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수광-청산리싸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계정보)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1920년 10월 [[김좌진|김좌진 | + | 1920년 10월 [[서일]]총재, [[김좌진|김좌진]], [[홍범도|홍범도]] 등이 지휘하는 독립군 부대가 [[청산리]] 일대에서 일본군을 물리친 [[청산리대첩]] 장면을 그린 [[손수광]]의 민족기록화이다.<br/> |
=='''설명'''== | =='''설명'''==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right|450px]]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right|450px]] | ||
− | [[청산리대첩]]은 1920년 10월 [[김좌진]](金佐鎭)·[[나중소]](羅仲昭)·[[이범석]](李範奭)이 지휘하는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과 [[홍범도]](洪範圖)가 이끄는 [[대한독립군]](大韓獨立軍) 등을 주력으로 한 '''④⑤⑥⑦⑧⑨ 독립군부대'''가 독립군 토벌을 위해 [[간도]]에 출병한 '''①②④⑤ 일본군'''을 [[청산리]] 일대에서 10여 회의 전투 끝에 대파한 전투이다. 이는 독립군이 일본군의 [[간도]] 출병 후 그들과 대결한 전투 중 가장 큰 규모였으며, 독립군이 최대의 전과를 거둔 가장 빛나는 승리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468 청산리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청산리대첩]](靑山里大捷)은 1920년 10월 [[서일]](徐一)총재, [[김좌진]](金佐鎭, 1889~1930)·[[나중소]](羅仲昭, 1867~1928)·[[이범석]](李範奭, 1900∼1972)이 지휘하는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과 [[홍범도]](洪範圖)가 이끄는 [[대한독립군]](大韓獨立軍) 등을 주력으로 한 '''④⑤⑥⑦⑧⑨ 독립군부대'''가 독립군 토벌을 위해 [[간도]](間島)에 출병한 '''①②④⑤ 일본군'''을 [[청산리]] 일대에서 10여 회의 전투 끝에 대파한 전투이다. 이는 독립군이 일본군의 [[간도]] 출병 후 그들과 대결한 전투 중 가장 큰 규모였으며, 독립군이 최대의 전과를 거둔 가장 빛나는 승리였다.<ref>이강훈,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468 청산리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작품 배경=== | ===작품 배경=== | ||
− | 독립군들은 작품의 배경이 되는 [[청산리]] 백운평(白雲坪) 바로 위쪽의 고개마루와 계곡 양쪽에 매복하였는데, 이곳은 동서로 약 25㎞에 달하는 긴 계곡으로서, 좌우 인마(人馬)의 통행이 곤란할 정도로 울창한 삼림지대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468 청산리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독립군은 이러한 지형을 이용하여 | + | 독립군들은 작품의 배경이 되는 [[청산리]] 백운평(白雲坪) 바로 위쪽의 고개마루와 계곡 양쪽에 매복하였는데, 이곳은 동서로 약 25㎞에 달하는 긴 계곡으로서, 좌우 인마(人馬)의 통행이 곤란할 정도로 울창한 삼림지대였다.<ref>이강훈,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468 청산리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독립군은 이러한 지형을 이용하여 수적 열세를 극복하고 일본군에 맞서 마침내 패퇴시킬 수 있었다. |
===그림 읽기=== | ===그림 읽기=== | ||
28번째 줄: | 29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47/C047.htm "청산리싸움"(손수광)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47/C04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80번째 줄: | 86번째 줄: | ||
===관련 민족기록화=== | ===관련 민족기록화===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항일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 | + |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
− | + | 파일: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장리석-홍주성수복]] | |
− | + | 파일: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정창섭-태백산전투]] | |
− | 파일: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 | + | 파일: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 | 파일: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 | + | 파일: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
− | 파일: | + | 파일: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
− | 파일: | + | 파일: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손수광-청산리싸움]] |
− | 파일: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 | + | 파일: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
− | 파일: | + | 파일: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
− | 파일: | + | 파일:문학진-삼일운동-1976s.jpg|[[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
− | 파일: | ||
− | 파일:문학진-삼일운동-1976s.jpg| | ||
− | |||
− | |||
</gallery> | </gallery>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 | < | + | <html>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1/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1/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갤러리=== | ||
114번째 줄: | 119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 #웹 자원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468 청산리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이강훈,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468 청산리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유용한 정보===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1004 청산리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 #이강훈,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468 청산리 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404&content_id=cp020814040001&search_left_menu=4 청산리 전투]", 한민족 전투원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콘텐츠닷컴.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분류:문헌]] |
2024년 3월 14일 (목) 14:36 기준 최신판
청산리싸움 | |
작가 | 손수광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계몽/항일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독립기념관 |
목차
정의
1920년 10월 서일총재, 김좌진, 홍범도 등이 지휘하는 독립군 부대가 청산리 일대에서 일본군을 물리친 청산리대첩 장면을 그린 손수광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청산리대첩(靑山里大捷)은 1920년 10월 서일(徐一)총재, 김좌진(金佐鎭, 1889~1930)·나중소(羅仲昭, 1867~1928)·이범석(李範奭, 1900∼1972)이 지휘하는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과 홍범도(洪範圖)가 이끄는 대한독립군(大韓獨立軍) 등을 주력으로 한 ④⑤⑥⑦⑧⑨ 독립군부대가 독립군 토벌을 위해 간도(間島)에 출병한 ①②④⑤ 일본군을 청산리 일대에서 10여 회의 전투 끝에 대파한 전투이다. 이는 독립군이 일본군의 간도 출병 후 그들과 대결한 전투 중 가장 큰 규모였으며, 독립군이 최대의 전과를 거둔 가장 빛나는 승리였다.[1]
작품 배경
독립군들은 작품의 배경이 되는 청산리 백운평(白雲坪) 바로 위쪽의 고개마루와 계곡 양쪽에 매복하였는데, 이곳은 동서로 약 25㎞에 달하는 긴 계곡으로서, 좌우 인마(人馬)의 통행이 곤란할 정도로 울창한 삼림지대였다.[2] 독립군은 이러한 지형을 이용하여 수적 열세를 극복하고 일본군에 맞서 마침내 패퇴시킬 수 있었다.
그림 읽기
-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손수광-청산리싸움 | 손수광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손수광-청산리싸움 | 독립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손수광-청산리싸움 | 청산리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손수광-청산리싸움 | 청산리대첩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손수광-청산리싸움 | 김좌진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북로군정서 | 청산리대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좌진 | 북로군정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나중소 | 북로군정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범석 | 북로군정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대한독립군 | 청산리대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홍범도 | 대한독립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청산리대첩 | 청산리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청산리 | 간도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손수광이 손수광-청산리싸움을 제작하였다. |
1920년 10월 | 북로군정서군과 대한독립군이 청산리대첩에 참여하였다. |
1998년 12월 30일-현재 | 독립기념관이 손수광-청산리싸움을 소장하고 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783745 | 127.223215 | 독립기념관이 손수광-청산리싸움을 소장하고 있다. |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대한뉴스 제 880호-이범석 장군 서거(게시일: 2016년 11월 21일)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이강훈, "청산리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강훈, "청산리대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