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영월 징효국사부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승탑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영월 징효국사부도 |영문명칭=Stupa for Buddhist Monk Jinghyo at Heungnyeongsa Temple Site, Yeongwol |한자=寧越 澄...)
 
(관계정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5번째 줄: 25번째 줄:
 
=='''내용'''==
 
=='''내용'''==
 
===개요===
 
===개요===
부도는 기단부(基壇部) 위에 탑신(塔身)을 올린 후 머리장식을 얹었으며, 각 부분이 8각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기단은 아래·가운데·윗받침돌의 세부분으로 나뉜다. 아래받침돌에는 각 면에 안상(眼象)을 1구씩 얕게 새겼다. 가운데받침돌은 각 면마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둥근 윗받침돌은 연꽃무늬를 둘러놓았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720000,32 영월징효국사부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길잡이 3 - 동해·설악』, 돌베게, 2011. 온라인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7562&cid=42840&categoryId=42847 영월 징효대사 부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부도는 기단부(基壇部) 위에 탑신(塔身)을 올린 후 머리장식을 얹었으며, 각 부분이 8각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기단은 아래·가운데·윗받침돌의 세부분으로 나뉜다. 아래받침돌에는 각 면에 안상(眼象)을 1구씩 얕게 새겼다. 가운데받침돌은 각 면마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둥근 윗받침돌은 연꽃무늬를 둘러놓았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720000,32 영월징효국사부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길잡이 3 - 동해·설악』, 돌베개, 2011. 온라인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7562&cid=42840&categoryId=42847 영월 징효대사 부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탑신의 몸돌은 아래윗변의 모서리를 약간 죽인 듯 처리하였는데, 앞 뒷면에는 문짝 모양의 조각안에 자물통 모양을 표현해 놓았다. 지붕돌에는 급한 경사가 흐르고, 여덟 귀퉁이마다 꽃장식이 높게 달려 있다. 꼭대기에는 지붕을 축소한 듯한 장식 위로, 공모양의 장식이 놓여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720000,32 영월징효국사부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탑신의 몸돌은 아래윗변의 모서리를 약간 죽인 듯 처리하였는데, 앞 뒷면에는 문짝 모양의 조각안에 자물통 모양을 표현해 놓았다. 지붕돌에는 급한 경사가 흐르고, 여덟 귀퉁이마다 꽃장식이 높게 달려 있다. 꼭대기에는 지붕을 축소한 듯한 장식 위로, 공모양의 장식이 놓여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720000,32 영월징효국사부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
*'''징효대사 절중의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06/monk_jeoljung.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tp://dh.aks.ac.kr/Encyves/Graph/D006/stele_jeoljung_heungnyeongsa.htm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지식관계망]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영월 징효국사부도]] || [[국립고궁박물관]] || A는 B에 있다 ||
+
| [[영월 징효국사부도]] || [[영월 법흥사]] || A는 B에 있다 ||
 
|-
 
|-
| [[영월 징효국사부도]] || [[절중]]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
| [[영월 징효국사부도]] || [[절중]]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
 +
| [[영월 징효국사부도]] ||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48번째 줄: 57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720000,32 영월징효국사부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720000,32 영월징효국사부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길잡이 3 - 동해·설악』, 돌베게, 2011. 온라인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7562&cid=42840&categoryId=42847 영월 징효대사 부도]", 답사여행의길잡이:동해·설악,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길잡이 3 - 동해·설악』, 돌베개, 2011. 온라인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7562&cid=42840&categoryId=42847 영월 징효대사 부도]", 답사여행의길잡이:동해·설악,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5753 영월 징효국사 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5753 영월 징효국사 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박경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611 영월징효국사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박경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611 영월징효국사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57번째 줄: 66번째 줄:
 
[[분류:승탑]]
 
[[분류:승탑]]
 
[[분류:국가지정문화재]]
 
[[분류:국가지정문화재]]
[[분류:보물]]
 
 
[[분류:승탑/검토요청]]
 
[[분류:승탑/검토요청]]

2017년 11월 22일 (수) 15:52 기준 최신판

영월 징효국사부도
(寧越 澄曉國師浮屠)
답사 이후 추가 예정
대표명칭 영월 징효국사부도
영문명칭 Stupa for Buddhist Monk Jinghyo at Heungnyeongsa Temple Site, Yeongwol
한자 寧越 澄曉國師浮屠
주소 강원 영월군 수주면 법흥리 산5-3번지
관리자 영월 법흥사
건립시대 고려시대
관련승려 절중
관련탑비 영월 징효국사부도



정의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법흥사(法興寺)에 있었던 징효대사 절중(澄曉大師 折中)승탑.

내용

개요

부도는 기단부(基壇部) 위에 탑신(塔身)을 올린 후 머리장식을 얹었으며, 각 부분이 8각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기단은 아래·가운데·윗받침돌의 세부분으로 나뉜다. 아래받침돌에는 각 면에 안상(眼象)을 1구씩 얕게 새겼다. 가운데받침돌은 각 면마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둥근 윗받침돌은 연꽃무늬를 둘러놓았다.[1][2]

탑신의 몸돌은 아래윗변의 모서리를 약간 죽인 듯 처리하였는데, 앞 뒷면에는 문짝 모양의 조각안에 자물통 모양을 표현해 놓았다. 지붕돌에는 급한 경사가 흐르고, 여덟 귀퉁이마다 꽃장식이 높게 달려 있다. 꼭대기에는 지붕을 축소한 듯한 장식 위로, 공모양의 장식이 놓여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3]

지식관계망

  • 징효대사 절중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영월 징효국사부도 영월 법흥사 A는 B에 있다
영월 징효국사부도 절중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A ekc:isStupaOf B
영월 징효국사부도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영상

주석

  1. "영월징효국사부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2.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길잡이 3 - 동해·설악』, 돌베개, 2011. 온라인참조: "영월 징효대사 부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3. "영월징효국사부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