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양만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초상화 양만춘 표준영정.png
+
|사진=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양만춘 표준영정.jp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양만춘  
 
|대표명칭= 양만춘  
34번째 줄: 34번째 줄:
 
==내용==
 
==내용==
 
===문헌 속에 기록된 [[양만춘]]===
 
===문헌 속에 기록된 [[양만춘]]===
[[고구려 보장왕]] 때의 [[안시성|안시성(安市城)]] 성주이다. 그의 이름은 역사서에는 보이지 않고 ‘안시성 성주’로만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송준길]](宋浚吉)의 『[[동춘당선생별집]](同春堂先生別集)』과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熱河日記)』에 의하면 양만춘(梁萬春) 또는 양만춘(楊萬春)으로 밝혀졌다.
+
[[고구려 보장왕]] 때의 [[안시성|안시성(安市城)]] 성주이다. 그의 이름은 역사서에는 보이지 않고 ‘안시성 성주’로만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송준길]](宋浚吉)의 『[[동춘당선생별집|동춘당선생별집(同春堂先生別集)]]』과 [[박지원|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열하일기(熱河日記)]]』에 의하면 양만춘(梁萬春) 또는 양만춘(楊萬春)으로 쓰여 있다.
 
<ref>이도학,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5506 양만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ref>이도학,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5506 양만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고려 후기의 학자인 [[이색|이색(李穡)]]의 「[[정관은|정관음(貞觀吟)]]」이라는 시와 [[이곡|이곡(李穀)]]의 『[[가정집|가정집(稼亭集)]]』에 의하면, [[안시성전투]]에서 [[당나라 태종]]이 눈에 화살을 맞아 부상을 입고 회군했다고 한다. 고구려 멸망 뒤 당나라에 반대해 끝까지 저항한 11성(城) 가운데 안시성이 포함된 것으로 보아, [[양만춘]]의 생존여부는 알 수 없지만, 그의 기백과 용기가 고구려 부흥운동으로 계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이색|이색(李穡)]]의 「[[정관은|정관음(貞觀吟)]]」과 [[이곡|이곡(李穀)]]의 『[[가정집|가정집(稼亭集)]]』에 의하면, [[안시성전투]]에서 [[당나라 태종]]이 눈에 화살을 맞아 부상을 입고 회군했다고 한다. 고구려 멸망 뒤 당나라에 반대해 끝까지 저항한 11성(城) 가운데 [[안시성]]이 포함된 것으로 보아, [[양만춘]]의 생존여부는 알 수 없지만, 그의 기백과 용기가 고구려 부흥운동으로 계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ref>이도학,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5506 양만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ref>이도학,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5506 양만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양만춘]]과 [[안시성전투]]===
 
===[[양만춘]]과 [[안시성전투]]===
645년(보장왕 4) [[당나라 태종]]은 대군을 동원해 고구려를 침공하였다. 당나라 군대는 이세적(李世勣)의 건의로 [[안시성]] 공격을 시도하였다. 이 때 고구려는 당나라 군대에 포위된 안시성을 지키기 위해 15만 병력을 출동시켰으나 안시성에서 8리 떨어진 곳에서 대패하고 말았다. 고립무원의 상황에 처한 [[안시성]]에서 [[양만춘]]를 비롯한 병사와 주민들은 하나로 뭉쳐 완강히 저항하였다. 당시 당나라 군대는 하루에 6, 7회의 공격을 가하고 마지막 3일 동안은 전력을 다해 총 공세를 펼쳤으나 끝내 함락시키지 못하였다. 마침 9월에 접어들어 요동의 날씨가 추워지기 시작했고, 군량 또한 다하자 [[당나라 태종]]은 포위를 풀고 철군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때 [[양만춘]]은 성루에 올라 송별의 예(禮)를 표하고, 당나라 태종은 그의 용전을 높이 평가해 비단 100필을 주면서 왕에 대한 충성을 격려하였다.
+
645년 [[당나라 태종]]은 대군을 동원해 고구려를 침공하였다. 당나라 군대는 [[이세적|이세적(李世勣)]]의 건의로 [[안시성]] 공격을 시도하였다. 이 때 고구려는 당나라 군대에 포위된 안시성을 지키기 위해 15만 병력을 출동시켰으나 안시성에서 8리 떨어진 곳에서 대패하고 말았다. 고립무원의 상황에 처한 [[안시성]]에서 [[양만춘]]를 비롯한 병사와 주민들은 완강히 저항하였다. 당나라 군대는 총 공세를 펼쳤으나 끝내 [[안시성]]을 함락시키지 못했다. 요동의 날씨가 추워지기 시작하고 군량도 다하자 [[당나라 태종]]은 돌아가지 않을 수 없었다. 이 때 [[양만춘]]은 성루에 올라 송별의 예(禮)를 표하고, 당나라 태종은 그의 기백을 높이 평가해 비단 100필을 주면서 격려하였다.
 
