선관(翼善冠)]] [[곤룡포(袞龍袍)]] [[흉배(胸背)]] [[대(帶)]] [[화(靴)]] [[정(精)]]
 +
#*보물 제932호 영조어진 [[익선관(翼善冠)]] [[곤룡포(袞龍袍)]] [[흉배(胸背)]] [[대(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491호 연잉군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492호 철종어진 [[전립(氈笠)]] [[전복(戰服)]] [[동다리(同多里)]] [[전대(戰帶)]] [[요대(腰帶)]] [[목화(木靴)]]
 +
#'''관복(49)'''
 +
#*보물 제487호 정탁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502호 장말손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566호 유근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588호 강민첨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589호 강현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590호 강세황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613호 신숙주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715호 김중만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717호 주세붕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739호 고희 초상 및 문중유물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792호 이상길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941-2호 선조어서사송언신밀찰첩및송언신초상-송언신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110-2호 정몽주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174-2호 이중로 정사공신교서 및 초상-이중로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176호 유수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177호 오명항 초상 및 양무공신교서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189-1호 박문수 초상(대본)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189-2호 박문수 초상(소본)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190호 오자치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215-3호 이색초상-누산영당본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216호 손소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305호 김완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435호 이원익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477-1호 채제공 초상 일괄-시복본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477-2호 채제공 초상 일괄 - 금관조복본 [[양관(梁冠)]] [[조복(朝服)]] [[대(帶)]] [[홀(笏)]]
 +
#*보물 제1477-3호 채제공 초상 일괄-흑단령포본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478호 조씨삼형제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479호 유숙 초상 및 관련 교지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480호 심환지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481호 김유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482호 이시방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484호 남구만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485호 강이오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489호 박유명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490호 이성윤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493호 오재순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496호 윤급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498호 조선후기 문인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499-1호 이하응 초상 일괄(서울역사박물관)
 +
#**흑단령포본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금관조복본 [[양관(梁冠)]] [[조복(朝服)]] [[대(帶)]] [[홀(笏)]]
 +
#*보물 제1501호 이덕성 초상 및 관련자료 일괄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502호 전 윤효전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503호 임장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504호 유언호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509호 허목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724호 박사익 초상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897호 서경우 초상 및 함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898호 서문중 초상 및 함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보물 제1927호 박동형 초상 및 함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
#'''사인복''' 
 +
## 출입상복(4)
 +
##*보물 제872호 이현보초상
 +
##*보물 제1221호 김진 초상
 +
##*보물 제1497호 김시습 초상
 +
##*보물 제1510호 최익현 초상
 +
## 연거복(13)
 +
##*국보 제239호 송시열초상
 +
##*보물 제1298호 조영복 초상
 +
##*보물 제1483호 이채 초상
 +
##*보물 제1486호 이광사 초상
 +
##*보물 제1487호 서직수 초상
 +
##*보물 제1488호 심득경 초상
 +
##*보물 제1494호 황현 초상 및 사진
 +
##*보물 제1495호 윤증 초상 일괄
 +
##*보물 제1499-1호 이하응 초상 일괄(서울역사박물관)
 +
##**와룡관학창의본
 +
##**흑건청포본
 +
##**복건심의본
 +
##*보물 제1500호 김이안 초상
 +
##*보물 제1728호 허전 초상
 +
#'''여말선초 인물 초상화(4)'''
 +
#*국보 제110호 이제현 초상
 +
#*국보 제111호 안향 초상
 +
#*보물 제594호 최덕지초상및유지초본
 +
#*보물 제1097호 염제신초상
 +
 
 +
 
 +
 
 +
* 표준영정
 +
#'''왕실 인물 복식(5)'''  
 
#*세종 [[익선관(翼善冠)]] [[곤룡포(袞龍袍)]] [[흉배(胸背)]] [[대(帶)]] [[화(靴)]] [[정(精)]]
 
