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승려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덕소 |영문명칭= |한자=德素 |생년=1119년(예종 14) |몰년=1174년(명종 4) |시호=원각(圓覺) |호=혜월(慧...) |
(→지식관계망)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한자=德素 | |한자=德素 | ||
− | |생년= | + | |생년=1107년 |
− | |몰년=1174년 | + | |몰년=1174년 |
|시호=원각(圓覺) | |시호=원각(圓覺) | ||
|호=혜월(慧月) | |호=혜월(慧月)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승탑비=[[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 |승탑비=[[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 ||
}} | }} | ||
+ | |||
+ | =='''정의'''== | ||
+ | 고려시대의 승려. | ||
+ | |||
+ | =='''내용'''== | ||
+ | ===가계와 탄생=== | ||
+ | 덕소는 1107년([[고려 예종|예종]] 2) 3월 6일에 태어났다. 스님의 휘는 덕소(德素), 자는 혜약(慧約), 어릴 때 이름은 자미(子美)고 속성은 전씨(田氏)다. 어머니는 양씨다. | ||
+ | {{blockquote| | ||
+ | 스님의 휘는 덕소(德素)요, 자는 혜약(慧約)이며, 어릴 때의 이름은 자미(子美)요, 속성은 전씨(田氏)이다. 담(潭) (결락) 아버지가 (결락) 주수(州守)로 있을 때인 정해년(丁亥年) 3월 6일 어머니 남원군부인(南原郡夫人) 양씨(梁氏)가 어느날 밤 경락(京洛)으로부터 주계(州界)에 이르기까지 헌개(軒盖)가 길에 가득히 이어져 있는 꿈을 꾸었는데, 스님은 그 날 밤에 태어났다. 부모가 그 귀(貴)함을 알고 자미(子美)라고 이름을 지었다. | ||
+ | |출처=이지관,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462쪽. | ||
+ | }} | ||
+ | |||
+ | ===출가수행=== | ||
+ | 9세 때 [[의천|의천(義天)]]의 제자로 [[개성 국청사|국청사(國淸寺)]]에 있었던 [[교웅|교웅(敎雄)]]에 의하여 득도했다. [[교웅]]은 그의 자질을 인정하여 [[천태종]]을 융성하게 할 인물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하루는 대장당(大藏堂)에 들어가 장경함을 열고 책을 보다가 문득 그 뜻을 통달했다고 한다. | ||
+ | {{blockquote| | ||
+ | 어떤 스님이 이르기를 “저는 국청사(國淸寺) 정원(淨源)입니다”라 하므로, 스님은 기꺼이 그와 더불어 대화하니 마치 오래전부터 잘 아는 구면과 같았다. 드디어 따라가서 교웅대선사(敎雄大禪師)의 문하에 던져 9살 때 삭발하고 득도하였다. 웅공(雄公)이 항상 이르기를 “나의 종지(宗旨)를 중흥할 자는 반드시 이 사미(沙彌)일 것이다”라고 하였다. (결락) 즉(則). 반드시 스님과 함께 유희하였는데, 어느날 함께 불전(佛殿)을 참관하다가 우연히 대장당(大藏堂)에 들어가 경함을 열고 책을 빼내어 스님에게 주므로 스님은 문득 그 책을 받아 곧 능통(能通)하였다. | ||
+ | |출처=이지관,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462쪽. | ||
+ | }} | ||
+ | |||
+ | ===활동=== | ||
+ | 덕소는 1132년([[고려 인조|인조]] 10) 25세 때 [[개성 국청사|국청사(國淸寺)]]에서 천태 교학을 수학하면서 그해 10월에 [[개성 국청사|국청사(國淸寺)]]를 찾은 [[고려 인종|인종]]을 만났다.<ref>박용진, 「義天의 天台宗 門徒와 그 思想傾向」, 『중앙사론』 24,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06, 16쪽.</ref> [[고려 인종|인종]]도 그의 자질에 감탄하여 뒷날 반드시 대법사가 될 것이라고 높이 평가했다.<ref>서윤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358 덕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blockquote| | ||
+ | 인조 임금께서 찬탄하여 이르시기를, “이 스님이 훗날 반드시 큰 법사(法師)가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무신년(戊申年) (결락) 법계 고시장을 열고 대선(大選) 시험을 보기 전에 이미 자미(子美)가 당선된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다음날 과연 합격되었으니, 스님은 단지 일세(一世) 동안에만 불교에 선근을 심었을 뿐 아니라, 소시(少時)의 이름이 또한 숙세(夙世)의 이름이었다. 인종(仁宗)이 천조(踐祚)한지 11년째인 임자(壬子)에 인종 임금이 국청사(國淸寺)에 행행(幸行)하여 (결락) | ||
+ | |출처=이지관,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462-463쪽. | ||
+ | }} | ||
+ | |||