<ref>이도학,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5506 양만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ref>이도학,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5506 양만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04/C004.htm "안시성싸움"(박창돈)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04/C00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양만춘]] || [[안시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양만춘]] || [[안시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양만춘]] || [[안시성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645년
+
| [[양만춘]] || [[안시성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당나라 태종]] || [[안시성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645년
+
| [[당나라 태종]] || [[안시성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안시성전투]] || [[안시성]] || A는 B에서 일어났다 || 645년
+
| [[안시성전투]] || [[안시성]]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
| [[양만춘]] || [[동춘당선생별집]] || A는 B에 언급되었다 ||  
+
| [[양만춘]] || [[동춘당선생별집]]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양만춘]] || [[열하일기]] || A는 B에 언급되었다 ||  
+
| [[동춘당선생별집]] || [[송준길]]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양만춘]] || [[정관음]] || A는 B에 언급되었다 ||  
+
| [[열하일기]] || [[양만춘]]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양만춘]] || [[가정집]] || A는 B에 언급되었다 ||  
+
| [[정관음]] || [[양만춘]]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송준길]] || [[동춘당선생별집]]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 [[가정집]] || [[양만춘]]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박지원]] || [[열하일기]]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 [[열하일기]] || [[박지원]]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이색]] || [[정관음]]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 [[정관음]] || [[이색]]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이곡]] || [[가정집]]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 [[가정집]] || [[이곡]]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양만춘 표준영정]] || [[양만춘]]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박창돈-안시성싸움]] || [[양만춘]]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80번째 줄: 90번째 줄: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1581년 || [[허준]]이 [[찬도방론맥결집성]]을 저술하였다
+
|645년 || [[양만춘]]이 [[안시성]]에서 [[안시성전투]]에 참가하였다
|-
 
| 1596년 || [[조선 선조]]가 [[동의보감 편찬]]을 명령하였다
 
|-
 
| 1608년 || [[허준]]이 [[언해태산집요]]를 저술하였다
 
|-
 
| 1608년 || [[허준]]이 [[언해두창집요]]를 저술하였다
 
|-
 
| 1608년 || [[허준]]이 [[언해구급방]]을 저술하였다
 
|-
 
| 1609년 || [[조선 광해군]]이 [[동의보감 편찬]]을 명령하였다
 
|-
 
| 1610년 || [[허준]]이 [[동의보감 편찬]]을 완성하였다
 
|-
 
| 1613년 || [[허준]]이 [[신찬벽온방]]을 저술하였다
 
|-
 
| 1613년 || [[허준]]이 [[병역신방]]을 저술하였다
 
|-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양만춘 표준영정.jpg |양만춘 표준영정
 +
</gallery>
 +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더 읽을 거리===
*단행본
+
*논문
**신동원, 『조선사람 허준』, 한겨레출판사, 2001.
+
**김세호, 「연행을 통해 되살아난 안시성(安市城)과 梁萬春/楊萬春」, 『漢文學報』31, 우리한문학회, 2014.
**김호, 『허준의 동의보감 연구』, 일지사, 2000.
+
**남재철, 「安市城主의 姓名 ‘양만춘' 考證 1 : 姓名의 出處 樣相 檢討를 中心으로」, 『동아시아고대학』35,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김두종, 『조선의학사』, 탐구당, 1966.
+
 
