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3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민족/기획기사보기|
 +
|기획기사=[[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고려의 항쟁]]
 +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민족기록화_샘플
 
{{민족기록화_샘플
5번째 줄: 8번째 줄:
 
|작가= [[박창돈]]
 
|작가= [[박창돈]]
 
|제작연도= 1976년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290.9x197cm)
+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군사/전쟁
 
|유형= 군사/전쟁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
|소장처= [[전쟁기념관]]
|필드수=7
+
|필드수=8
 
}}
 
}}
  
 +
=='''정의'''==
 +
1376년([[고려 우왕]] 2), [[최영]]장군이 고려를 침입한 왜구를 홍산에서 섬멸하는 장면을 그린 [[박창돈]]의 민족기록화이다.
  
=='''개요'''==
+
=='''설명'''==
[[파일:민족_샘플2.JPG|800px|center]]
+
===작품 소재===
고려 우왕 2년(1376년), 최영장군이 고려를 침입한 왜구를 홍산(현 충남 부여)에서 섬멸하는 장면.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right|450px]]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
1376년 7월 서해안으로 칩입한 왜구는 공주를 거쳐 연산의 [[연산 개태사 | 개태사]](開泰寺)를 점령하고 고려군을 이끌던 도원수 [[박인계]](朴仁桂)를 전사케 한 후 [[홍산]](鴻山 : 충남 부여)까지 진출하였다.<br/>
 +
이에 [[최영]](崔瑩, 1316~1388)은 나이를 들어 말리는 [[고려 우왕 | 우왕]](禑王, 1365~1389)에게 간청하여 [[최공철]](崔公哲), [[강영]](康永), [[박수년]](朴壽年) 등과 함께 고려군을 이끌고 [[홍산]]에서 적과 대치하였다. 험준한 지형에 의지하여 대응하는 왜구에 장수들이 겁을 먹고 전진하지 못하였는데 [[최영]]이 몸소 군사의 진두에 서서 돌진하였다.<br/>  
 +
적이 숲속에 숨어 [[최영]]을 쏘아 입술을 맞추니 피가 낭자하게 흘렀는데, 태연자약하게 적을 향해 활시위를 당겨서 쓰러뜨리고 이내 맞은 화살을 뽑았다. [[최영]]이 더욱 힘쓰니 마침내 적을 크게 격파하여 거의 다 죽이거나 사로잡았다.<ref>"[http://db.history.go.kr/KOREA/search/searchResult.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itemIds=&indexSearch=Y&codeIds=PERIOD-0-3&synonym=&chinessChar=&searchTermImages=&searchKeywordType=indexName2&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p10155&searchKeywordConjunction=AND#searchDetail/kr/kr_113_0010_0040_0070/159/60/159/o  열전 권제26 최영]", 고려사 , 『한국사데이타베이스』<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ref>
  
=='''내용'''==
+
===작품 배경===
1376년 7월 서해안으로 칩입한 왜구는 공주와 연산의 개태사를 점령하고 고려군을 이끌던 도원수 박인계를 전사케 한 후 홍산까지 진출하였다. 이에 최영은 나이를 들어 말리는 우왕에 간청하여 최공철 강영 박수년 등과 함께 고려군을 이끌고 홍산에서 적과 대치하였다. 험준한 지형에 의지하여 대응하는 왜구에 장수들이 겁을 먹고 전진하지 못하였는데 최영이 몸소 군사의 진두에 서서 돌진하였다.<br/>
+
홍산은 현재의 충청남도 부여지역으로, 본래 백제의 대산현(大山縣)이었는데 940년(태조 23년) 홍산으로 고쳤다. 1895년(고종 32년) 군(郡)으로 승격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부여군에 병합되어 홍산면이 되었다. 지명은 그 모양이 나는 기러기처럼 생긴 비홍산(飛鴻山)에서 유래하였다. 고려 우왕 때 왜구의 침입이 빈번하였다.<ref>박관섭,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126 홍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적이 숲속에 숨어 최영을 쏘아 입술을 맞추니 피가 낭자하게 흘렀는데, 태연자약하게 적을 쏘아 활시위를 당겨서 쓰러뜨리고 이내 맞은 화살을 뽑았다. 최영이 더욱 힘쓰니 마침내 적을 크게 격파하여 거의 다 죽이거나 사로잡았다.<ref>[http://db.history.go.kr/KOREA/search/searchResult.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itemIds=&indexSearch=Y&codeIds=PERIOD-0-3&synonym=&chinessChar=&searchTermImages=&searchKeywordType=indexName2&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p10155&searchKeywordConjunction=AND#searchDetail/kr/kr_113_0010_0040_0070/159/60/159/o 고려사 열전 제26 제신 최영편]</ref>
 