+ | 1142년([[고려 인종|인종]] 20) 울주(蔚州)에 있는 영축산(靈鷲山)에 머무르며 많은 학승들을 지도했다.<ref>서윤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358 덕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덕소는 1153년([[고려 의종|의종]] 8) 선사가 되었고, 1164년에는 문명궁에서 설경법회를 주관하고, [[고려 의종|의종]] 말 대선사(大禪師)에 제수되었다. <ref>박용진, 「義天의 天台宗 門徒와 그 思想傾向」, 『중앙사론』 24,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06, 16쪽</ref> | ||
+ | {{blockquote| | ||
+ | 계해년(癸亥年) 봄에 스님께서 문도들을 흩어 보내고 제방(諸方)으로 유력(遊歷)하면서 심사방도(尋師訪道)하다가, 울주(蔚州) 영취산(靈鷲山)에 이르러 주석(住錫)하였다. 지자(智者)들이 여러 곳에서 모여들어 이보다 더할 것이 없었고, 사방의 학자(學者)들이 법을 청함이 날로 많아졌다. | ||
+ | <center>...(중략)...</center> | ||
+ | 즉위(卽位)하여 국정에 임한지 8년째인 계유(癸酉)에 스님을 선사(禪師)로 진가(進加)하였으며, 을해년(乙亥年) 봄에는 마납법의(磨衲法衣)를 하사하였다. 갑신년(甲申年) 여름 날씨가 오랫동안 가물었므로 의종이 문명궁(文明宮)에서 설경법회(說經法會)를 열고 스님을 초빙하여 강주(講主)로 추대하였다. | ||
+ | |출처=이지관,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463쪽. | ||
+ | }} | ||
+ | |||
+ | 1170년 [[왕사]]에 책봉되었고 그해 11월에는 백고좌회(百高座會), 금광명경법회(金光明經法會) 등 국가 불교의례를 주관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ref>박용진, 「義天의 天台宗 門徒와 그 思想傾向」, 『중앙사론』 24,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06, 17쪽.</ref> | ||
+ | {{blockquote| | ||
+ | 갑인년(甲寅年)에 견(遣) (결락) 상(上) (결락) 등이 예를 갖추어 왕사(王師)로 책봉하였다. 11월 갑술에 도속(道俗)과 군신(群臣)이 크게 모여 스님께 예배를 올리고, 이어 이 날에 백고좌회(百高座會)를 베풀어 행향(行香)하는 때에 이르러, 임금께서 먼저 스님 앞에 나아가 공손히 예배한 후 상전(上殿)하였다. 그 후 수창궁(壽昌宮) 화평전(和平殿)에서 금광명법회(金光明法會)를 베풀고, 스님을 청하여 회주(會主)로 추대하였다. (결락) 즉(則) 혹(或) (결락) 임금께서 보연(步輦)으로 행행(行幸)하시어 스님의 얼굴을 뵙고 문안하였으니, 그 공경함이 이와 같았다. | ||
+ | |출처=이지관,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464-465쪽. | ||
+ | }} | ||
+ | |||
+ | ===입적=== | ||
+ | 1174년 55세로 서쪽을 향하여 앉은 채 입적했다.<ref>서윤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358 덕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blockquote| | ||
+ | 11월 계사(癸巳)에 미질(微疾)이 나타났으므로 임금께서 친히 병석(病席)에 왕림하여 손수 약물을 제공하였다. 또 우복사(右僕射) 박경서(朴景瑞)를 보내 약탕을 올렸으나, (결락) 스님께서 손을 들어 뿌리치고, 선좌(禪座)에 돌아가 가부(跏趺)를 틀고 앉았다. 임금께서 이르기를, “이것이 스님이 평소에 가지고 있는 마음자세”라고 찬탄하였다. 이 날 시봉(侍奉)인 승지선사(承智禪師)에 명(命)하여 모시고 의왕시(毉王寺)로 옮기게 하였는데, 하루를 지난 후, 서쪽을 향하여 단정히 앉아 합장(合掌)하고 엄연히 입적(入寂)하였다. 임금께서 부음(訃音)을 들으시고, (결락) 송악산(松岳山) 서쪽 기슭에서 다비하였다. | ||
+ | |출처=이지관,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465쪽. | ||
+ | }} | ||
+ | |||
+ | =='''지식관계망'''== | ||
+ | *'''원각국사 덕소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33/stele_deokso_yeongguk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련항목===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 [[덕소]]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 [[영동 영국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덕소]] || [[개성 국청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교웅]] || [[덕소]]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의천]] || [[교웅]]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고려 인종]] || [[덕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덕소]] || [[천태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