#*세종 [[익선관(翼善冠)]] [[곤룡포(袞龍袍)]] [[흉배(胸背)]] [[대(帶)]] [[화(靴)]] [[정(精)]]
 
#*영조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대(帶)]] [[화(靴)]] [[정(精)]]
 
#*영조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대(帶)]] [[화(靴)]] [[정(精)]]
219번째 줄: 311번째 줄:
 
#*철종 [[전립(氈笠)]] [[전복(戰服)]] [[동다리(同多里)]] [[전대(戰帶)]] [[요대(腰帶)]] [[목화(木靴)]]
 
#*철종 [[전립(氈笠)]] [[전복(戰服)]] [[동다리(同多里)]] [[전대(戰帶)]] [[요대(腰帶)]] [[목화(木靴)]]
 
#*태조 이성계 [[익선관(翼善冠)]] [[곤룡포(袞龍袍)]] [[흉배(胸背)]] [[대(帶)]] [[화(靴)]] [[정(精)]]
 
#*태조 이성계 [[익선관(翼善冠)]] [[곤룡포(袞龍袍)]] [[흉배(胸背)]] [[대(帶)]] [[화(靴)]] [[정(精)]]
#'''관복'''  
+
#'''관복(17)'''  
 
#*김육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김육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김정희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김정희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胸背)]] [[품대(品帶)]] [[화(靴)]] [[정(精)]]
237번째 줄: 329번째 줄:
 
#*허준 [[양관(梁冠)]] [[조복(朝服)]] [[대(帶)]]
 
#*허준 [[양관(梁冠)]] [[조복(朝服)]] [[대(帶)]]
 
#*황희 [[사모(紗帽)]] [[단령(團領)]] [[품대(品帶)]] [[흉배(胸背)]]  
 
#*황희 [[사모(紗帽)]] [[단령(團領)]] [[품대(品帶)]] [[흉배(胸背)]]  
#'''군복'''  
+
#'''군복(2)'''  
#*신립 갑옷?? - 상의 필요
+
#*신립 [[투구]] [[갑옷]] [[수화자]]
#*조심태 융복 [[전립(戰笠)]] [[전복(戰服)]] [[동다리(同多里)]] [[철릭(帖裏)]] [[대(帶)]] [[화(靴)]] [[정(精)]]
+
#*조심태 [[전립(戰笠)]] [[전복(戰服)]] [[동다리(同多里)]] [[철릭(帖裏)]] [[대(帶)]] [[화(靴)]] [[정(精)]]
 
#'''사인복'''   
 
#'''사인복'''   
## 출입상복
+
## 출입상복(4)
##*김대건 [[흑립(黑笠)]] [[도포(道袍)??]] [[()]]
+
##*김대건 [[흑립(黑笠)]] [[()]] [[세조대(細絛帶)]]
##*김병연(김삿갓) [[방립(方笠)]] [[도포(道袍)??]]  
+
##*김병연(김삿갓) [[삿갓]] [[두루마기]]  
##*김정호 [[흑립(黑笠)]] [[도포(道袍)??]]
+
##*김정호 [[흑립(黑笠)]] [[()]]
##*김홍도 [[흑립(黑笠)]] [[도포(道袍)??]]  [[()]]
+
##*김홍도 [[흑립(黑笠)]] [[(道袍)]]  [[세조대(細絛帶)]]
## 연거복  
+
## 연거복 (10)
##*윤선도 [[방관(方冠)]] [[창의(氅衣)]] [[()]] [[혜(鞋)]]  
+
##*윤선도 [[방관(方冠)]] [[창의(氅衣)]] [[세조대(細絛帶)]] [[혜(鞋)]]  
##*정약용 [[방관(方冠)]] [[도포(道袍)??]]
+
##*정약용 [[방관(方冠)]] [[도포()]]
##*조헌 [[방관(方冠)]] [[도포(道袍)??]]
+
##*조헌 [[방관(方冠)]] [[(道袍)]] [[세조대(細絛帶)]]
##*한호 [[방관(方冠)]] [[도포(道袍)??]] [[()]]
+
##*한호 [[방관(方冠)]] [[()]] [[세조대(細絛帶)]]
##*허균 [[방관(方冠)]] [[도포(道袍)??]] [[()]] [[혜(鞋)]]
+
##*허균 [[방관(方冠)]] [[도포(道袍)]] [[세조대(細絛帶)]] [[혜(鞋)]]
 
