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승우-포항종합제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영상)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3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민족/기획기사보기| | ||
+ | |기획기사=[[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기업의 탄생]] | ||
+ | }} |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 ||
{{민족기록화_샘플 | {{민족기록화_샘플 | ||
13번째 줄: | 16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1968년에 건립된 | + | 1968년에 건립된 [[포항종합제철]]에서 철강제품을 생산하는 광경을 그린 [[오승우]]의 민족기록화이다. |
=='''설명'''== | =='''설명'''==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 | 1973년 6월 9일 국내 최초의 | + | 1973년 6월 9일 국내 최초의 [[일관제철소]](一貫製鐵所)인 [[포항종합제철]] 제1고로에서 쇳물을 토해내는 장면을 생동감 있게 그리고 있다. 1973년 7월 3일 완공된 포항제철소의 포항 1기 설비 건설에는 연인원 581만명, [[경부고속도로]] 건설비용의 3배에 해당하는 1,205억원의 자금이 소요되었다. 여기에는 전체 [[대일청구권자금 | 대일 청구권]]의 23.9%에 달하는 막대한 자금이 포함되어 있다.<ref>"[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706005003#csidx6b1b86df098084a9de8dd110361747c 청구권 자금 5억弗 중 포철 건설에 24% 사용]", 『서울신문』, 2015년 07월 05일.</ref> |
− | 1973년 7월 3일 완공된 포항제철소의 포항 1기 설비 건설에는 연인원 581만명, [[경부고속도로]] 건설비용의 3배에 해당하는 | ||
===작품 구도=== | ===작품 구도=== | ||
− | 방열복을 | + | 방열복을 입은 다수의 작업자가 고로에서 시뻘건 불덩어리와 함께 쇳물을 뽑아내고 있다. 뒷배경에는 쇳물을 녹이는 육중한 기계 설비와 쇳물에서 뿜어져 나오는 자욱한 흰연기가 탁한 색감으로 표현되어 있다. 중간 부분에서 앞까지 S자 모양으로 흘러 내려오는 쇳물은 실제 작업 현장에 온 것과 같은 현장감을 주고 있다. [[오승우]] 화가의 구술에 의하면 민족기록화 경제편 작가들은 직접 산업 현장을 방문 답사하여 사진 촬영도 하였다고 한다.<br/> |
− | 이 작품은 정형화된 다른 민족기록화 경제편 작품에 비해 전체적으로 현장의 모습을 생동감있고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 + | 이 작품은 정형화된 다른 민족기록화 경제편 작품에 비해 전체적으로 현장의 모습을 생동감있고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소재와 초점이 노동자가 아니라 산업발전을 홍보하기 위한 시설에 맞추어져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도 하다.<ref>박계리, "박계리의 스케치北 ⑤, 노동자 화가 박문협 쇳물에 녹여낸 북한 리얼리즘",『통일한국 』, 2012년 5월호.</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71/C071.htm "포항종합제철 "(오승우) 지식관계망] |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71/C07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35번째 줄: | 38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오승우]] | + | |[[오승우-포항종합제철]] || [[오승우]]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오승우-포항종합제철]] || [[포항철강산업단지 관리공단]]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오승우-포항종합제철]] ||[[포항종합제철]]||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 | |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기업의 탄생]] || [[오승우-포항종합제철]]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포항종합제철]]|| [[박태준]]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 ||
− | |[[포항종합제철]] ||[[포스코]]|| | + | |[[포항종합제철]] ||[[포스코]]||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 | |- | ||
− | |[[ | + | |[[대일청구권자금]]|| [[포항종합제철]]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 | ||
− | |||
|} | |} | ||
54번째 줄: | 58번째 줄: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 |1973년 || [[오승우]]가 | + | |1973년 || [[오승우]]가 [[오승우-포항종합제철]]을 제작하였다 |
|- | |- | ||
− | |1979년 || 총무처가 | + | |1979년 || 총무처가 [[오승우-포항종합제철]]을 대여하였다 |
|- | |- | ||
− | |1991년 03월 25일-1992년 03월 24일 || [[포항철강산업단지 관리공단]]이 | + | |1991년 03월 25일-1992년 03월 24일 || [[포항철강산업단지 관리공단]]이 [[오승우-포항종합제철]]을 대여하였다 |
|- | |- | ||
− | |1998년-현재 || [[ | + | |1998년-현재 || [[포항철강산업단지 관리공단]]이 [[오승우-포항종합제철]]을 소장하고 있다 |
|} | |} | ||
67번째 줄: | 71번째 줄: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37.575603 || 126.975119 || | + | |37.575603 || 126.975119 || [[오승우-포항종합제철]]이 [[총무처]]에 대여되었다 |
|- | |- | ||
− | |35.982941 || 129.381239 || | + | |35.982941 || 129.381239 || [[오승우-포항종합제철]]은 [[포항철강산업단지 관리공단]]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36.000618 || 129.384950 || | + | |36.000618 || 129.384950 || [[오승우-포항종합제철]]은 [[포항종합제철]]를 배경으로 한다 |
|} | |} | ||
+ | *'''현대 기업의 탄생 전자지도'''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s://dh.aks.ac.kr/Encyves/Map/C010/C010.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련 민족기록화=== | ===관련 민족기록화=== | ||
