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화순 쌍봉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가상현실)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사찰사지정보
 
{{사찰사지정보
|사진=  
+
|사진=BHST_Ssangbongsa.jpg
 
|대표명칭=화순 쌍봉사
 
|대표명칭=화순 쌍봉사
 
|영문= Ssangbongsa Temple, Hwasun
 
|영문= Ssangbongsa Temple, Hwasun
35번째 줄: 35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와 도윤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07/stele_doyun_ssangbong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 [[화순 쌍봉사]] || A는 B에 있다 ||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 [[화순 쌍봉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화순 쌍봉사]] || A는 B에 있다 ||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화순 쌍봉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화순 쌍봉사]] || A는 B에 있다 ||
+
|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화순 쌍봉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 [[도윤]]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 [[도윤]]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도윤]]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도윤]]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
|[[혜철]] || [[화순 쌍봉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혜철]] || [[화순 쌍봉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도윤]] || [[화순 쌍봉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도윤]] || [[화순 쌍봉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혜심]] || [[화순 쌍봉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혜심]] || [[화순 쌍봉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화순 쌍봉사]] || [[사자산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화순 쌍봉사]] || [[사자산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구산선문]] || [[사자산문]] || A는 B를 포함한다||
+
| [[구산선문]] || [[사자산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화순 쌍봉사]] || [[해남 대흥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화순 쌍봉사]] || [[해남 대흥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순천 송광사]] || [[화순 쌍봉사]] || A는 B를 포함한다||
+
| [[순천 송광사]] || [[화순 쌍봉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78번째 줄: 85번째 줄:
 
|1911년 || [[사찰령]]으로 인해 [[화순 쌍봉사]]가 [[해남 대흥사]]의 말사로 편입되었다
 
|1911년 || [[사찰령]]으로 인해 [[화순 쌍봉사]]가 [[해남 대흥사]]의 말사로 편입되었다
 
|}
 
|}
 +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07/ssangbong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07/ssangbong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
파일:BHST_Ssangbongsa.jpg|쌍봉사
 +
파일:BHST_Ssangbongsa_Iljumun.jpg|일주문
 +
파일:BHST_Ssangbongsa_pond-1.jpg|연못
 +
파일:BHST_Ssangbongsa_monument.jpg|쌍봉사사적비
 +
파일:BHST_Ssangbongsa_Cheolgam_stele.jpg|철감선사탑비
 +
파일:BHST_Ssangbongsa_Cheolgam_stupa.jpg|철감선사탑
 +
파일:BHST_Ssangbongsa_Cheonwangmun.jpg|천왕문
 +
파일:BHST_Ssangbongsa_Daeungjeon-3.jpg|대웅전
 +
파일:BHST_Ssangbongsa_Geungnakjeon.jpg|극락전
 +
파일:BHST_Ssangbongsa_Hoseongjeon.jpg|호성전
 +
파일:BHST_Ssangbongsa_Hoseongjeon_Cheolgam_portrait.jpg|호성전 철감선사 진영(부분)
 +
파일:BHST_Ssangbongsa_Hoseongjeon_Jongsim_portrait.jpg|호성전 조주선사 진영(부분)
 +
파일:BHST_Ssangbongsa_Jijangjeon_Buddha.jpg|지장전 목조지장보살상
 +
</gallery>
  
 
=='''주석'''==
 
=='''주석'''==

2018년 11월 28일 (수) 20:58 기준 최신판

화순 쌍봉사
(和順 雙峰寺)
BHST Ssangbongsa.jpg
대표명칭 화순 쌍봉사
한자 和順 雙峰寺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산의로 459
교구정보 대한불교조계종
창건자 도윤(道允)
경내문화재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정의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松廣寺)의 말사이다. [1]

내용

역사

일반적으로 쌍봉사(雙峰寺)는 철감선사 도윤(澈鑒禪師 道允)이 창건했다고 알려져있다. 하지만 그 이전 시기의 기록인 동리산 태안사(泰安寺)에 있는 혜철(慧澈)의 부도비에는 혜철이 839년에 당나라에서 돌아와 쌍봉사에서 하안거(夏安居)[2]를 지냈다는 내용이 쓰어있다. 이렇게 볼 때 쌍봉사는 적어도 839년 이전부터 있었고, 다만 도윤이 주석하던 기간에 사세(寺勢)가 크게 일어났으리라 추측해 볼 수 있다.[3] 쌍봉사의 사찰명이 '쌍봉'인 이유는 도윤의 도호(道號)가 쌍봉(雙峰)이었기 때문이다.