##*이이 [[복건(幅巾)]] [[심의(深衣)]] [[대(帶)]] [[화(靴)]] [[정(精)]]
 
##*이이 [[복건(幅巾)]] [[심의(深衣)]] [[대(帶)]] [[화(靴)]] [[정(精)]]
 
##*이익 [[복건(幅巾)]] [[심의(深衣)]] [[대(帶)]]
 
##*이익 [[복건(幅巾)]] [[심의(深衣)]] [[대(帶)]]
257번째 줄: 349번째 줄:
 
##*유인석 [[복건(幅巾)]] [[심의(深衣)]] [[대(帶)]]
 
##*유인석 [[복건(幅巾)]] [[심의(深衣)]] [[대(帶)]]
 
##*이황 [[복건(幅巾)]] [[심의(深衣)]] [[대(帶)]]
 
##*이황 [[복건(幅巾)]] [[심의(深衣)]] [[대(帶)]]
#'''여성''' - 더 상세히 구분할수 있는 복식명?
+
#'''여성(5)'''
 
#*김만덕 [[장옷]] [[치마]] [[혜(鞋)]]  
 
#*김만덕 [[장옷]] [[치마]] [[혜(鞋)]]  
 
#*논개 [[저고리]] [[치마]]
 
#*논개 [[저고리]] [[치마]]
317번째 줄: 409번째 줄:
 
** 신라 경순왕(?~979)  
 
** 신라 경순왕(?~979)  
 
**# 하동 경천묘 경순왕 어진 -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474호, 경남 하동군, ?
 
**# 하동 경천묘 경순왕 어진 -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474호, 경남 하동군, ?
 +
 +
[[분류:프로젝트관리]]

2017년 6월 14일 (수) 19:49 기준 최신판

0203 회의 0208 회의

  • 자유롭게 수정해 주세요~


회의 안건: 신규연구계획서 작성 1차회의 내용 수정

1차 회의 결과

표준영정 대상 선정시 문제가 될 여지

  • 최근 만들어진 표준영정의 경우 표준영정의 주인공이 역사적으로 얼마나 가치있는 인물이냐 라는 논쟁과 별개로, 지자체 또는 특정 문중이나 사단(재단)법인에서 문화사업을 목적으로 해서 제작한 것이 많기 때문에, 그러한 목적으로 최근 만들어진 영정들을 과연 현 시점에서 '한국의 기록문화유산'이라는 범주로 포괄할 수 있느냐 라는 측면에서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
  • 심의위원회가 있기 때문에 선정 과정에서 모두 심의를 거쳐 그러한 논란거리는 문제가 없지 않겠느냐 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심의위원회를 형식적 그룹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뚜렷하다. 실제 학계나 예술계에서 그 분들이 모두 실력있는 전문가로 평가받는 것도 아니고, 실질적인 차원에서 심의위원회의 심의를 통한 선정여부는 해당 작품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심의위원회가 통과시켰다고 해서 영정에 담긴 인물의 모습이 철저하게 고증된 것이라고 전문가들 사이에서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이유가 여기에 있다.
  • 표준영정은 정치적 방향 또는 학술적 발견에 따라 언제든지 다시 그려질 수 있다. 최근 친일논란으로 문제가 된 김은호, 장우성, 김기창 화백이 그린 영정들의 경우 향후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다시 만들어질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미 김은호 화백이 그린 논개 영정 같은 경우 윤여환 화백이 2007년 다시 그린 표준영정으로 교체되어 폐기된 상황이다. 김은호 화백의 친일행적과 별개로 그림에 담긴 인물의 고증도 철저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일본식 미인도 라는 평가를 받아 현재 해당 그림은 학계나 예술계에서 제대로 거론조차 되지 않는 상황이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현재 '표준영정'으로 지정된 그림 가운데는 다시 제작될 가능성이 높은 그림들이 많은 상황이다. 언제 다시 제작될지도 모르는 '표준영정'을 '한국기록문화유산'이라는 표제와 어울리는 대상으로 삼기 어려운 여지가 있는 것이다.

