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요대01 고궁박물관.jpg |사진출처=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대...) |
(→내용)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왕]], [[왕세자]], [[백관]] 등이 군복 위에 착용하는 허리띠이다.<ref> 이은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4501&cid=58840&categoryId=58853 왕의 군복과 융복]", | + | [[왕]], [[왕세자]], [[백관]] 등이 군복 위에 착용하는 허리띠이다.<ref> 이은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4501&cid=58840&categoryId=58853 왕의 군복과 융복]", 네이버캐스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내용'''== | =='''내용'''== | ||
− | 직사각형으로 가슴에 한 번 두를 수 있는 길이로 만든다. 두껍게 접은 종이를 검은 빛의 우단이나 비단으로 | + | 직사각형으로 가슴에 한 번 두를 수 있는 길이로 만든다. 두껍게 접은 종이를 검은 빛의 우단이나 비단으로 싸서 요대를 만든다. 이를 가슴에 둘러 조여줌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긴장을 늦추지 않도록 하였다. [[왕]]은 길상무늬를 다양한 색으로 수놓아 다른 신분의 [[요대]]와 구별하였다.<ref>이은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4501&cid=58840&categoryId=58853 왕의 군복과 융복]", 네이버캐스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62번째 줄: | 62번째 줄: | ||
* 박가영,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 박가영,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
* 李成熙, 「軍服飾의 記號學的 分析-舊韓末 期陸軍服을 中心으로-」, 상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 李成熙, 「軍服飾의 記號學的 分析-舊韓末 期陸軍服을 中心으로-」, 상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
− | |||
− | |||
−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복식]] | [[분류:복식]] |
2017년 12월 18일 (월) 23:22 기준 최신판
광대 (廣帶) |
|
대표명칭 | 광대 |
---|---|
한자표기 | 廣帶 |
이칭별칭 | 요대(腰帶) |
구분 | 대 |
착용신분 | 왕, 왕세자, 왕세손, 백관 |
착용성별 | 남성 |
정의
왕, 왕세자, 백관 등이 군복 위에 착용하는 허리띠이다.[1]
내용
직사각형으로 가슴에 한 번 두를 수 있는 길이로 만든다. 두껍게 접은 종이를 검은 빛의 우단이나 비단으로 싸서 요대를 만든다. 이를 가슴에 둘러 조여줌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긴장을 늦추지 않도록 하였다. 왕은 길상무늬를 다양한 색으로 수놓아 다른 신분의 요대와 구별하였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왕 | 광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세자 | 광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백관 | 광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의 군복 | 광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왕세자의 군복 | 광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군복 | 광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광대 | 동다리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광대 | 전복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철종(哲宗, 1831∼1863)의 군복 착용 초상.[3]
영상
주석
- ↑ 이은주, 왕의 군복과 융복", 네이버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은주, 왕의 군복과 융복", 네이버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 ↑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권오선, 「조선후기 동다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金正子, 「韓國軍服의 變遷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24권 4호, 대한가정학회, 1986.
- 金賢舜, 「軍服에 對한 硏究 -具軍服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 문광희, 「조선 후기 甲胄 및 具軍服에 관한 연구-부산 忠烈祠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제7권 1호, 한복문화학회, 2004.
- 박가영,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李成熙, 「軍服飾의 記號學的 分析-舊韓末 期陸軍服을 中心으로-」, 상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