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정창섭-화랑도의 수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민족/기획기사보기|
 +
|기획기사=[[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신라의 삼국통일]]
 +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민족기록화_샘플
 
{{민족기록화_샘플
6번째 줄: 9번째 줄:
 
|제작연도= 1977년
 
|제작연도= 1977년
 
|규격= 300호(197x290.9cm)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문화
+
|유형= 군사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12번째 줄: 15번째 줄:
 
}}
 
}}
 
=='''정의'''==
 
=='''정의'''==
삼국통일의 명장 [[김유신]](595~673)이 [[화랑]] 시절 수련하던 모습을 표현한 [[정창섭]]의 민족기록화.
+
삼국통일의 명장 [[김유신]]이 [[화랑]] 시절 수련하던 모습을 표현한 [[정창섭]]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정창섭-화랑도의수련-1977s.jpg|right|450px]]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정창섭-화랑도의수련-1977s.jpg|right|450px]]
들판을 한 무리의 [[화랑도]]가로지르고 있다. [[화랑도]]는 신라시대 화랑을 우두머리로 한 청소년 수련단체로, 교육적·군사적·사교단체적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br/>  
+
한 무리의 [[화랑도|화랑들]]이 들판을 가로지르고 있다. [[화랑도]](花郞徒)는 신라시대 화랑을 우두머리로 한 청소년 수련단체로, 교육적·군사적·사교단체적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br/>  
[[화랑도]]는 승려 한 명과 [[화랑]] 한 명, [[화랑]]을 따르는 다수의 낭도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① 백마를 탄 [[화랑]]([[김유신]])'''을 제외한 '''⑤⑥ 사람들'''은 [[화랑]]이 아닌 일반 낭도들일 것이다. 그에 맞게 복식과 마구(馬具) 장식 등에 차이가 나타난다. 다만 자색 옷을 입은 [[김유신]] '''④⑤ 양 옆의 인물들'''은 청색 옷을 입고 있는데, 어느 정도 직위가 있는 보좌 격의 인물들임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br/>
+
[[화랑도]]는 승려 한 명과 [[화랑]] 한 명, [[화랑]]을 따르는 다수의 낭도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① 백마를 탄 [[화랑]] [[김유신]]'''(金庾信, 595~673)을 제외한 '''⑤⑥ 사람들'''은 [[화랑]]이 아닌 일반 낭도들일 것이다. 그에 맞게 복식과 마구(馬具) 장식 등에 차이가 있다. 다만 자색 옷을 입은 [[김유신]] '''④⑤ 양 옆의 인물들'''은 청색 옷을 입고 있는데, 어느 정도 직위가 있는 보좌 격의 인물들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br/>
신라는 관등에 따라 복식의 빛깔을 제한하였는데, 12관등까지는 황색만 허용되나 10관등은 여기에 청색이 추가되고, 6관등은 비색이 추가되며, 자색 옷은 진골 귀족이면서 1관등~5관등의 관료만 착용할 수 있었다. 본 그림에서는 인물들의 관등을 철저히 고증하여 반영하였다기보다는 단순히 계급의 차이를 나타내고자 이상의 색깔을 사용한 듯하다.
+
신라는 관등(官等)에 따라 복식의 빛깔을 제한하였는데, 12관등까지는 황색만 허용되나 10관등은 여기에 청색이 추가되고, 6관등은 비색이 추가되며, 자색 옷은 진골 귀족이면서 1관등~5관등의 관료만 착용할 수 있었다. 본 그림에서는 인물들의 관등을 철저히 고증하여 반영하였다기보다는 단순히 계급의 차이를 나타내고자 이 같은 색깔을 사용한 듯하다.
 
 
 
===그림 읽기===
 
===그림 읽기===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30번째 줄: 32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06/C006.htm "화랑도의 수련"(정창섭)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06/C00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44번째 줄: 51번째 줄: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세종문화회관]]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세종문화회관]]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김유신]] [[쌍영총 고분벽화]]||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김유신]]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화랑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화랑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50번째 줄: 57번째 줄:
 
|[[김유신]] || [[화랑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김유신]] || [[화랑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화랑도]] || [[화랑]]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화랑도]] || [[삼국사기]] || A는 B에 언급되었다 || A ekc:isMentionedIn B
 +
|-
 +
| [[화랑도]] || [[화랑세기]] || A는 B에 언급되었다 || A ekc:isMentionedIn B
 +
|-
 +
| [[원화]] || [[화랑도]]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
 +
| [[화랑도]] || [[김유신]]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화랑도]] || [[관창]]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76번째 줄: 91번째 줄: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gallery mode=packed caption="신라 배경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군사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정창섭-화랑도의수련-1977s.jpg|576년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파일:이종상-태종무열왕-1976s.jpg|660년 [[이종상-태종무열왕]]
 