기타 영정/초상화 활용 가능성

  •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기록문화유산 가운데 하나로 '표준영정'을 바라보기는 어려울 듯하다. 단순히 그려진 시점때문만은 아니다. 민족기록화 같은 경우 초기 표준영정과 그려진 시점이나 창작된 목적에 있어서 다소 비슷한 일면을 갖기는 하지만, 현 시점에서 보았을 때 두 그림의 성격은 다르다. 국내 미술사 방면의 전문가들이 보았을 때, '한국기록문화유산'이라는 표제 아래 '표준영정'을 중심으로 정리하는 사업을 한다고 하면 긍정적으로 바라보기보다는 부정적으로 바라볼 사람들이 더 많을 것이라 여겨진다. 여러가지 난제가 있을 수 있음에도 '표준영정'으로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라면 현재 국보 및 보물로 지정된 영정/초상화가 대략 35점 정도 되는데, 굳이 '표준영정'만을 대상으로 삼지말고, 국보 및 보물로 지정된 영정/초상화 가운데 일부를 포함해서 하는 방향으로 고민해본다면 좋지 않을까 싶다.
  • 모든 '표준영정'을 사업대상으로 삼기에는 무리가 있다가 판단된다. 일부 인물들(단군, 김수로왕, 허왕후, 백제도미부인, 구형왕, 구형왕비, 서동, 선화공주, 정견모주, 이진사이왕 등)의 경우 신화적 설화적 성격을 갖기도 하고,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뚜렷한 행적이 없는 인물들도 있다. 표준영정의 인물들을 모두 사업대상으로 가져가지 않고, '적합성' 기준을 마련하여 그 가운데 일부를 선정해서 진행하는 것도 방편이 될 수 있을 듯싶다
  • '표준영정'에는 1차년도 사업인 '사찰승탑비' 결과물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인물들이 거의 없다. 따라서 1차년도 사업인 '사찰승탑비'의 결과물을 더욱 풍부하게 하기 위한 맥락에서는 현재 보물로 지정되어있는 초상화들 가운데 고승들의 초상(대략 15점)을 추가로 넣는다면 좋을 것같다.

향후 논의해야 할 초점

  • '표준영정'만을 가지고 할 지 아니면, '표준영정' 가운데 일부만을 선정하여 할 지 아니면, '표준영정' 가운데 일부와 '현재 국보 및 보물로 지정된 영정/초상화' 가운데 일부 또한 연구대상으로 삼아서 두 가지로 할 지에 대한 결정이 필요한 상황

교수님 피드백(2017년 2월6일 오전)

