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각자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탑비정보
 
{{탑비정보
|사진=
+
|사진=BHST_jeongji_stele.jp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대표명칭=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17번째 줄: 17번째 줄:
 
|승려=[[지천|지천(智泉)]]
 
|승려=[[지천|지천(智泉)]]
 
|건립연대=1398년
 
|건립연대=1398년
|승탑=
+
|승탑=[[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
 
}}
 
=='''정의'''==
 
=='''정의'''==
25번째 줄: 25번째 줄:
  
 
===개요===
 
===개요===
높이 2.15m이고, 비는 높이 1.1m, 너비 60㎝, 두께 20㎝. 탑비는 받침돌과 비신(碑身)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신은 상부 좌우 모서리를 깎아낸 형태로 조선시대에 유행한 비갈(碑碣)형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0059&cid=40942&categoryId=33383 용문사 정지국사 승탑 및 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비문은 [[권근| 권근(權近)]]이 지었다.
+
높이 2.15m이고, 비는 높이 1.1m, 너비 60㎝, 두께 20㎝. 탑비는 받침돌과 비신(碑身)<ref>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ref>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신은 상부 좌우 모서리를 깎아낸 형태로 조선시대에 유행한 비갈(碑碣)형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0059&cid=40942&categoryId=33383 용문사 정지국사 승탑 및 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비문은 [[권근| 권근(權近)]]이 지었다.
  
 
[[지천|정지국사(正智國師)]]는 [[자초|무학(無學)]]과 함께 [[혜근|나옹(懶翁)]]의 제자였던 승려로, 1395년([[조선 태조|태조]] 4)에 61세의 나이로 입적하였다. 화장을 하자 많은 사리가 나왔으며, 1398년 제자 조안(祖眼) 등이 [[양평 용문사|용문사(龍門寺)]]에 탑과 비를 세웠고, 나라에서는 '정지국사(正智國師)'라는 시호를 내렸다.<ref>이종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416 지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천|정지국사(正智國師)]]는 [[자초|무학(無學)]]과 함께 [[혜근|나옹(懶翁)]]의 제자였던 승려로, 1395년([[조선 태조|태조]] 4)에 61세의 나이로 입적하였다. 화장을 하자 많은 사리가 나왔으며, 1398년 제자 조안(祖眼) 등이 [[양평 용문사|용문사(龍門寺)]]에 탑과 비를 세웠고, 나라에서는 '정지국사(正智國師)'라는 시호를 내렸다.<ref>이종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416 지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34번째 줄: 34번째 줄:
  
 
===비문===
 
===비문===
비문은 [[지천|정지국사(正智國師)]]의 행적과 업적 등을 기록하고 있다. 음기(陰記)에는 당시의 찬조자 명단이 6단 21행으로 적혀 있다.<ref>정충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9484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및 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비문은 [[지천|정지국사(正智國師)]]의 행적과 업적 등을 기록하고 있다. 음기(陰記)<ref>비갈(碑碣)의 등뒤에 새긴 글</ref>에는 당시의 찬조자 명단이 6단 21행으로 적혀 있다.<ref>정충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9484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및 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44/stele_jeongji_yongmun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관련항목===
51번째 줄: 56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44/Yongmun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44/Yongmun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갤러리===
70번째 줄: 78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완료]]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교열완료]]

2017년 12월 21일 (목) 14:12 기준 최신판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楊平 龍門寺 正智國師碑)
BHST jeongji stele.jpg
대표명칭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영문명칭 Stele for State Preceptor Jeongji at Yongmunsa Temple, Yangpyeong
한자 楊平 龍門寺 正智國師碑
이칭 용문사 정지국사 승탑 및 비(龍門寺 正智國師 僧塔 ─ 碑)
주소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용문산로 782(신점리) 용문사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531호
문화재 지정일 1971년 7월 7일
찬자 권근(權近)
서자 미상
각자 미상
서체 해서(楷書)
승려 지천(智泉)
건립연대 1398년
승탑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정의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용문사(龍門寺)에 있는 고려 후기의 승려 정지국사 지천(正智國師 智泉, 1324-1395)탑비.

내용

개요

높이 2.15m이고, 비는 높이 1.1m, 너비 60㎝, 두께 20㎝. 탑비는 받침돌과 비신(碑身)[1]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신은 상부 좌우 모서리를 깎아낸 형태로 조선시대에 유행한 비갈(碑碣)형이다.[2] 비문은 권근(權近)이 지었다.

정지국사(正智國師)무학(無學)과 함께 나옹(懶翁)의 제자였던 승려로, 1395년(태조 4)에 61세의 나이로 입적하였다. 화장을 하자 많은 사리가 나왔으며, 1398년 제자 조안(祖眼) 등이 용문사(龍門寺)에 탑과 비를 세웠고, 나라에서는 '정지국사(正智國師)'라는 시호를 내렸다.[3]

이 탑비는 처음에는 정지국사탑에서 20m 아래 자연석 바위에 세워 놓았는데, 빠져 나와 경내에 뒹굴고 있던 것을 1970년경 지금의 위치에 세웠다.[4]

1971년 정지국사의 사리탑과 함께 보물 제531호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및 비 (楊平 龍門寺 正智國師塔 및 碑)'로 지정되었다.[5]

비문

비문은 정지국사(正智國師)의 행적과 업적 등을 기록하고 있다. 음기(陰記)[6]에는 당시의 찬조자 명단이 6단 21행으로 적혀 있다.[7]

지식관계망

  •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양평 용문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지천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권근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2. "용문사 정지국사 승탑 및 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이종익, "지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및 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5.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및 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6. 비갈(碑碣)의 등뒤에 새긴 글
  7. 정충락,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및 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