847년(문성왕 9)에 귀국한 도윤은 이 절에서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사자산문(獅子山門)의 기초를 마련하였고, 이곳에서 그의 종풍(宗風)을 이어받은 징효(澄曉)흥녕사(興寧寺)에서 사자산문을 개산(開山)하게 되었다. [4] 고려시대에도 쌍봉사의 사세(寺勢)는 계속되어 1081년(문종 35)에 혜소국사(慧昭國師)가 중창하였는데, 그 문하에서 유명한 승려가 다수 배출되었다. 고려 후기 쌍봉사의 위상이 크게 높아진 것은 최씨무인 집권기이다. 최우(崔瑀)는 1219년에 자신의 아들 최만전(崔萬全)과 최만종(崔萬宗)을 수선사(修禪社)의 제2세 사주(社主) 혜심(慧諶)에게 보내 출가시켰는데, 최만전이 쌍봉사에 거처하면서 활동하여 쌍봉사의 사세는 융성하게 되었다. [5]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는 절 아랫마을 쌍봉리 양씨 가문의 세력에 눌려 조광조(趙光祖)와 양팽손(梁彭孫) 등을 모신 죽수서원(竹樹書院)의 예속사찰로 전락하기도 했다.[6]

임진왜란 때 절이 불타 버린 후 1628년(인조 6)에 중건했고 1667년(현종 8)과 1724년(경종 4)에 중창했다.[7] 하지만 일제강점기인 1911년에는 사찰령으로 인해 쌍봉사가 대흥사(大興寺)의 말사로 편재되어 사격을 잃기도 했고, 한국전쟁 때는 사찰 건물 대부분이 소실되어 대웅전극락전만 남기도 했다.[8]

관련 이야기

쌍봉사의 주산은 계당산(桂棠山)으로 이곳의 터는 배가 떠가는 형국을 하고 있다. 그래서 돛대를 세워야 겠다는 생각으로 대웅전을 삼층 목조건물로 높이 세워 돛대를 걸었다고 한다. 또한 배에 구멍을 뚫으면 배가 갈 수 없으므로 터 안에 샘을 파지 않았다고 한다. 그리고 주산이 '사자가 누워있는 상'이라 사자의 입에 해당하는 곳이 사자의 침이 마르지 않을 것이므로 사자의 혀를 찾아가 땅을 파니 맑은 물이 솟아났다고 한다.[9]

지식 관계망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와 도윤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화순 쌍봉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화순 쌍봉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화순 쌍봉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도윤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도윤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A ekc:isStupaOf B
혜철 화순 쌍봉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도윤 화순 쌍봉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혜심 화순 쌍봉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화순 쌍봉사 사자산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구산선문 사자산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화순 쌍봉사 해남 대흥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천 송광사 화순 쌍봉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839년 혜철화순 쌍봉사에서 하안거를 지냈다
1081년 혜소국사화순 쌍봉사를 중창하였다
1219년 최우가 자신의 아들 최만전과 최만종을 화순 쌍봉사혜심에게 보내 출가시켰다
1628년 임진왜란 후 불타버린 화순 쌍봉사를 중창했다
1911년 사찰령으로 인해 화순 쌍봉사해남 대흥사의 말사로 편입되었다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주석

  1. "쌍봉사", 『두산백과』online.
  2. 불교에서 승려들이 여름 동안 한곳에 머물면서 수행에 전념하는 일. 『두산백과』online.
  3.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 길잡이5 - 전남』, 2010. 온라인 참조: "쌍봉사", 답사여행 길잡이5 - 전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쌍봉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이영숙, "쌍봉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 길잡이5 - 전남』, 2010. 온라인 참조: "쌍봉사", 답사여행 길잡이5 - 전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 길잡이5 - 전남』, 2010. 온라인 참조: "쌍봉사", 답사여행 길잡이5 - 전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8. 이영숙, "쌍봉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9. "쌍봉사", 한국의 풍수지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참고문헌

  • 이영숙, "쌍봉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쌍봉사", 『두산백과』online.
  • "쌍봉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쌍봉사", 한국의 풍수지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 길잡이5 - 전남』, 2010. 온라인 참조: "쌍봉사", 답사여행 길잡이5 - 전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