기존 교수님 생각

  • '표준영정'과 민족기록화와의 관련성
    제작 배경이나 의도와 관련하여 1차년도 사업의 대상인 민족기록화와 많은 연관이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음. 이 때문에 '표준영정'으로 해도 나쁘지 않겠다고 판단하신 것. 실제 관련이 있는 만큼 민족기록화와의 연관성에 대해 충실히 조사할 필요가 있음. 무엇보다 우리 연구계획서에서 1차년도 사업과의 연계성을 강조함에 있어서 중심이 되는 매개는 민족기록화임.
  • '표준영정'은 해외한국학 교재로 활용하는 데 있어 중요한 매개로 기능
    해외 학생들을 대상으로 우리 역사를 가르칠 때 특히 인물의 경우(조선시대 임금들) 이미지 없이 말이나 글로만 그 인물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때가 많은데, 그 효과가 매우 낮음. 1차년도 사업 결과물로 역사교재를 만들어 활용한다고 하였을 때 인물과 관련된 이미지가 부가되면 교육적 효과가 더 커지리라 생각함. 그렇게 보았을 때 인물이미지로서 적절한 매개가 되는 것이 '표준영정'이라 생각함. '표준영정'은 엄밀히 기록문화유산이라고 하기는 어려울 수 있겠지만, 1차년도 기록문화유산 중심의 사업 결과물을 더욱 풍부하게 하는 기능적 매개로서 매우 적절하다 판단됨.
  • '표준영정'을 활용하여 '인물'을 넘어 '시대' 및 '지리' 관련 요소 부각
    '표준영정'을 굳이 인물 정보 차원으로만 환원해서 생각하지 말고, 그것을 매개로 시대적 차원에서 역사적 사건을 조망한다든지 지리(지역)적 차원에서 문화자원을 연계한 형태로 콘텐츠를 제작할 경우 초등중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역사 및 지역문화 교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큼.

수정된 방향 제시

  • '표준영정'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수용하고 그것을 잘 포용해서 큰 논란이 없는 방향으로 연구계획서를 작성할 필요가 있음.
    • 예를 들어, 친일 논란이 있는 작가들의 작품의 경우, 그것들을 연구대상에서 제외하는 방향으로 가기보다는 오히려 현재 시점에서 발생하고 있는 그러한 논란들조차도 우리 콘텐츠에서 객관적으로 반영하여 기록물로 남긴다는 취지로 방향을 잡고, 그것을 연구계획서에 어떻게 반영할지에 대해 모색해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 판단됨.
  • '표준영정' 외 다른 초상/영정을 선정 및 적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판단됨.
    • 기존 1년차 사업의 인물데이터 정리 후 그것과의 연계성 도모
    • <예시>
      • 전주 경기전 전시관에 있는 조선시대 임금들의 영정
      • 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실린 초상들 모음
      • 보물 및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역대 고승 초상/영정