*웹자원
 
**김두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152 허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유용한 정보===
 
===유용한 정보===
*신동원, "[https://www.chf.or.kr/c2/sub2_2.jsp?thisPage=1&searchField=&searchText=&brdType=R&bbIdx=103845 허준과 <동의보감>]", 월간문화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문화재재단』<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2016년 8월 2일.  
+
*황원갑, "[http://www.economytalk.kr/news/articleView.html?idxno=129728 양만춘과 안시성대첩]", 『EconomytalkNews』, 작성일: 2015년 11월 06일.
[[분류:한글고문서]]
+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
[[분류:민족기록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
 
[[분류:인물]]
 
[[분류:인물]]
[[분류:이혜영]]
 

2017년 11월 30일 (목) 15:39 기준 최신판

양만춘(楊萬春)
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양만춘 표준영정.jpg
대표명칭 양만춘
한자표기 楊萬春
시대 고구려
대표직함 성주


정의

고구려의 장군이자 안시성전투를 승리로 이끈 안시성의 성주이다.

내용

문헌 속에 기록된 양만춘

고구려 보장왕 때의 안시성(安市城) 성주이다. 그의 이름은 역사서에는 보이지 않고 ‘안시성 성주’로만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송준길(宋浚吉)의 『동춘당선생별집(同春堂先生別集)』과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熱河日記)』에 의하면 양만춘(梁萬春) 또는 양만춘(楊萬春)으로 쓰여 있다. [1]

이색(李穡)의 「정관음(貞觀吟)」과 이곡(李穀)의 『가정집(稼亭集)』에 의하면, 안시성전투에서 당나라 태종이 눈에 화살을 맞아 부상을 입고 회군했다고 한다. 고구려 멸망 뒤 당나라에 반대해 끝까지 저항한 11성(城) 가운데 안시성이 포함된 것으로 보아, 양만춘의 생존여부는 알 수 없지만, 그의 기백과 용기가 고구려 부흥운동으로 계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양만춘안시성전투

645년 당나라 태종은 대군을 동원해 고구려를 침공하였다. 당나라 군대는 이세적(李世勣)의 건의로 안시성 공격을 시도하였다. 이 때 고구려는 당나라 군대에 포위된 안시성을 지키기 위해 15만 병력을 출동시켰으나 안시성에서 8리 떨어진 곳에서 대패하고 말았다. 고립무원의 상황에 처한 안시성에서 양만춘를 비롯한 병사와 주민들은 완강히 저항하였다. 당나라 군대는 총 공세를 펼쳤으나 끝내 안시성을 함락시키지 못했다. 요동의 날씨가 추워지기 시작하고 군량도 다하자 당나라 태종은 돌아가지 않을 수 없었다. 이 때 양만춘은 성루에 올라 송별의 예(禮)를 표하고, 당나라 태종은 그의 기백을 높이 평가해 비단 100필을 주면서 격려하였다. [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양만춘 안시성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양만춘 안시성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당나라 태종 안시성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안시성전투 안시성 A는 B에서 일어났다 A edm:happenedAt B
양만춘 동춘당선생별집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동춘당선생별집 송준길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열하일기 양만춘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정관음 양만춘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가정집 양만춘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열하일기 박지원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정관음 이색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가정집 이곡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양만춘 표준영정 양만춘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박창돈-안시성싸움 양만춘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645년 양만춘안시성에서 안시성전투에 참가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이도학, "양만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도학, "양만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도학, "양만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김세호, 「연행을 통해 되살아난 안시성(安市城)과 梁萬春/楊萬春」, 『漢文學報』31, 우리한문학회, 2014.
    • 남재철, 「安市城主의 姓名 ‘양만춘' 考證 1 : 姓名의 出處 樣相 檢討를 中心으로」, 『동아시아고대학』35,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