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도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인천항 제2도크) |
(→참고문헌)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장소정보 | {{장소정보 | ||
− | |사진= | + | |사진= 민족기록화_장소_인천항 도크_인천항도크모습.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http://incheonport.tistory.com/1994 인천항 갑문에 대해 알아보자!]", useful/특파룡의 현장취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인천항만공사 공식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인천항만공사. |
|대표명칭= 인천항 도크 | |대표명칭= 인천항 도크 | ||
|한자표기= | |한자표기= |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이칭= | |이칭= | ||
− | |유형= | + | |유형= |
− | |주소= | + | |주소= 인천광역시 신포동 인천항 |
− | |위도= | + | |위도= 37.4594566 |
− | |경도= 126. | + | |경도= 126.6168906 |
|관련인물= | |관련인물= | ||
|관련단체= | |관련단체= | ||
− | |관련장소= | + | |관련장소= [[인천항]] |
|관련물품= | |관련물품= | ||
|관련유물유적= | |관련유물유적= | ||
}} | }} | ||
=='''정의'''== | =='''정의'''== | ||
+ | 수위를 조정하기 위해 [[인천항]]에 설치된 [[갑문식 도크]]를 말한다. | ||
=='''내용'''== | =='''내용'''== | ||
− | + | 조석간만의 차가 심한 항만에서 선박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수위를 조정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구조물을 갑문<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5272docId=1056757&cid=40942&categoryId=32191 갑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 온라인 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br/>이라고 하는데, [[인천항 도크]]는 [[인천항 제1도크]]와 [[인천항 제2도크]]로 이루어졌다.<br/> | |
− | 조석간만의 차가 심한 항만에서 선박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수위를 조정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구조물을 | + | |
===인천항 제1도크=== | ===인천항 제1도크=== | ||
− | + | [[인천항 제1도크]]는 일제시대인 1911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18년 10월에 완성되었다. 동양에서 보기 드문 [[갑문식 도크]]로, 4,500톤급 선박이 접안할 수 있게 되었고, 연간 하역 능력이 130만톤에 달하게 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7102 인천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3월 19일.</ref> | |
===인천항 제2도크=== | ===인천항 제2도크=== | ||
− | 그 뒤 일본은 중국 대륙으로 진출하기 위하여 8,000톤급 선박을 대상으로 하는 [[인천항 제2도크]] | + | 그 뒤 일본은 중국 대륙으로 진출하기 위하여 1935년에 8,000톤급 선박을 대상으로 하는 [[인천항 제2도크]] 건설에 착공하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 광복에 뒤이어 일어난 [[한국전쟁]] 등으로 공사를 재개할 수 없었다. 이윽고 1966년 6월에 다시 건설에 착공하여 1974년 5월 10일 [[인천항 제2도크]]가 완공되었다. 이로써 대형 선박 25척이 부두까지 들어와 하역을 할 수 있게 됨 이로써 인천항에서 조수간만의 차에 구애받지 않고 대형 선박 출입 가능하게 되었다.<br/> |
− | + | 실제로 [[인천항 도크#인천항 제2도크|인천항 제2도크]]에는 [[경부고속도로]] 서울-대전 구간 사용량만큼의 콘크리트가 투입되었다고 한다.<ref>정경숙, "[http://goodmorning.incheon.go.kr/board/54/1911979?curPage=&codeNm=2015/07&codeText=%EA%B9%8C%EC%B9%98%EB%B0%9C%EB%A1%9C%20%EB%B3%B8%20%EC%9D%B8%EC%B2%9C 멀어진 바다, 사라진 비린내]", 『굿모닝인천』, 2015년 07월 06일.</ref> | |
− | 실제로 [[인천항 도크#인천항 제2도크|인천항 제2도크]]에는 [[경부고속도로]] 서울-대전 | ||
− | + | =='''지식 관계망'''==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102/C102.htm "인천항도크(정창섭)" 지식관계망]''' | ||
− | + | <html> | |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102/C10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 | </html> | |
− | |||
− | |||
− | |||
− | |||
− | |||
− | |||
− | http:// | ||
− | |||
− | |||
− | |||
− | |||
− | |||
−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55번째 줄: | 42번째 줄: | ||
|- | |- | ||
| [[정창섭-인천항도크]] ||[[인천항 도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정창섭-인천항도크]] ||[[인천항 도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인천항 도크#인천항 제2도크|인천항 제2도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 | ||
| [[인천항 도크]] || [[인천항]]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인천항 도크]] || [[인천항]]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63번째 줄: | 52번째 줄: | ||
|- | |- | ||
| [[인천항 도크]] || [[갑문식 도크]]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인천항 도크]] || [[갑문식 도크]]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 | |||
− | |||
|- | |- | ||
|} | |} | ||
