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관계정보)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임진왜란]] | + | 1592년([[조선 선조|선조]] 25) [[임진왜란]] 시기에 [[금강산]] [[고성 유점사|유점사]]까지 침입한 왜장이 [[유정|사명대사 유정]]의 설법에 감화되어 물러나는 장면을 담은 [[박서보]]의 민족기록화이다. |
=='''설명'''== | =='''설명'''==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 | 왜적이 [[고성 유점사]]를 점령한 뒤 승려 20여 명을 결박하였는데, [[유정]]은 홀연히 왜적을 찾아가, 왜장과 필담을 나누었다. [[유정]]은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right|450px]] |
+ | 왜적이 [[고성 유점사|유점사(楡岾寺)]]를 점령한 뒤 승려 20여 명을 결박하였는데, [[유정|유정(惟政, 1520~1604)]]은 홀연히 왜적을 찾아가, 왜장과 필담을 나누었다. [[유정]]은 불교를 설법하여 왜장을 탄복케 하였고, 왜장 두 명이 그에게 계를 받기까지 하였다. 이 덕에 [[고성 유점사|유점사]] 인근 영동 지방의 아홉 고을 사람들이 참회를 면할 수 있었다고 한다. | ||
− | {{Blockquote| 왜장 曰 : 이 산에 금,은,동 여러 가지 보물이 있을테니 모두 내어놔라 | + | {{Blockquote| 왜장 曰 : 이 산에 금,은,동 여러 가지 보물이 있을테니 모두 내어놔라. 응하지 않으면 죽이겠다.<br/> |
− | 유정 曰 : 우리나라에서는 본래 금,은,동을 보배로 쓰지 않고 다만 쌀과 베를 쓰기 | + | 유정 曰 : 우리나라에서는 본래 금,은,동을 보배로 쓰지 않고 다만 쌀과 베를 쓰기 때문에 금, 은 따위는 귀중히 여기지도 않는다. 하물며 산중에 있는 중은 채식으로 생활하는데 무슨 보물이 있겠는가? 또한 장군이 불교의 7조를 묻는것만 보아도 자비불살(慈悲不殺)을 제일로 삼는 불교를 아는 모양인데, 지금 죄없는 중들을 묶어놓고 보물을 내어놓으라니 지팡이 하나만 들고 천산만수(千山萬水)에 돌아 다니는 중에게 무슨 보물이 있겠는가? '''비록 죽을지라도 내어놓을 보물이 없으니 장군은 자비심을 베풀어서 결박한 중들을 모두 풀어 놓으라.''' |
|출처= 茗田, "[http://m.blog.daum.net/samhang61/17055046 四溟堂의 生涯와 思想에 대한 고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다음 블로그 - 茗田의 차사랑』<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9년 09월 03일.}} | |출처= 茗田, "[http://m.blog.daum.net/samhang61/17055046 四溟堂의 生涯와 思想에 대한 고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다음 블로그 - 茗田의 차사랑』<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9년 09월 03일.}} | ||
− | 이 작품은 이와 같은 장면을 묘사하고 있는데, 작품 중앙에 그려진 고승이 [[유정]]이고, 그의 앞에 왜장이 무릎을 꿇고 | + | 이 작품은 이와 같은 장면을 묘사하고 있는데, 작품 중앙에 그려진 고승이 '''②⑤ [[유정]]'''이고, 그의 앞에 '''⑤⑧''' 왜장이 투구를 벗은 채 무릎을 꿇고 있다. 작품 뒤편에는 '''④⑤''' 결박이 풀린 승려들과 왜장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
===작품 배경=== | ===작품 배경=== | ||
− | 작품의 배경은 [[금강산]] 4대 사찰 중 하나인 [[고성 유점사]]로, 작품의 뒷배경에 [[금강산]]의 산세가 묘사되어 있다. 작품 왼편에 그려진 석탑은 [[고성 유점사 구층석탑]]으로, 해당 작품에는 삼층석탑으로 잘못 묘사되어 있다. | + | 작품의 배경은 [[금강산]] 4대 사찰 중 하나인 [[고성 유점사]]로, 작품의 뒷배경에 '''①② [[금강산]]'''의 산세가 묘사되어 있다. 작품 왼편에 그려진 석탑은 '''④ [[고성 유점사 구층석탑]]'''으로, 해당 작품에는 삼층석탑으로 잘못 묘사되어 있다. |
===그림 읽기=== | ===그림 읽기=== | ||
+ | *국가기록원 기록에 따르면 이 작품은 1991년 11월 20일부터 1992년 11월 19일까지 [[새마을운동남부연수원]]에 대여되었습니다. |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
42번째 줄: | 44번째 줄: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_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jpg|최규하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전람회 관람<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9&dsid=000000000008&gubun=search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5]",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_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jpg|최규하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전람회 관람<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9&dsid=000000000008&gubun=search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5]",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gallery> | </gallery>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35/C035.htm '''"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박서보) 지식관계망'''] | |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35/C03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63번째 줄: | 68번째 줄: | ||
| [[고성 유점사]] || [[유정]]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고성 유점사]] || [[유정]]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 | |- | ||
− | | [[유정]] || [[4차 평양전투]] || | + | | [[유정]] || [[4차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휴정]] || [[4차 평양전투]] || | + | | [[휴정]] || [[4차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휴정]] || [[유정]]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휴정]] || [[유정]]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평양전투]] || [[4차 평양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고니시 유키나가]] ||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 | |[[ | + | | [[유정]] || [[고니시 유키나가]]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휴정]] || [[고니시 유키나가]]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88번째 줄: | 92번째 줄: | ||
