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인용 및 참조) |
잔글 (→정의)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복식정보 | {{복식정보 |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전립01 민박.jpg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전립01 민박.jp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
|대표명칭= 전립 | |대표명칭= 전립 | ||
|한자표기= 戰笠 | |한자표기= 戰笠 | ||
|이칭별칭= 전립(氈笠), 모립(毛笠) | |이칭별칭= 전립(氈笠), 모립(毛笠) | ||
|구분= 관 및 쓰개 | |구분= 관 및 쓰개 | ||
− | |착용신분= [[왕]], [[왕세자]], [[왕세손]], [[ | + | |착용신분= [[왕]], [[왕세자]], [[왕세손]], [[백관]] |
|착용성별= 남성 | |착용성별= 남성 | ||
}} | }} | ||
=='''정의'''== | =='''정의'''== | ||
− | + | 조선의 [[왕]], [[왕세자]], [[왕세손]], [[백관]]이 군사(軍事)가 있거나 능에 행차할 때 군복에 갖추어 착용한 관모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08쪽.</ref> | |
=='''내용'''== | =='''내용'''== | ||
− | + | 짐승의 털을 다져서 만든 담(毯)을 모자골에 씌워 형태를 만든 입자(笠子)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24쪽.</ref> 정수리를 덮는 돔형의 모자(帽子)와 차양의 역할을 하는 테두리인 양태(凉太)로 구성된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08쪽.</ref> 모자 정수리에는 쟁자(鏳子)를 계급에 따라 달고, 공작 깃털[孔雀尾]과 상모(象毛)를 걸어 늘어뜨리며, 양옆에는 밀화(蜜花)로 만든 매미 장식을 붙인다.<ref>석주선, 『冠帽와 首飾』, 단국대학교출판부, 1993, 202쪽.</ref> 양태 안쪽에는 남색 운문단으로 꾸미고 밀화로 만든 끈을 달았다. 조선 말기에는 가볍고 화려한 것이 유행하여 말총으로 만든 [[엽립|엽립(鬣笠)]]이나 가는 대나무를 만든 [[죽전립|죽전립(竹戰笠)]]도 등장하였다. 여기에 모자 정수리에 옥으로 만든 장식[玉鷺]을 단 것을 [[옥로립]]이라 하였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24쪽.</ref> [[백관]] 중 무관의 관모이며, 문관도 조선 말기까지 [[왕]]이 궁궐 밖 행차를 수행할 때 등의 상황에서 [[백관의 군복]]의 일습으로 [[전립]]을 착용하였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24쪽.</ref>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항목A!!항목B!!관계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왕]] || 전립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 | [[왕세자]] || 전립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 | [[백관]] || 전립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 | [[왕의 군복]] || 전립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왕세자의 군복]] || 전립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 | [[백관의 군복]] || 전립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전립 || [[동다리]]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42번째 줄: | 44번째 줄: |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
−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전립02 민박.jpg | 조선시대 전립.<ref>국립민속박물관 소장.</ref> | +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전립02 민박.jpg | 조선시대 전립.<ref>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ref> |
−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전립01-1 민박.jpg | 조선시대 전립 착용 모습.<ref>국립민속박물관 소장.</ref> | +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전립01-1 민박.jpg | 조선시대 전립 착용 모습.<ref>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ref> |
</gallery> | </gallery> | ||
===영상=== | ===영상=== | ||
− | ==주석== | + | =='''주석'''== |
<references/> | <references/> | ||
54번째 줄: | 56번째 줄: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姜淳弟, 「笠制의 變遷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4. | * 姜淳弟, 「笠制의 變遷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4. | ||
− | * 姜淳弟, 「韓國 笠制의 變遷에 關한 硏究」, 『服飾』 | + | * 姜淳弟, 「韓國 笠制의 變遷에 關한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77.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 | * 金正子, 「韓國軍服의 變遷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24권 4호 대한가정학회, 1986. | + | * 金正子, 「韓國軍服의 變遷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24권 4호, 대한가정학회, 1986. |