73번째 줄: | 60번째 줄: |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30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3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정창섭-인천항도크_인천항 입항 과정.jpg|[[인천항]] 입항 과정<ref>"[http://incheonport.tistory.com/1994 인천항 갑문에 대해 알아보자!]",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인천항만공사 공식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인천항만공사.</ref>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정창섭-인천항도크_인천항 입항 과정.jpg|[[인천항]] 입항 과정<ref>"[http://incheonport.tistory.com/1994 인천항 갑문에 대해 알아보자!]", useful/특파룡의 현장취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인천항만공사 공식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인천항만공사.</ref> |
</gallery> | </gallery> | ||
85번째 줄: | 72번째 줄: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O1IfF1jdqr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O1IfF1jdqr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html> | </html>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인용 및 참조=== | ||
+ | # 기사 | ||
+ | #* 정경숙, "[http://goodmorning.incheon.go.kr/board/54/1911979?curPage=&codeNm=2015/07&codeText=%EA%B9%8C%EC%B9%98%EB%B0%9C%EB%A1%9C%20%EB%B3%B8%20%EC%9D%B8%EC%B2%9C 멀어진 바다, 사라진 비린내]", 『굿모닝인천』, 2015년 07월 06일. | ||
+ | # 웹 자원 |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5272docId=1056757&cid=40942&categoryId=32191 갑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 온라인 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7102 인천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3월 19일. | ||
+ | #* "[http://incheonport.tistory.com/1994 인천항 갑문에 대해 알아보자!]", useful/특파룡의 현장취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인천항만공사 공식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인천항만공사.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장소]]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장소]] |
2017년 12월 1일 (금) 01:13 기준 최신판
인천항 도크() | |
대표명칭 | 인천항 도크 |
---|---|
주소 | 인천광역시 신포동 인천항 |
관련장소 | 인천항 |
|
목차
정의
수위를 조정하기 위해 인천항에 설치된 갑문식 도크를 말한다.
내용
조석간만의 차가 심한 항만에서 선박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수위를 조정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구조물을 갑문[1]
이라고 하는데, 인천항 도크는 인천항 제1도크와 인천항 제2도크로 이루어졌다.
인천항 제1도크
인천항 제1도크는 일제시대인 1911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18년 10월에 완성되었다. 동양에서 보기 드문 갑문식 도크로, 4,500톤급 선박이 접안할 수 있게 되었고, 연간 하역 능력이 130만톤에 달하게 되었다.[2]
인천항 제2도크
그 뒤 일본은 중국 대륙으로 진출하기 위하여 1935년에 8,000톤급 선박을 대상으로 하는 인천항 제2도크 건설에 착공하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 광복에 뒤이어 일어난 한국전쟁 등으로 공사를 재개할 수 없었다. 이윽고 1966년 6월에 다시 건설에 착공하여 1974년 5월 10일 인천항 제2도크가 완공되었다. 이로써 대형 선박 25척이 부두까지 들어와 하역을 할 수 있게 됨 이로써 인천항에서 조수간만의 차에 구애받지 않고 대형 선박 출입 가능하게 되었다.
실제로 인천항 제2도크에는 경부고속도로 서울-대전 구간 사용량만큼의 콘크리트가 투입되었다고 한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창섭-인천항도크 | 인천항 도크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인천항 제2도크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인천항 도크 | 인천항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인천항 도크 | 인천항 제2도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인천항 도크 | 인천항 제1도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인천항 도크 | 갑문식 도크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983호-인천항 도크 준공(게시일: 2016년 12월 7일)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722호-우리는 건설한다(게시일: 2016년 11월 16일) - 41초~ : 인천항 2도크 축조 공사 모습
주석
- ↑ "갑문",
『두산백과 온라인 서비스』online , 두산백과. - ↑ "인천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3월 19일. - ↑ 정경숙, "멀어진 바다, 사라진 비린내", 『굿모닝인천』, 2015년 07월 06일.
- ↑ "인천항 갑문에 대해 알아보자!", useful/특파룡의 현장취재,
『인천항만공사 공식 블로그』online , 인천항만공사.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기사
- 정경숙, "멀어진 바다, 사라진 비린내", 『굿모닝인천』, 2015년 07월 06일.
- 웹 자원
- "갑문",
『두산백과 온라인 서비스』online , 두산백과. - "인천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3월 19일. - "인천항 갑문에 대해 알아보자!", useful/특파룡의 현장취재,
『인천항만공사 공식 블로그』online , 인천항만공사.
- "갑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