+ | ===가상현실=== | ||
+ | |||
+ | ===갤러리=== | ||
+ | |||
+ | ===영상===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7879 영국사원각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 | * 박용진, 「義天의 天台宗 門徒와 그 思想傾向」, 『중앙사론』 24,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06, 1-32쪽. | ||
+ | * 서윤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358 덕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이지관,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450-467쪽. | ||
+ | {{승탑비문 Top icon}}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려]] [[분류:고려]] [[분류:승탑/교열완료!]] |
2017년 11월 21일 (화) 08:59 기준 최신판
덕소(德素) | |
대표명칭 | 덕소 |
---|---|
한자 | 德素 |
생몰년 | 1107년-1174년 |
시호 | 원각(圓覺) |
호 | 혜월(慧月) |
휘 | 덕소(德素) |
자 | 혜약(慧約) |
성씨 | 전씨(田氏) |
속명 | 자미(子美) |
승탑비 |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덕소는 1107년(예종 2) 3월 6일에 태어났다. 스님의 휘는 덕소(德素), 자는 혜약(慧約), 어릴 때 이름은 자미(子美)고 속성은 전씨(田氏)다. 어머니는 양씨다.
출가수행
9세 때 의천(義天)의 제자로 국청사(國淸寺)에 있었던 교웅(敎雄)에 의하여 득도했다. 교웅은 그의 자질을 인정하여 천태종을 융성하게 할 인물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하루는 대장당(大藏堂)에 들어가 장경함을 열고 책을 보다가 문득 그 뜻을 통달했다고 한다.
활동
덕소는 1132년(인조 10) 25세 때 국청사(國淸寺)에서 천태 교학을 수학하면서 그해 10월에 국청사(國淸寺)를 찾은 인종을 만났다.[1] 인종도 그의 자질에 감탄하여 뒷날 반드시 대법사가 될 것이라고 높이 평가했다.[2]
1142년(인종 20) 울주(蔚州)에 있는 영축산(靈鷲山)에 머무르며 많은 학승들을 지도했다.[3] 덕소는 1153년(의종 8) 선사가 되었고, 1164년에는 문명궁에서 설경법회를 주관하고, 의종 말 대선사(大禪師)에 제수되었다. [4]
1170년 왕사에 책봉되었고 그해 11월에는 백고좌회(百高座會), 금광명경법회(金光明經法會) 등 국가 불교의례를 주관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5]
입적
1174년 55세로 서쪽을 향하여 앉은 채 입적했다.[6]
지식관계망
- 원각국사 덕소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 덕소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 영동 영국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덕소 | 개성 국청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교웅 | 덕소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의천 | 교웅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고려 인종 | 덕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덕소 | 천태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박용진, 「義天의 天台宗 門徒와 그 思想傾向」, 『중앙사론』 24,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06, 16쪽.
- ↑ 서윤길, "덕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서윤길, "덕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용진, 「義天의 天台宗 門徒와 그 思想傾向」, 『중앙사론』 24,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06, 16쪽
- ↑ 박용진, 「義天의 天台宗 門徒와 그 思想傾向」, 『중앙사론』 24,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06, 17쪽.
- ↑ 서윤길, "덕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영국사원각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박용진, 「義天의 天台宗 門徒와 그 思想傾向」, 『중앙사론』 24,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06, 1-32쪽.
- 서윤길, "덕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지관,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450-46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