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창-명량대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제작연도= 1975년 | |제작연도= 1975년 | ||
|규격= 300호(197x290.9cm) | |규격= 300호(197x290.9cm) | ||
− | |유형= | + | |유형= 전쟁 |
|분류= 유화 | |분류= 유화 | ||
|소장처= [[독립기념관]] | |소장처= [[독립기념관]]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 | 1597년(조선 선조 30)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이 [[명량]]에서 불과 12척 전선으로 왜군 함선 130여척을 맞아 싸워 그 중 31척을 격파하는 장면을 그린 [[김기창]]의 민족기록화이다. | |
=='''설명'''== | =='''설명'''==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 | [[명량대첩]]은 [[정유재란]] 때인 1597년(선조 30) 9월 16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right|450px]] |
+ | [[명량대첩]](鳴梁大捷)은 [[정유재란]] 때인 1597년(선조 30) 9월 16일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 [[이순신]](李舜臣, 1545~1598)이 [[명량]](울돌목: 전라남도 진도와 육지 사이의 해협)에서 일본 수군을 대파한 해전이다. 1597년 7월 [[원균]](元均, 1540~1597)이 거느린 조선 수군이 [[칠천해전]]에서 왜 수군에게 대패하여, 남은 전선(戰船)은 [[배설]](裵楔, 1551~1599)이 탈출시킨 12척에 불과하였다. 여기에 일반 백성들이 나중에 가져온 한 척을 더한 13척의 전선으로 130여척의 왜수군을 맞이하여 좁은 수로의 조건을 최대한으로 이용해 적을 격파하였다. 이로써 왜군의 서해 진출을 차단함으로써 해상권을 장악하고 [[정유재란]]의 대세를 조선군에게 유리하도록 이끌었다.<ref>조성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250 명량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작품 배경=== | ===작품 배경=== | ||
− | 황색바탕에 두마리의 용이 어울려 있고 불꽃 모양의 적색 | + | 황색바탕에 두마리의 용이 어울려 있고 불꽃 모양의 적색 술이 달려 있는 '''④[[교룡기]](交龍旗)'''가 휘날리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림 아래쪽에 그려진 '''⑦전선'''은 [[이순신]]이 타고 있는 지휘선으로 보인다. 일반에게 알려진 것과 달리 적선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원거리 포격을 하지 않고 근접한 거리에서 왜선을 향해 '''④화포를 직사로 발포'''하고 있다.<br/> |
− | 지휘선 우현 귀퉁이에는 | + | 지휘선 우현 귀퉁이에는 청색 바탕에 흰 무늬의 북두칠성이 그려진 '''⑤[[초요기]](招搖旗)'''가 나부끼고 있다. 이 깃발은 휘하 장수들을 부를 때 사용되는 것이다.<ref>제장명, 「임진왜란 시기 수군 깃발의 형태와 용도」, 『장서각』제25집,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32쪽</ref> 이로 미루어 보아 조선 수군이 왜 수군의 위세에 눌려 크게 동요하자, [[이순신]]이 초요기를 높이 들게 하여 중군장(中軍將) 미조첨사 [[김응성]]과 거제현령 [[안위]]를 불러 꾸짖고 싸움을 독려하는 장면임을 알 수 있다. 명량해협의 '''④⑤⑥⑦⑧거센 파도'''를 흰색, 파란색과 검은색 등 과감한 원색을 이용하여 표현하였고 전체적인 색의 사용과 묘사가 다른 기록화와는 구별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 | |||
===그림 읽기=== | ===그림 읽기===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34/C034.htm "명량대첩"(김기창) 지식관계망] |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34/C03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48번째 줄: | 49번째 줄: | ||
|[[김기창-명량대첩]] || [[독립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김기창-명량대첩]] || [[독립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김기창-명량대첩]] ||[[명량대첩]]|| | + | |[[김기창-명량대첩]] ||[[명량대첩]]||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 ||
− | |[[김기창-명량대첩]] ||[[명량]]|| | + | |[[김기창-명량대첩]] ||[[명량]]||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 | ||
− | |[[이순신]] || [[명량대첩]] || | + | |[[김기창-명량대첩]] ||[[김기창-명량대첩 관련 기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이순신]] || [[명량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안위]] || [[명량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안위]] || [[명량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김응함]] || [[명량대첩]] || | + | |[[김응함]] || [[명량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마하수]] || [[명량대첩]] || | + | |[[마하수]] || [[명량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거북선]] || [[마하수]]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거북선]] || [[마하수]]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82번째 줄: | 85번째 줄: | ||
|[[이충무공 벽파진 전첩비]] ||[[손재형]]||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이충무공 벽파진 전첩비]] ||[[손재형]]||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김기창]] ||[[박래현]]|| A는 B의 남편이다 || | + | |[[김기창]] ||[[박래현]]||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 | ||
