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산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문헌) |
(→지식관계망)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사진= | |사진= |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 | + | |대표명칭=성주산문 |
− | |한자표기= | + | |한자표기=聖住山門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 | |이칭= | + | |이칭=성주산파(聖住山派) |
|유형= | |유형= | ||
− | |관련개념= | + | |관련개념=[[구산선문|구산선문(九山禪門)]] |
}} | }} | ||
=='''정의'''== | =='''정의'''== | ||
+ | 충청남도 보령의 [[보령 성주사|성주사(聖住寺)]]를 중심으로 일어난 [[구산선문|선종구산문(禪宗九山門)]] 중 하나. | ||
=='''내용'''== | =='''내용'''== | ||
+ | ===형성과 전개=== | ||
+ | 고승 [[무염|낭혜화상 무염(朗慧和尙 無染)]]이 충청남도 [[보령 성주사|보령 성주사(聖住寺)]]에서 선법(禪法)을 크게 떨침으로써 성립했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598 성주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무염은 821년([[신라 헌덕왕|헌덕왕]] 13) 당나라로 가서 [[도일(중국)|마조(馬祖)]]의 제자인 [[보철|보철(寶徹)]]의 법맥을 이어받고, 845년([[신라 문성왕|문성왕]] 7) 귀국했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598 성주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후 같은 태종무열왕계 후손인 [[김흔(신라)|김흔(金昕)]]의 후원으로 [[보령 성주사|성주사]]를 건립하고<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447&cid=42957&categoryId=42957 무염]",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보령 성주사|성주사]]를 [[구산선문|선문구산(九山禪門)]]의 하나인 성주산문의 본산으로 삼아 40여 년 동안 교화하였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61 무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5월 2일.</ref> | ||
+ | |||
+ | ===성주산문의 승려들=== | ||
+ | 성주산문은 [[구산선문]] 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컸으며,<ref>"[https://ko.wikipedia.org/wiki/%EC%84%B1%EC%A3%BC%EC%82%AC%EC%A7%80 성주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2,000여 명이라는 당대 최대의 제자를 배출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2741&cid=40942&categoryId=37404 성주산문]",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여엄|여엄(麗嚴)]]·[[대통|대통(大通)]]·[[심광|심광(深光)]]·[[자인|자인(慈忍)]]·[[영원|영원(靈源)]] 등은 모두 [[무염]]의 제자다.<ref>김두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26 선종구산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심광]]은 진성여왕 때 [[함양 영각사|덕유산 영각사(靈覺寺)]]에 있으면서 성주산파의 선풍을 선양하였는데, 그의 문하에서 [[현휘|현휘(玄暉)]]가 배출되었다. [[현휘]]는 [[고려 태조]]에 의해 [[국사|국사(國師)]]가 되었으며, [[충주 정토사|충주 개천산 정토사(淨土寺)]]에 머물면서 선법을 펼쳐 [[활행|활행(闊行)]] 등 제자 수백 명을 배출시켰다. 무염의 뛰어난 제자인 [[대통]]은 845년([[신라 문성왕|문성왕]] 7) [[제천 월광사|제천 월광사(月光寺)]]에서 선법을 폈으며, [[여엄]] 또한 [[양평 보리사|양평 보리사(菩提寺)]]에 머물면서 선법을 선양했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598 성주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고려 태조와 성주산문=== | ||
+ | 성주산문의 법을 이은 승려들은 [[고려 태조|왕건]]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는데 [[여엄]]이 '[[사무외대사|사무외대사(四無畏大師)]]' 중 한 명으로 [[고려 태조|왕건]]에게 존경을 받았으며, [[현휘]] 또한 [[고려 태조|왕건]]에게 통일사상을 고취시켜 줌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성주산문",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90쪽.</ref>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성주산문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50/seongjusanmun.htm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구산선문]] || [[성주산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성주산문]] || [[무염]] || A는 B가 개창하였다 || A ekc:founder B | ||
+ | |- | ||
+ | | [[성주산문]] || [[보령 성주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무염]] || [[보령 성주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도일(중국)]] || [[보철]]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보철]] || [[무염]]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무염]] || [[심광]]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심광]] || [[현휘]]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무염]] || [[여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무염]] || [[자인]]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무염]] || [[대통]]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보령 성주사지]] || [[보령 성주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무염]]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현휘]]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여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 [[전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 [[여엄]]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
+ | |- | ||
+ | | [[여엄]] || [[고려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현휘]] || [[고려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25번째 줄: | 79번째 줄: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 | 821년 || [[무염]]이 당나라로 유학을 떠남. | ||
+ | |- | ||
+ | | 845년 || [[무염]]이 신라로 귀국함. | ||
+ | |- | ||
+ | | 847년 || [[무염]]이 [[보령 성주사]]에서 [[성주산문]]을 개창함. | ||
|} | |} | ||
34번째 줄: | 93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김두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26 선종구산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두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26 선종구산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598 성주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3-99쪽.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3-99쪽. | ||
+ | *신동하, 「백제 성주산 신앙과 성주사」, 『불교학연구』 Vol.22, 불교학연구회, 2009, 75-122쪽. | ||
*이일야, "성주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21-145쪽. | *이일야, "성주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21-145쪽. | ||
+ | *장일규, 「신라 말 고려 초 선승의 시기별 지역별 활동 추이와 산문 형성 과정」, 『신라사학회』 Vol.39, 2017, 133-163쪽.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2741&cid=40942&categoryId=37404 성주산문]",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분류:개념]] | [[분류:개념]] | ||
− | [[분류:승탑/ | + | [[분류:승탑/교열완료!]] |
2017년 11월 15일 (수) 22:44 기준 최신판
성주산문 (聖住山門) |
|
대표명칭 | 성주산문 |
---|---|
한자표기 | 聖住山門 |
이칭 | 성주산파(聖住山派) |
관련개념 | 구산선문(九山禪門) |
정의
충청남도 보령의 성주사(聖住寺)를 중심으로 일어난 선종구산문(禪宗九山門) 중 하나.