100번째 줄: | 110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 | + | <html> | |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71/index.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 | + | </html><br/> |
− | +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71/index.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 |||
− | |||
===영상=== | ===영상=== | ||
− | *'' | + | *연합뉴스TV, [https://www.youtube.com/embed/QNkCFmH64F8?ecver=2 (기업비사) 47회 : 철강왕 박태준, 대한민국 제철신화를 이루다], ''YouTube'', 작성일: 2016년 02월 14일. |
<html> | <html> |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QNkCFmH64F8?ecver=2"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119번째 줄: | 127번째 줄: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단행본 | #단행본 | ||
− |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 + |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 |
−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85쪽. |
+ | #웹 자원 | ||
+ | #* 조경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217 포스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6171 포스코]",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 |||
− | |||
− | |||
===더 읽을거리=== | ===더 읽을거리=== | ||
# 단행본 | # 단행본 | ||
#* 서갑경, 『철강왕 박태준 - 경영이야기』, 한언, 2011. | #* 서갑경, 『철강왕 박태준 - 경영이야기』, 한언, 2011.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
2024년 3월 14일 (목) 14:46 기준 최신판
기획기사: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기업의 탄생 |
오승우-포항종합제철 | |
작가 | 오승우 |
---|---|
제작연도 | 1973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광공업 |
분류 | 유화 |
소장처 | 포항철강산업단지 관리공단 |
목차
정의
1968년에 건립된 포항종합제철에서 철강제품을 생산하는 광경을 그린 오승우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1973년 6월 9일 국내 최초의 일관제철소(一貫製鐵所)인 포항종합제철 제1고로에서 쇳물을 토해내는 장면을 생동감 있게 그리고 있다. 1973년 7월 3일 완공된 포항제철소의 포항 1기 설비 건설에는 연인원 581만명, 경부고속도로 건설비용의 3배에 해당하는 1,205억원의 자금이 소요되었다. 여기에는 전체 대일 청구권의 23.9%에 달하는 막대한 자금이 포함되어 있다.[1]
작품 구도
방열복을 입은 다수의 작업자가 고로에서 시뻘건 불덩어리와 함께 쇳물을 뽑아내고 있다. 뒷배경에는 쇳물을 녹이는 육중한 기계 설비와 쇳물에서 뿜어져 나오는 자욱한 흰연기가 탁한 색감으로 표현되어 있다. 중간 부분에서 앞까지 S자 모양으로 흘러 내려오는 쇳물은 실제 작업 현장에 온 것과 같은 현장감을 주고 있다. 오승우 화가의 구술에 의하면 민족기록화 경제편 작가들은 직접 산업 현장을 방문 답사하여 사진 촬영도 하였다고 한다.
이 작품은 정형화된 다른 민족기록화 경제편 작품에 비해 전체적으로 현장의 모습을 생동감있고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소재와 초점이 노동자가 아니라 산업발전을 홍보하기 위한 시설에 맞추어져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도 하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오승우-포항종합제철 | 오승우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오승우-포항종합제철 | 포항철강산업단지 관리공단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오승우-포항종합제철 | 포항종합제철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기업의 탄생 | 오승우-포항종합제철 |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 A dcterms:hasPart B |
포항종합제철 | 박태준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포항종합제철 | 포스코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대일청구권자금 | 포항종합제철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3년 | 오승우가 오승우-포항종합제철을 제작하였다 |
1979년 | 총무처가 오승우-포항종합제철을 대여하였다 |
1991년 03월 25일-1992년 03월 24일 | 포항철강산업단지 관리공단이 오승우-포항종합제철을 대여하였다 |
1998년-현재 | 포항철강산업단지 관리공단이 오승우-포항종합제철을 소장하고 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5603 | 126.975119 | 오승우-포항종합제철이 총무처에 대여되었다 |
35.982941 | 129.381239 | 오승우-포항종합제철은 포항철강산업단지 관리공단에 소장되어 있다 |
36.000618 | 129.384950 | 오승우-포항종합제철은 포항종합제철를 배경으로 한다 |
- 현대 기업의 탄생 전자지도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영상
- 연합뉴스TV, (기업비사) 47회 : 철강왕 박태준, 대한민국 제철신화를 이루다, YouTube, 작성일: 2016년 02월 14일.
주석
- ↑ "청구권 자금 5억弗 중 포철 건설에 24% 사용", 『서울신문』, 2015년 07월 05일.
- ↑ 박계리, "박계리의 스케치北 ⑤, 노동자 화가 박문협 쇳물에 녹여낸 북한 리얼리즘",『통일한국 』, 2012년 5월호.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85쪽.
- 웹 자원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서갑경, 『철강왕 박태준 - 경영이야기』, 한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