  
=='''관련 민족기록화'''==
+
===작품 구도===
민족기록화 전승편
+
전장(戰場)은 앙상하게 '''③⑤⑥⑦⑧⑨불에 탄 나무와 흰 연기'''로 휩싸여 있고 백마를 타고 갑옷을 입은 노령의 '''④[[최영]]'''이 적진을 향해 활시위를 힘껏 당기고 있는 장면이 화면에 두드러지게 배치되어 있다.
<gallery>
 
파일:이종상-태종무열왕-1976s.jpg|[[이종상-태종무열왕]]
 
파일:오승우-황산싸움(계백)-1976s.jpg|[[오승우-황산싸움]]
 
파일:정영렬-사수싸움(연개소문)-1976s.jpg|[[정영열-연개소문의 사수싸움]]
 
파일:이인영-안융진담판(서희)-1976s.jpg|[[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김태-홍의장군 곽재우]]
 
파일: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파일:신영상-백마산성훈련(임경업)-1976s.jpg|[[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파일: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파일:박각순-오산학교(이승훈)-1976s.jpg|[[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파일:장이석-계몽강연(안창호)-1976s.jpg|[[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파일:최대섭-독립선언-1976s.jpg|[[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파일:문학진-삼일운동-1976s.jpg|[[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파일: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gallery>
 
  
 +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imagemap>
 +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박창돈 「최영장군의 홍산전투」 1976|800px|center
 +
rect 7 111 383 530 [[최영]]
 +
</imagemap>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스케치 01.jpg | [[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12&gubun=search 민족기록화1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스케치 02.jpg | [[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3&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스케치 03.jpg | [[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
 +
[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03&gubun=search 민족기록화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gallery><br/>
  
=='''추출정보'''==
+
=='''지식 관계망'''==
===작품정보 연결망===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21/C021.htm "최영장군의 홍산전투"(박창돈) 지식관계망]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장동룡/최영장군의홍산전투.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21/C02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박창돈]]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홍산전투]]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전쟁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최영]]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고려의 항쟁]]  ||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A dcterms:hasPart B
 +
|-
 +
|[[최영]] || [[홍산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최공철]] || [[홍산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박수년]] || [[홍산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에 의해 그려지다|| [[박창돈]]
+
|[[홍산전투]] || [[고려말 왜구의 침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황산대첩]] || [[고려말 왜구의 침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이성계]] || [[황산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진포대첩]] || [[고려말 왜구의 침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나세]] ||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심덕부]] ||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최무선]] ||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화포]] || [[진포대첩]]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진포대첩]] || [[황산대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관음포전투]] || [[고려말 왜구의 침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정지]] || [[관음포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최무선]] || [[관음포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화포]] || [[관음포전투]]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최영]] || [[조선 태조 | 이성계]]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시간정보===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PAGENAME}}||제작연도|| 1976년
+
|1376년 07월 || [[최영]]이 [[홍산전투]]에 참가하였다
 
|-
 
|-
|전쟁기념관||소장처|| 1998년
+
|1976년 || [[박창돈]]이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를 제작하였다
 +
|-
 +
|1979년 || [[관세청]]이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를 대여하였다
 +
|-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관세청]]이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를 대여하였다
 +
|-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를 소장하고 있다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37.537224 || 126.977081 || [[전쟁기념관]]이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를 소장하고 있다
 +
|}
  