내용
형성과 전개
고승 낭혜화상 무염(朗慧和尙 無染)이 충청남도 보령 성주사(聖住寺)에서 선법(禪法)을 크게 떨침으로써 성립했다.[1]
무염은 821년(헌덕왕 13) 당나라로 가서 마조(馬祖)의 제자인 보철(寶徹)의 법맥을 이어받고, 845년(문성왕 7) 귀국했다.[2] 이후 같은 태종무열왕계 후손인 김흔(金昕)의 후원으로 성주사를 건립하고[3] 성주사를 선문구산(九山禪門)의 하나인 성주산문의 본산으로 삼아 40여 년 동안 교화하였다.[4]
성주산문의 승려들
성주산문은 구산선문 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컸으며,[5] 2,000여 명이라는 당대 최대의 제자를 배출하였다.[6] 여엄(麗嚴)·대통(大通)·심광(深光)·자인(慈忍)·영원(靈源) 등은 모두 무염의 제자다.[7]
심광은 진성여왕 때 덕유산 영각사(靈覺寺)에 있으면서 성주산파의 선풍을 선양하였는데, 그의 문하에서 현휘(玄暉)가 배출되었다. 현휘는 고려 태조에 의해 국사(國師)가 되었으며, 충주 개천산 정토사(淨土寺)에 머물면서 선법을 펼쳐 활행(闊行) 등 제자 수백 명을 배출시켰다. 무염의 뛰어난 제자인 대통은 845년(문성왕 7) 제천 월광사(月光寺)에서 선법을 폈으며, 여엄 또한 양평 보리사(菩提寺)에 머물면서 선법을 선양했다.[8]
고려 태조와 성주산문
성주산문의 법을 이은 승려들은 왕건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는데 여엄이 '사무외대사(四無畏大師)' 중 한 명으로 왕건에게 존경을 받았으며, 현휘 또한 왕건에게 통일사상을 고취시켜 줌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9]
지식관계망
- 성주산문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구산선문 | 성주산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성주산문 | 무염 | A는 B가 개창하였다 | A ekc:founder B |
성주산문 | 보령 성주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무염 | 보령 성주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도일(중국) | 보철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보철 | 무염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무염 | 심광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심광 | 현휘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무염 | 여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무염 | 자인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무염 | 대통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보령 성주사지 | 보령 성주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무염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현휘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여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전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 여엄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여엄 | 고려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현휘 | 고려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821년 | 무염이 당나라로 유학을 떠남. |
845년 | 무염이 신라로 귀국함. |
847년 | 무염이 보령 성주사에서 성주산문을 개창함. |
시각자료
주석
- ↑ 김영태, "성주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영태, "성주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무염",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김위석, "무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5월 2일. - ↑ "성주사지",
『위키백과』online . - ↑ "성주산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김두진, "선종구산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영태, "성주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성주산문",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90쪽.
참고문헌
- 김두진, "선종구산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영태, "성주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3-99쪽.
- 신동하, 「백제 성주산 신앙과 성주사」, 『불교학연구』 Vol.22, 불교학연구회, 2009, 75-122쪽.
- 이일야, "성주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21-145쪽.
- 장일규, 「신라 말 고려 초 선승의 시기별 지역별 활동 추이와 산문 형성 과정」, 『신라사학회』 Vol.39, 2017, 133-163쪽.
- "성주산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