|[[세종대왕 표준영정]] || [[김기창]]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세종대왕 표준영정]] || [[김기창]]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97번째 줄: | 100번째 줄: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 |1975년 || [[김기창]]이 | + | |1975년 || [[김기창]]이 [[김기창-명량대첩]]을 제작하였다. |
|- | |- | ||
− | |1998년-현재 || [[독립기념관]]은 | + | |1998년-현재 || [[독립기념관]]은 [[김기창-명량대첩]]을 소장하고 있다 |
|- | |- | ||
|1597년 09월 16일 || [[이순신]]이 [[명량대첩]]에 참가하였다 | |1597년 09월 16일 || [[이순신]]이 [[명량대첩]]에 참가하였다 | ||
108번째 줄: | 111번째 줄: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36.780373 || 127.232819 ||[[독립기념관]] | + | | 36.780373 || 127.232819 || [[독립기념관]]은 [[김기창-명량대첩]]을 소장하고 있다 |
|- | |- | ||
− | | 34.572132 || 126.303299 || | + | | 34.572132 || 126.303299 || [[김기창-명량대첩]]은 [[울돌목]]을 배경으로 한다 |
|} | |} | ||
===관련 민족기록화=== | ===관련 민족기록화===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임진왜란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임진왜란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강대운-진주성싸움]] |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강대운-진주성싸움]] | ||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
130번째 줄: | 133번째 줄: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34/"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html><br/> | ||
− | {{clickable button|[ | +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34/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우수영관광지 안내판 01.jpg | 우수영관광지 안내판 | + | 파일:우수영관광지 안내판 01.jpg | 우수영관광지 안내판 |
− | 파일:이순신친필비 01.jpg | 이순신친필비 | + | 파일:이순신친필비 01.jpg | 이순신친필비 |
− | 파일:회령포의 결의.jpg | 회령포의 결의 | + | 파일:회령포의 결의.jpg | 회령포의 결의 |
− | 파일:명량대첩탑 01.jpg | 명량대첩탑 | + | 파일:명량대첩탑 01.jpg | 명량대첩탑 |
− | 파일:삼란 구국공신 충혼비 01.jpg | 삼란 구국공신 충혼비 | + | 파일:삼란 구국공신 충혼비 01.jpg | 삼란 구국공신 충혼비 |
− | 파일:해남 명량대첩비 01.jpg | 해남 명량대첩비 | + | 파일:해남 명량대첩비 01.jpg | 해남 명량대첩비 |
</gallery> | </gallery> | ||
===영상=== | ===영상=== | ||
− | + | *"[http://jinju.museum.go.kr/html/kr/movie/mov2.html 명량대첩]", 3D 입체영상관,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진주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 | |
− | |||
− | </ | ||
− | |||
− | |||
<html> | <html>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jinju.museum.go.kr/html/kr/movie/mov1.ht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jinju.museum.go.kr/html/kr/movie/mov1.ht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160번째 줄: | 159번째 줄: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단행본 | #단행본 | ||
− |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민족기록화, 전승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 | + |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전승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 |
− | # | + | #웹 자원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250 명량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조성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250 명량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3297 명량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3297 명량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더 읽을거리=== | ===더 읽을거리=== | ||
# 단행본 | # 단행본 | ||
#* 김세곤, 『정유재란과 호남사람들』, 온새미로, 2014. | #* 김세곤, 『정유재란과 호남사람들』, 온새미로, 2014.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
2024년 3월 14일 (목) 14:30 기준 최신판
명량대첩 | |
작가 | 김기창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전쟁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독립기념관 |
목차
정의