|1991년 11월 20일-1992년 11월 19일 || [[새마을운동남부연수원]]이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을 대여하였다 | |1991년 11월 20일-1992년 11월 19일 || [[새마을운동남부연수원]]이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을 대여하였다 | ||
|- | |- | ||
− | |1593년 2월 6일-9일 || [[유정]]이 [[평양전투]]를 지휘하였다 | + | |1593년 2월 6일-9일 || [[유정]]이 [[4차 평양전투]]를 지휘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100번째 줄: | 101번째 줄: | ||
|- | |- | ||
|35.4249581 || 126.8236472 ||[[새마을운동남부연수원]]이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을 대여하였다 | |35.4249581 || 126.8236472 ||[[새마을운동남부연수원]]이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을 대여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 *'''임진왜란 승병 활동'''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s://dh.aks.ac.kr/Encyves/Map/C025/C025.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련 민족기록화=== | ===관련 민족기록화=== | ||
125번째 줄: | 129번째 줄: | ||
===갤러리===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스케치01.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01&gubun=search 민족기록화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스케치02.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6&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스케치03.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2&gubun=search 민족기록화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_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jpg|최규하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전람회 관람<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9&dsid=000000000008&gubun=search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5]",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gallery> | ||
===영상=== | ===영상=== | ||
+ | *'''[왕만화]역사만화 한국사위인전 17 사명대사(게시일: 2013년 11월 11일)''' : 7분 52초~9분 11초(작품 관련 장면) | ||
+ | <html> |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lAQwbkx83V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주석'''== | =='''주석'''== | ||
134번째 줄: | 148번째 줄: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단행본 | #단행본 | ||
− | #* 편집부,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 + | #* 편집부,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 |
− | # | + | #웹 자원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1805 유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목정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1805 유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유점사 구층석탑 (楡岾寺 九層石塔)", 공유마당_사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 | + | #* "유점사 구층석탑 (楡岾寺 九層石塔)", 공유마당_사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저작권위원회』<sup>online</sup></online></html>.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04478&cid=51267&categoryId=51267 유점사 구층석탑 (楡岾寺 九層石塔)]", 공유마당_사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茗田, "[http://m.blog.daum.net/samhang61/17055046 四溟堂의 生涯와 思想에 대한 고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다음 블로그 - 茗田의 차사랑』<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9년 09월 03일 | + | #* 茗田, "[http://m.blog.daum.net/samhang61/17055046 四溟堂의 生涯와 思想에 대한 고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다음 블로그 - 茗田의 차사랑』<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9년 09월 03일.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 |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
2024년 3월 14일 (목) 14:29 기준 최신판
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
작가 | 박서보 |
---|---|
제작연도 | 1976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전쟁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미상 |
목차
정의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시기에 금강산 유점사까지 침입한 왜장이 사명대사 유정의 설법에 감화되어 물러나는 장면을 담은 박서보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왜적이 유점사(楡岾寺)를 점령한 뒤 승려 20여 명을 결박하였는데, 유정(惟政, 1520~1604)은 홀연히 왜적을 찾아가, 왜장과 필담을 나누었다. 유정은 불교를 설법하여 왜장을 탄복케 하였고, 왜장 두 명이 그에게 계를 받기까지 하였다. 이 덕에 유점사 인근 영동 지방의 아홉 고을 사람들이 참회를 면할 수 있었다고 한다.