연구계획서에 들어갈 내용 초안

수정된 항목별 내용 및 분량 안배
  • 본문 목차
    1. 편찬의 목적 및 배경 1p
    2. 스토리텔링 소재의 적합성 1p
    3. 데이터베이스 편찬 내용 및 방법 11p
      1. 편찬 체계 및 절차 0.5p
      2. 편찬 내용 및 방법 9p
        1. 한국의 역사인물 초상화 DB 편찬 6p
        2. 기존 DB 편찬 내용과의 연계 3p
      3. 서비스 시스템 구축 1.5p
    4. 기대효과 및 출판적합성 1p
    5. 연구자의 연구경력 1p
  • 본문 내용
    1. 편찬의 목적 및 배경 1p
      • 한국의 역사인물 초상화(초상, 영정, 진영, 어진 등) 선정 맥락과 문화재로서 역사인물 초상화가 지니는 가치를 서술하고, 현재까지 한국의 초상화에 대해 출판된 서적이나 도록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환경에서 그 내용을 효과적으로 정리하여 서비스하는 콘텐츠가 없음을 강조
      • 선정된 역사인물 초상화가 1차년도 사업의 대상인 여러 형식의 기록문화유산 자원과 내용 면에서 밀접하게 연계되어 복합적으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임을 강조
        • 역사적 인물을 중심으로 한 지역문화 콘텐츠 및 교육용 교재로서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
        •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의 역사문화 교육용 교재로서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
    2. 스토리텔링 소재의 적합성 1p
      • 초상화가 지닌 이미지 매체로서의 강점과 초상화에 담긴 이야기 소재의 다층성
        • 초상화는 이미지로서 디지털 환경에서 이야기 자원의 중심 매개 역할을 하기에 좋은 소재임
        • 인물의 얼굴, 인물의 복장, 그림을 그리게 된 경위, 인물과 관련된 역사적 이야기 등 역사문화적 차원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야기들을 많이 품고 있음
      • 1차년도 사업 결과물과의 연계 가능성
        • 인물 정보가 이미지 형태로 기록문화유산과 연계했을 때 기능할 수 있는 역할의 풍부함
        • 4가지 기록문화 유산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인물 정보와 복합적으로 연계하여, 보다 풍부한 역사문화 지식을 탐구할 수 있는 매개로 기능할 수 있음
    3. 데이터베이스 편찬 내용 및 방법 11p
      1. 편찬 체계 및 절차 0.5p
        • 사업 관리 및 시스템 운용, DB 편찬 절차 정리(이미지 자료를 활용해서 압축적으로 표현)
      2. 편찬 내용 및 방법 9p
        1. 한국의 역사인물 초상화 DB 편찬 6p
          1. 초상화 선정 근거 및 그와 관련된 논리 제시 (텍스트)
            • 표준영정과 관련된 논란 가능성과 그에 대한 기록의 필요성
              • 김은호, 장우성, 김기창 화백 등이 그린 표준영정들의 경우 화가들의 친일파 행적으로 인해 현재 논란 중에 있음
              • 현 시점에서 그러한 논란의 맥락들을 해당 표준영정과 연계하여 객관적 기록으로 정리할 경우 역사교육 차원에서 의미있는 콘텐츠의 한 부분이 될 수 있음
          2. 웹 문서 제작 수량 및 관련 콘텐츠 형식 제시 (텍스트 서술 및 표 활용)
          3. 선정된 초상화 목록 (표 첨부)
          4. 역사인물 초상화 디지털 스토리텔링 네트워크 그래프 예시 (이미지 첨부)
        2. 기존 DB 편찬 내용과의 연계 3p
          1. 민족기록화와의 연계 : 민족기록화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인물들의 초상화를 중심으로 1.5p
            •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참고자료 가운데 '민족기록화 파트' 확인
          2. 궁중기록화와의 연계 : 중요한 복식 정보를 풍부하게 담고 있는 초상화를 중심으로 1.5p
            •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참고자료 가운데 '궁중기록화 파트' 확인
          3. 사찰승탑비와의 연계 : 승려 진영을 중심으로
          4. 한글고문헌과의 연계 : 조선시대 임금 어진을 중심으로
      3. 서비스 시스템 구축 1.5p
        1. 웹문서 집필 (텍스트만 작성)
        2. 역사인물 초상화 테마서비스1 - 가상 영당 (영당 VR) (이미지 첨부)
        3. 역사인물 초상화 테마서비스2 - 초상화의 복식을 통해 보는 인물 이야기 (이미지 첨부)
    4. 기대효과 및 출판적합성 1p
      • 디지털 환경에서의 한국 역사인물 초상화 아카이브 서비스
        • 현재 초상, 영정, 진영, 어진과 같은 그림을 디지털 환경에서 종합하여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아카이브가 없음
        • 역사인물에 대한 대중적 관심에 부합하여 학술적 의미를 제공하는 방식의 효과적 콘텐츠 구현
      • 1차년도 사업 성과물을 보다 확대하고 풍부하게 가공할 수 있는 보완 콘텐츠로서의 가치
        • 민족기록화, 궁중기록화, 사찰승탑비, 한글고문헌과의 풍부한 연계성 강조
        • 지역문화 교재 또는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문화 교재 편찬 시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
    5. 연구자의 연구경력 1p
      • 책임연구자 정보
      • 공동연구원 정보
  • 추친계획표 표 작성
  • 연구비 표 작성

신규 연구계획서 작성 관련 참고자료

민족기록화

신규계획서와의 연계 작성자료

민족기록화와 표준영정(총 37명)