1597년(조선 선조 30)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이 명량에서 불과 12척 전선으로 왜군 함선 130여척을 맞아 싸워 그 중 31척을 격파하는 장면을 그린 김기창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명량대첩(鳴梁大捷)은 정유재란 때인 1597년(선조 30) 9월 16일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 이순신(李舜臣, 1545~1598)이 명량(울돌목: 전라남도 진도와 육지 사이의 해협)에서 일본 수군을 대파한 해전이다. 1597년 7월 원균(元均, 1540~1597)이 거느린 조선 수군이 칠천해전에서 왜 수군에게 대패하여, 남은 전선(戰船)은 배설(裵楔, 1551~1599)이 탈출시킨 12척에 불과하였다. 여기에 일반 백성들이 나중에 가져온 한 척을 더한 13척의 전선으로 130여척의 왜수군을 맞이하여 좁은 수로의 조건을 최대한으로 이용해 적을 격파하였다. 이로써 왜군의 서해 진출을 차단함으로써 해상권을 장악하고 정유재란의 대세를 조선군에게 유리하도록 이끌었다.[1]
작품 배경
황색바탕에 두마리의 용이 어울려 있고 불꽃 모양의 적색 술이 달려 있는 ④교룡기(交龍旗)가 휘날리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림 아래쪽에 그려진 ⑦전선은 이순신이 타고 있는 지휘선으로 보인다. 일반에게 알려진 것과 달리 적선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원거리 포격을 하지 않고 근접한 거리에서 왜선을 향해 ④화포를 직사로 발포하고 있다.
지휘선 우현 귀퉁이에는 청색 바탕에 흰 무늬의 북두칠성이 그려진 ⑤초요기(招搖旗)가 나부끼고 있다. 이 깃발은 휘하 장수들을 부를 때 사용되는 것이다.[2] 이로 미루어 보아 조선 수군이 왜 수군의 위세에 눌려 크게 동요하자, 이순신이 초요기를 높이 들게 하여 중군장(中軍將) 미조첨사 김응성과 거제현령 안위를 불러 꾸짖고 싸움을 독려하는 장면임을 알 수 있다. 명량해협의 ④⑤⑥⑦⑧거센 파도를 흰색, 파란색과 검은색 등 과감한 원색을 이용하여 표현하였고 전체적인 색의 사용과 묘사가 다른 기록화와는 구별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기창-명량대첩 | 김기창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김기창-명량대첩 | 독립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김기창-명량대첩 | 명량대첩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김기창-명량대첩 | 명량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김기창-명량대첩 | 김기창-명량대첩 관련 기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순신 | 명량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안위 | 명량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김응함 | 명량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마하수 | 명량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거북선 | 마하수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이순신 | 류성룡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배설 | 칠천해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배설 | 명량대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해남명량대첩비 | 명량대첩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해남명량대첩비 | 이민서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해남명량대첩비 | 이정영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해남명량대첩비 | 김만중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이충무공 벽파진 전첩비 | 명량대첩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이충무공 벽파진 전첩비 | 이은상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이충무공 벽파진 전첩비 | 손재형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김기창 | 박래현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세종대왕 표준영정 | 김기창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을지문덕 표준영정 | 김기창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조헌 표준영정 | 김기창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김정호 표준영정 | 김기창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김기창이 김기창-명량대첩을 제작하였다. |
1998년-현재 | 독립기념관은 김기창-명량대첩을 소장하고 있다 |
1597년 09월 16일 | 이순신이 명량대첩에 참가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780373 | 127.232819 | 독립기념관은 김기창-명량대첩을 소장하고 있다 |
34.572132 | 126.303299 | 김기창-명량대첩은 울돌목을 배경으로 한다 |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명량대첩", 3D 입체영상관,
『국립진주박물관』online .
주석
- ↑ 조성도, "명량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제장명, 「임진왜란 시기 수군 깃발의 형태와 용도」, 『장서각』제25집,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32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전승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
- 웹 자원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김세곤, 『정유재란과 호남사람들』, 온새미로,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