왜장 曰 : 이 산에 금,은,동 여러 가지 보물이 있을테니 모두 내어놔라. 응하지 않으면 죽이겠다. 유정 曰 : 우리나라에서는 본래 금,은,동을 보배로 쓰지 않고 다만 쌀과 베를 쓰기 때문에 금, 은 따위는 귀중히 여기지도 않는다. 하물며 산중에 있는 중은 채식으로 생활하는데 무슨 보물이 있겠는가? 또한 장군이 불교의 7조를 묻는것만 보아도 자비불살(慈悲不殺)을 제일로 삼는 불교를 아는 모양인데, 지금 죄없는 중들을 묶어놓고 보물을 내어놓으라니 지팡이 하나만 들고 천산만수(千山萬水)에 돌아 다니는 중에게 무슨 보물이 있겠는가? 비록 죽을지라도 내어놓을 보물이 없으니 장군은 자비심을 베풀어서 결박한 중들을 모두 풀어 놓으라. |
||
출처: 茗田, "四溟堂의 生涯와 思想에 대한 고찰", |
이 작품은 이와 같은 장면을 묘사하고 있는데, 작품 중앙에 그려진 고승이 ②⑤ 유정이고, 그의 앞에 ⑤⑧ 왜장이 투구를 벗은 채 무릎을 꿇고 있다. 작품 뒤편에는 ④⑤ 결박이 풀린 승려들과 왜장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금강산 4대 사찰 중 하나인 고성 유점사로, 작품의 뒷배경에 ①② 금강산의 산세가 묘사되어 있다. 작품 왼편에 그려진 석탑은 ④ 고성 유점사 구층석탑으로, 해당 작품에는 삼층석탑으로 잘못 묘사되어 있다.
그림 읽기
- 국가기록원 기록에 따르면 이 작품은 1991년 11월 20일부터 1992년 11월 19일까지 새마을운동남부연수원에 대여되었습니다.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박서보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유정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고성 유점사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새마을운동남부연수원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관련 기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고성 유점사 | 유정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유정 | 4차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휴정 | 4차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휴정 | 유정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평양전투 | 4차 평양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고니시 유키나가 | 평양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유정 | 고니시 유키나가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휴정 | 고니시 유키나가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6년 | 박서보가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을 제작하였다 |
1991년 11월 20일-1992년 11월 19일 | 새마을운동남부연수원이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을 대여하였다 |
1593년 2월 6일-9일 | 유정이 4차 평양전투를 지휘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5.4249581 | 126.8236472 | 새마을운동남부연수원이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을 대여하였다 |
- 임진왜란 승병 활동
관련 민족기록화
1592년 4월 27일 박석호-추풍령싸움
1592년 5월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1592년 7월 오승우-행주대첩
1592년 7월 8일 김형구-한산대첩
1592년 8월 18일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1592년 8월 28일-8월 31일 박항섭-연안성싸움
1597년 9월 16일 김기창-명량대첩
1592년 10월 강대운-진주성싸움
1593년 2월 6일-2월 9일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왕만화]역사만화 한국사위인전 17 사명대사(게시일: 2013년 11월 11일) : 7분 52초~9분 11초(작품 관련 장면)
주석
- ↑ "민족기록화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편집부,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
- 웹 자원
- 목정배, "유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유점사 구층석탑 (楡岾寺 九層石塔)", 공유마당_사진,
『한국저작권위원회』online . 온라인 참조: "유점사 구층석탑 (楡岾寺 九層石塔)", 공유마당_사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茗田, "四溟堂의 生涯와 思想에 대한 고찰",
『다음 블로그 - 茗田의 차사랑』online , 작성일: 2009년 09월 03일.
- 목정배, "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