  • 작가 '김기창'
    • 작가 '김기창'이 그린 민족기록화
    • 작가 '김기창'이 그린 표준영정(6명)
      • 2. 세종대왕
      • 6. 을지문덕
      • 10. 중복 조헌
      • 11. 고산자 김정호
      • 12. 무열왕
      • 13. 문무왕

민족기록화와 문화재 지정 영정(4명)

민족기록화에 누락된 표준영정인물&문화재지정영정인물 관련 주제

  • 가야(김수로왕, 허왕후, 정견모주, 이진사이왕, 우륵)와 백제시대(서동, 선화공주, 백제도미부인, 무왕, 무왕비) : 민족기록화에서 누락된 가야와 백제시대
  • 여성을 중심으로 보는 역사(백제도미부인, 신사임당, 허난설헌, 무왕비, 허왕후, 유관순, 정견모주, 김만덕, 장계향) : 민족기록화에서는 여성이 작품의 중심에 놓여있지 않다.
  • 문화예술관련 사건(김병연(조선후기 방랑시인), 윤선도, 한석봉, 우륵(대가야 음악가), 왕산악(고려의 음악가), 강수(신라 3대 문장가)) : 역사/문화 편의 민족기록화는 주로 역사적 사건을 다루고 있다.
  • 불교적 색채(일연, 이차돈, 원효대사, 의상대사, 최치원, 왕건)
  • 고려 말에서 조선 초, 격동의 시기에 뜻을 펼친 학자들 (정도전, 류방택, 정희계)
  • 한반도 종교 전파를 위해 목숨을 바친 인물들 (이차돈, 김대건)
  • 임진왜란를 이끈 장군, 의병장 (김천일, 정문부,송상현)


궁중기록화

신규계획서와의 연계 작성자료

궁중기록화와 국가지정 초상화(총 74점)과 표준영정(총 43점)

  • 선정기준
    • 국가지정 초상화 : 국보, 보물. 고려말~조선말까지의 인물.
    • 표준영정 : 조선시대 인물.
  • 분류기준
    • 왕실인물, 관복, 군복, 사인복(출입상복, 연거복), 여성.


  • 국보‧보물로 지정된 초상화
  1. 왕실 인물 복식(4)
  2. 관복(49)
  3. 사인복
    1. 출입상복(4)
      • 보물 제872호 이현보초상
      • 보물 제1221호 김진 초상
      • 보물 제1497호 김시습 초상
      • 보물 제1510호 최익현 초상
    2. 연거복(13)
      • 국보 제239호 송시열초상
      • 보물 제1298호 조영복 초상
      • 보물 제1483호 이채 초상
      • 보물 제1486호 이광사 초상
      • 보물 제1487호 서직수 초상
      • 보물 제1488호 심득경 초상
      • 보물 제1494호 황현 초상 및 사진
      • 보물 제1495호 윤증 초상 일괄
      • 보물 제1499-1호 이하응 초상 일괄(서울역사박물관)
        • 와룡관학창의본
        • 흑건청포본
        • 복건심의본
      • 보물 제1500호 김이안 초상
      • 보물 제1728호 허전 초상
  4. 여말선초 인물 초상화(4)
    • 국보 제110호 이제현 초상
    • 국보 제111호 안향 초상
    • 보물 제594호 최덕지초상및유지초본
    • 보물 제1097호 염제신초상


  • 표준영정
  1. 왕실 인물 복식(5)
  2. 관복(17)
  3. 군복(2)
  4. 사인복
    1. 출입상복(4)
    2. 연거복 (10)
  5. 여성(5)

사찰승탑비

사찰승탑비와 초상화


한글고문헌

한글고문헌과 어진(총 8명)