* 金賢舜, 「軍服에 對한 硏究 -具軍服을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 * 金賢舜, 「軍服에 對한 硏究 -具軍服을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 ||
* 柳喜卿, 「우리나라의 冠帽」, 『대한가정학회지』 제4권, 대한가정학회, 1963. | * 柳喜卿, 「우리나라의 冠帽」, 『대한가정학회지』 제4권, 대한가정학회, 1963. | ||
− | * 문광희, 「조선 후기 甲胄 및 具軍服에 관한 연구-부산 忠烈祠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제7권 1호 한복문화학회, 2004. | + | * 문광희, 「조선 후기 甲胄 및 具軍服에 관한 연구-부산 忠烈祠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제7권 1호, 한복문화학회, 2004. |
* 석주선, 『冠帽와 首飾』, 단국대학교출판부, 1993. | * 석주선, 『冠帽와 首飾』, 단국대학교출판부, 1993. | ||
* 이혜영, 「어가행렬에 나타난 의장병의 복식에 관한 연구 –정조의 화성행차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 이혜영, 「어가행렬에 나타난 의장병의 복식에 관한 연구 –정조의 화성행차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
* 任明美, 「介胄와 軍服과 戎服에 관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3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79. | * 任明美, 「介胄와 軍服과 戎服에 관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3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79. | ||
− | |||
− | |||
− | |||
−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복식]] | [[분류:복식]] |
2017년 12월 17일 (일) 16:41 기준 최신판
전립 (戰笠) |
|
대표명칭 | 전립 |
---|---|
한자표기 | 戰笠 |
이칭별칭 | 전립(氈笠), 모립(毛笠) |
구분 | 관 및 쓰개 |
착용신분 | 왕, 왕세자, 왕세손, 백관 |
착용성별 | 남성 |
정의
조선의 왕, 왕세자, 왕세손, 백관이 군사(軍事)가 있거나 능에 행차할 때 군복에 갖추어 착용한 관모이다.[1]
내용
짐승의 털을 다져서 만든 담(毯)을 모자골에 씌워 형태를 만든 입자(笠子)이다.[2] 정수리를 덮는 돔형의 모자(帽子)와 차양의 역할을 하는 테두리인 양태(凉太)로 구성된다.[3] 모자 정수리에는 쟁자(鏳子)를 계급에 따라 달고, 공작 깃털[孔雀尾]과 상모(象毛)를 걸어 늘어뜨리며, 양옆에는 밀화(蜜花)로 만든 매미 장식을 붙인다.[4] 양태 안쪽에는 남색 운문단으로 꾸미고 밀화로 만든 끈을 달았다. 조선 말기에는 가볍고 화려한 것이 유행하여 말총으로 만든 엽립(鬣笠)이나 가는 대나무를 만든 죽전립(竹戰笠)도 등장하였다. 여기에 모자 정수리에 옥으로 만든 장식[玉鷺]을 단 것을 옥로립이라 하였다.[5] 백관 중 무관의 관모이며, 문관도 조선 말기까지 왕이 궁궐 밖 행차를 수행할 때 등의 상황에서 백관의 군복의 일습으로 전립을 착용하였다.[6]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왕 | 전립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세자 | 전립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백관 | 전립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의 군복 | 전립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왕세자의 군복 | 전립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군복 | 전립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전립 | 동다리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08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24쪽.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08쪽.
- ↑ 석주선, 『冠帽와 首飾』, 단국대학교출판부, 1993, 202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24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24쪽.
- ↑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 ↑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姜淳弟, 「笠制의 變遷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4.
- 姜淳弟, 「韓國 笠制의 變遷에 關한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77.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金正子, 「韓國軍服의 變遷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24권 4호, 대한가정학회, 1986.
- 金賢舜, 「軍服에 對한 硏究 -具軍服을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 柳喜卿, 「우리나라의 冠帽」, 『대한가정학회지』 제4권, 대한가정학회, 1963.
- 문광희, 「조선 후기 甲胄 및 具軍服에 관한 연구-부산 忠烈祠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제7권 1호, 한복문화학회, 2004.
- 석주선, 『冠帽와 首飾』, 단국대학교출판부, 1993.
- 이혜영, 「어가행렬에 나타난 의장병의 복식에 관한 연구 –정조의 화성행차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任明美, 「介胄와 軍服과 戎服에 관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3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