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이칭= 납징(納徵) | |이칭= 납징(納徵) | ||
|유형= 의례 | |유형= 의례 | ||
− | |관련개념= [[가례]] | + | |관련개념= [[가례]], [[혼례]] |
}} | }} | ||
=='''정의'''== | =='''정의'''== | ||
− | 왕실 [[가례]] 본 의식인인 육례(六禮)의 하나로, 혼인할 때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 성립의 증거로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폐물(幣物)을 보내는 의식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04343&cid=40942&categoryId=32169 | + | 조선시대 왕실 [[가례]]의 본 의식인인 육례(六禮)의 하나로, 혼인할 때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 성립의 증거로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폐물(幣物)을 보내는 의식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04343&cid=40942&categoryId=32169 납폐]",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
=='''내용'''== | =='''내용'''== | ||
− | 신랑집에서 신부집에 사자(使者)를 통해 예물을 | + | 혼인할 때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 성립의 증거로 신랑집에서 신부집에 사자(使者)를 통해 예물을 보낸다. 혼인이 정식으로 이루어졌음을 통보하는 의식이다. 예물로는 검은색과 붉은색 비단[玄纁束帛] 5필과 사슴가죽[儷皮] 2장을 보낸다. 오늘날의 ‘함’과 같은 의미이다.<ref>이욱, 조선후기 後宮 嘉禮의 절차와 변천- 慶嬪 金氏 嘉禮를 중심으로『장서각 』 19호,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55쪽.</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B002/B002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항목A!!항목B!!관계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왕]] || 납폐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 | ||
− | |[[ | + | | [[왕세자]] || 납폐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 | ||
− | |[[ | + | | [[황제]] || 납폐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 | ||
− | |[[ | + | | [[황태자]] || 납폐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 | ||
− | | | + | | [[혼례]] || 납폐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납폐 || [[납채]] || A는 순서상 B의 뒤이다 || A edm:isNextInSequence B | ||
+ | |- | ||
+ | | [[왕]] || [[왕의 조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왕세자]] || [[왕세자의 조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황제]] || [[왕의 조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황태자]] || [[왕세자의 조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
67번째 줄: | 76번째 줄: | ||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가례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韓國衣類學會誌』 15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91. |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가례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韓國衣類學會誌』 15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91. | ||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
− | + | ||
− |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개념]] [[분류:의례]]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개념]] [[분류:의례]] |
2017년 11월 2일 (목) 23:48 기준 최신판
납폐 (納幣) |
|
대표명칭 | 납폐 |
---|---|
한자표기 | 納幣 |
이칭 | 납징(納徵) |
유형 | 의례 |
관련개념 | 가례, 혼례 |
정의
조선시대 왕실 가례의 본 의식인인 육례(六禮)의 하나로, 혼인할 때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 성립의 증거로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폐물(幣物)을 보내는 의식이다.[1]
내용
혼인할 때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 성립의 증거로 신랑집에서 신부집에 사자(使者)를 통해 예물을 보낸다. 혼인이 정식으로 이루어졌음을 통보하는 의식이다. 예물로는 검은색과 붉은색 비단[玄纁束帛] 5필과 사슴가죽[儷皮] 2장을 보낸다. 오늘날의 ‘함’과 같은 의미이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왕 | 납폐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왕세자 | 납폐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황제 | 납폐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황태자 | 납폐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혼례 | 납폐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납폐 | 납채 | A는 순서상 B의 뒤이다 | A edm:isNextInSequence B |
왕 | 왕의 조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세자 | 왕세자의 조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황제 | 왕의 조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황태자 | 왕세자의 조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주석
- ↑ "납폐",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 ↑ 이욱, 조선후기 後宮 嘉禮의 절차와 변천- 慶嬪 金氏 嘉禮를 중심으로『장서각 』 19호,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55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권오영 외, 『조선 왕실의 嘉禮』,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김문식, 「1823년 明溫公主의 가례 절차」, 『조선시대사학보』 56, 조선시대사학회, 2011.
- 김선아, 「조선시대 치마ㆍ저고리 배색 특성에 관한 고찰-『嘉禮都監儀軌를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22권 1호, 한국색채학회, 2008.
- 김아람, 「복식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김정진, 「朝鮮時代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班次圖의 構造的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 백영자․김정진,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韓國衣類學會誌』 14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90.
- 신명호, 『조선의 왕』, 가람기획, 2000.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
- 신병주, 박례경 외 2명 저, 『왕실의 혼례식 풍경 (조선 왕실의 행사 2)』, 돌베개, 2013.
- 신순자,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唐衣에 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1989.
- 심승구, 「조선시대 왕실혼례의 추이와 특성」, 『朝鮮時代史學報』 41, 조선시대 사학회, 2007.
- 유송옥, 「조선왕조시대 가례도감의궤와 그에 나타난 복식」, 『大東文化硏究』 20,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1986.
- 유송옥, 『朝鮮王朝 宮中儀軌服飾』 , 1991.
- 이경자, 「『嘉禮都監儀軌』의 服飾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77.
- 이욱, 「『덕온공주가례등록』을 통해 본 덕온공주 가례 절차」, 『한국복식』 3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2.
- 이욱, 「조선후기 後宮 嘉禮의 절차와 변천-慶嬪 金氏 嘉禮를 중심으로」, 『장서각』 19,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이은주, 「『덕온공주가례등록』을 통해 본 공주가례복식」, 『한국복식』 3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2.
- 이주미, 「『연잉군가례등록』에 나타난 왕자가례의 절차와 복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임민혁, 「조선시대 『謄錄』을 통해 본 왕비의 親迎과 권위」, 『韓國史學史學報』 25, 한국사학사학회, 2012.
- 조미나, 「조선왕조 『가례도감의궤』에 나타난 궁녀의 직무에 따른 복식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가례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韓國衣類學會誌』 15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91.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