  • 어진으로 그려진 인물(8명)과 한글고문헌(48건: 중복 제거)
    • 조선 태조(1335~1408) : 수능엄경, 열성후비지문, 선보집략언해, 선원전 은제기 목록
      1. 조선태조어진 - 국보 제317호, 전북 전주시, 어진박물관
    • 조선 세종(1397~1450) : 아래 표준영정 언급 9건
      1. 세종대왕 표준영정 - 지정 2호, 운보 김기창 작
    • 조선 세조(1417~1468) : 월인석보, 대불정수능엄경,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어제내훈
      1. 합천해인사존상도(전세조대왕진영)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 331호, 경남 합천군, 해인사성보박물관
    • 조선 영조(1694~1776) : 아래 표준영정 언급 11건
      1. 영조어진 - 보물 제932호, 서울 종로구,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
      2. 영조 표준영정 - 지정 44호, 석영 최광수 작
    • 조선 정조(1752~1800) : 아래 표준영정 언급 12건
      1. 정조 표준영정 - 지정 42호, 이길범 작
    • 조선 철종(1831~1863) : 아래 표준영정 언급 1건
      1. 철종어진 - 보물 제1492호, 서울 종로구,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
      2. 철종 표준영정 - 지정 43호, 석영 최광수 작
    • 조선 고종(1852~1919) : 고종윤음,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왕실 의복 반사도, 왕실 분뇨도, 책황귀비홀기,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
      1. 고종황제 어진 - 전라북도 시도유형문화재 제220호, 전북 익산시, 원광대학교 박물관
      2. 고종어진 - 전북 전주시, 어진박물관, 2001년 권오창화백이 사진을 보고 모사
    • 조선 순종(1874~1926) : 간택단자, 왕세자빈 의대 발기, 각색 인문보 발기, 왕세자 관례 상격 발기,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왕세자 가례 차비관 발기, 순명효황후 한글편지
      1. 순종어진 - 전북 전주시, 어진박물관, 2001년 권오창화백이 사진을 보고 모사

한글고문헌과 초상화

  • 초상화(어진+표준영정)로 그려진 인물 총 18명, 한글고문헌 총 56건 (중복 제거)
    • 표준영정으로 그려진 인물(14명)과 한글고문헌(39건)
    • 어진으로 그려진 인물(8명)과 한글고문헌(48건)
  • 한글고문헌과 표준영정
    • 표준영정으로 그려진 인물(14명)과 한글고문헌(39건: 중복 제거)
      • 2. 세종대왕(운보 김기창 작) : 세종대왕 표준영정, 훈민정음 해례본, 동국정운, 홍무정운역훈, 월인천강지곡, 월인석보, 대불정수능엄경, 삼강행실도, 분류두공부시 언해
      • 4. 이황(현초 이유태 작) : 도산십이곡
      • 7. 이이(이당 김은호 작) : 고산구곡도
      • 22. 김홍도(일랑 이종상 작) : 오륜행실도, 불설대보부모은중경
      • 40. 허준(석영 최광수 작) : 언해두창집요, 언해태산집요, 동의보감내경편언해
      • 42. 정조(이길범 작) : 오륜행실도, 불설대보부모은중경, 가체신금사목, 자휼전칙, 정조윤음, 무예도보통지언해, 증수무원록언해, 혜경궁 읍혈록, 선원전 은제기 목록, 어제악장, 유빈박씨애책문, 정조가 큰외숙모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 43. 철종(석영 최광수 작) : 선보집략언해
      • 44. 영조(석영 최광수 작) : 어제자성편언해, 어제계주윤음, 어제경민음, 가체신금사목, 광산김씨 상언, 여사서, 열성후비지문, 선원전 은제기 목록, 소훈이씨 제문, 고문진보언해, 무목왕정충록
      • 45. 석봉 한호(홍용선 작) : 천자문
      • 46. 김육(오낭자 작) : 신간구활철요
      • 47. 최영(최대명 작) : 삼강행실도 몽주운명
      • 54. 정도전(권오창 작) : 삼강행실도 몽주운명
      • 81. 박팽년(윤여환 작) : 동국정운
      • 88. 윤선도(이종상 작) : 고산유고
  • 기타 어진
    • 신라 경순왕(?~979)
      1. 하동 경천묘 경순왕 어진 -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474호, 경남 하동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