파일:이종상-태종무열왕-1976s.jpg|660년 [[이종상-태종무열왕]]
파일:오승우-황산싸움(계백)-1976s.jpg|660년 [[오승우-황산싸움]]
+
파일:최대섭-화약제조(최무선)-1979s.jpg|조선시대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파일:오승우-매초성당군격퇴-1975s.jpg|675년 [[오승우-신라의 당군 격퇴와 삼국통일]]
+
파일:신영상-백마산성훈련(임경업)-1976s.jpg|1634년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gallery>
 
</gallery>
  
85번째 줄: 101번째 줄:
 
===가상현실===
 
===가상현실===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tutor/Gallery/aks/aksTour.htm"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3/S001/S001.htm"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html>
+
</html><br/>
 +
{{clickable button | [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3/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갤러리===
 
===갤러리===
 
===영상===
 
===영상===
 +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통일대업을 이룬 주역 화랑도(게시일: 2015년 1월 4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F6YQ9JoO1NA"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주석'''==
 
=='''주석'''==
96번째 줄: 117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
#웹 자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589 화랑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9160 화랑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이기동,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589 화랑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8909&cid=41826&categoryId=41826 화랑]", 한국고전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3:47 기준 최신판



화랑도의 수련
정창섭-화랑도의수련-1977s.jpg
작가 정창섭
제작연도 1977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군사
분류 유화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삼국통일의 명장 김유신화랑 시절 수련하던 모습을 표현한 정창섭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정창섭-화랑도의수련-1977s.jpg

한 무리의 화랑들이 들판을 가로지르고 있다. 화랑도(花郞徒)는 신라시대 화랑을 우두머리로 한 청소년 수련단체로, 교육적·군사적·사교단체적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화랑도는 승려 한 명과 화랑 한 명, 화랑을 따르는 다수의 낭도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① 백마를 탄 화랑 김유신(金庾信, 595~673)을 제외한 ⑤⑥ 사람들화랑이 아닌 일반 낭도들일 것이다. 그에 맞게 복식과 마구(馬具) 장식 등에 차이가 있다. 다만 자색 옷을 입은 김유신 ④⑤ 양 옆의 인물들은 청색 옷을 입고 있는데, 어느 정도 직위가 있는 보좌 격의 인물들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는 관등(官等)에 따라 복식의 빛깔을 제한하였는데, 12관등까지는 황색만 허용되나 10관등은 여기에 청색이 추가되고, 6관등은 비색이 추가되며, 자색 옷은 진골 귀족이면서 1관등~5관등의 관료만 착용할 수 있었다. 본 그림에서는 인물들의 관등을 철저히 고증하여 반영하였다기보다는 단순히 계급의 차이를 나타내고자 이 같은 색깔을 사용한 듯하다.

그림 읽기

김유신화랑도정창섭-화랑도의수련-1977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창섭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한국학중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한국학중앙연구원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세종문화회관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김유신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화랑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유신 화랑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화랑도 삼국사기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화랑도 화랑세기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원화 화랑도 A는 B의 전신이다 A ekc:isOldNameOf B
화랑도 김유신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화랑도 관창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7년 정창섭정창섭-화랑도의 수련을 그렸다.
1991년 1월 12일-1992월 1월 11일 세종문화회관정창섭-화랑도의 수련을 대여하였다.
1992년 1월 12일-1998월 12월 30일 한국학중앙연구원정창섭-화랑도의 수련을 대여하였다.
1998년 12월 30일-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정창섭-화랑도의 수련을 소장하고 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2729 126.97562 세종문화회관정창섭-화랑도의 수련을 대여하였다.
37.3915557 127.0547403 한국학중앙연구원정창섭-화랑도의 수련을 소장하였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통일대업을 이룬 주역 화랑도(게시일: 2015년 1월 4일)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화랑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이기동, "화랑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화랑",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