=='''참고문헌'''==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고려시대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1019년 [[이용환-귀주대첩]]
 +
파일: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1107년 [[안재후-여진정벌]]
 +
파일: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1270년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파일: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1356년 [[문학진-쌍성수복]]
 +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1370년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1376년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gallery>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2/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영상===
 +
*'''부여 백제방송 - 홍산대첩문화제(게시일: 2014년 4월 14일)'''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cpznRRJgk-Y"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구국위업]][[분류:고려]]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 대한민국국회위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
 +
#웹 자원
 +
#* 손홍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128 홍산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3:58 기준 최신판



최영장군의 홍산전투
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
작가 박창돈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군사/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정의

1376년(고려 우왕 2), 최영장군이 고려를 침입한 왜구를 홍산에서 섬멸하는 장면을 그린 박창돈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

1376년 7월 서해안으로 칩입한 왜구는 공주를 거쳐 연산의 개태사(開泰寺)를 점령하고 고려군을 이끌던 도원수 박인계(朴仁桂)를 전사케 한 후 홍산(鴻山 : 충남 부여)까지 진출하였다.
이에 최영(崔瑩, 1316~1388)은 나이를 들어 말리는 우왕(禑王, 1365~1389)에게 간청하여 최공철(崔公哲), 강영(康永), 박수년(朴壽年) 등과 함께 고려군을 이끌고 홍산에서 적과 대치하였다. 험준한 지형에 의지하여 대응하는 왜구에 장수들이 겁을 먹고 전진하지 못하였는데 최영이 몸소 군사의 진두에 서서 돌진하였다.
적이 숲속에 숨어 최영을 쏘아 입술을 맞추니 피가 낭자하게 흘렀는데, 태연자약하게 적을 향해 활시위를 당겨서 쓰러뜨리고 이내 맞은 화살을 뽑았다. 최영이 더욱 힘쓰니 마침내 적을 크게 격파하여 거의 다 죽이거나 사로잡았다.[1]

작품 배경

홍산은 현재의 충청남도 부여지역으로, 본래 백제의 대산현(大山縣)이었는데 940년(태조 23년) 홍산으로 고쳤다. 1895년(고종 32년) 군(郡)으로 승격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부여군에 병합되어 홍산면이 되었다. 지명은 그 모양이 나는 기러기처럼 생긴 비홍산(飛鴻山)에서 유래하였다. 고려 우왕 때 왜구의 침입이 빈번하였다.[2]

작품 구도

전장(戰場)은 앙상하게 ③⑤⑥⑦⑧⑨불에 탄 나무와 흰 연기로 휩싸여 있고 백마를 타고 갑옷을 입은 노령의 최영이 적진을 향해 활시위를 힘껏 당기고 있는 장면이 화면에 두드러지게 배치되어 있다.

그림 읽기

최영박창돈 「최영장군의 홍산전투」 1976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박창돈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홍산전투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전쟁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최영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고려의 항쟁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A dcterms:hasPart B
최영 홍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최공철 홍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박수년 홍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홍산전투 고려말 왜구의 침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황산대첩 고려말 왜구의 침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성계 황산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진포대첩 고려말 왜구의 침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나세 진포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심덕부 진포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최무선 진포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화포 진포대첩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진포대첩 황산대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관음포전투 고려말 왜구의 침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지 관음포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최무선 관음포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화포 관음포전투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최영 이성계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376년 07월 최영홍산전투에 참가하였다
1976년 박창돈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를 제작하였다
1979년 관세청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를 대여하였다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관세청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를 대여하였다
1998년-현재 전쟁기념관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를 소장하고 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37224 126.977081 전쟁기념관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를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영상

  • 부여 백제방송 - 홍산대첩문화제(게시일: 2014년 4월 14일)

주석

  1. "열전 권제26 최영", 고려사 , 『한국사데이타베이스』online, 국사편찬위원회.
  2. 박관섭, "홍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민족기록화1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4.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대한민국국회위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
  2. 웹 자원
    • 손홍렬, "홍산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