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Monica-jang (토론 | 기여) (→착용신분)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
{{복식정보 | {{복식정보 | ||
− | |사진= | +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전대02 석주선박물관.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中』,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5, 186쪽. |
|대표명칭= 전대 | |대표명칭= 전대 | ||
|한자표기= 戰帶 | |한자표기= 戰帶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 }} | ||
− | ==정의== | + | =='''정의'''== |
− | [[ | + | 조선의 [[왕]], [[왕세자]], [[왕세손]], [[백관]] 등이 군복을 입을 때 [[광대]] 위에 두르던 대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0쪽.</ref> |
− | ==내용 | + | =='''내용'''== |
− | + | 옷감을 대각선으로 감아 만든 긴 띠로, 양 끝이 제비부리 모양으로 되어 있다. 가슴에서 둘러맨 후 나머지는 앞으로 길게 늘어뜨린다. 사선(바이어스)으로 재단하여 만들어 신축성이 좋아 비상시에는 [[전대]] 안에 물건을 넣어 자루로 사용하기도 한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0쪽.</ref> [[전대]]의 색은 [[왕]]과 [[왕세자]]가 남색이고, 어린 [[왕세손]]은 다홍색에 금박(金箔)으로 각종 무늬를 입혀 장식하기도 한다. | |
− | + | <ref>"[http://m.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901LJE&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EC%A0%84%EB%8C%80 전대]",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소장품』<sup>online</sup></online></html>, 국립고궁박물관.</ref>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 |||
− | |||
− | |||
− | 옷감을 대각선으로 감아 만든 긴 띠로 양 끝이 제비부리 모양으로 되어 있다. 바이어스 | ||
− | |||
−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항목A!!항목B!!관계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왕]] || 전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왕세자]] || 전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 | [[백관]] || 전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 | [[왕의 군복]] || 전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왕세자의 군복]] || 전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백관의 군복]] || 전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 | 전대 || [[동다리]]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전대 || [[광대]]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 ||
− | ==시각자료== | + | =='''시각자료'''==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
+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전대01 고궁박물관.jpg| 왕세손의 전대.<ref>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ref> | ||
+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전대03 석주선박물관.jpg|19세기 전대.<ref>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中』,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5, 186쪽.</ref> | ||
</gallery> | </gallery> | ||
===영상=== | ===영상=== | ||
− | ==주석== | + | =='''주석'''== |
<references/> | <references/> | ||
− | ==참고문헌== |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권오선, 「조선후기 동다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
− | + | * 金正子, 「韓國軍服의 變遷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24권 4호, 대한가정학회, 1986. | |
− | + | * 金賢舜, 「軍服에 對한 硏究 -具軍服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 |
− | + | * 문광희, 「조선 후기 甲胄 및 具軍服에 관한 연구-부산 忠烈祠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제7권 1호, 한복문화학회, 2004. | |
+ | * 박가영,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
+ | * 李成熙, 「軍服飾의 記號學的 分析-舊韓末 期陸軍服을 中心으로-」, 상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복식]] | [[분류:복식]] |
2017년 11월 15일 (수) 23:50 기준 최신판
전대 (戰帶) |
|
대표명칭 | 전대 |
---|---|
한자표기 | 戰帶 |
구분 | 대 |
착용신분 | 왕,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
착용성별 | 남성 |
정의
조선의 왕, 왕세자, 왕세손, 백관 등이 군복을 입을 때 광대 위에 두르던 대이다.[1]
내용
옷감을 대각선으로 감아 만든 긴 띠로, 양 끝이 제비부리 모양으로 되어 있다. 가슴에서 둘러맨 후 나머지는 앞으로 길게 늘어뜨린다. 사선(바이어스)으로 재단하여 만들어 신축성이 좋아 비상시에는 전대 안에 물건을 넣어 자루로 사용하기도 한다.[2] 전대의 색은 왕과 왕세자가 남색이고, 어린 왕세손은 다홍색에 금박(金箔)으로 각종 무늬를 입혀 장식하기도 한다. [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왕 | 전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세자 | 전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백관 | 전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의 군복 | 전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왕세자의 군복 | 전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군복 | 전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전대 | 동다리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전대 | 광대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0쪽.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0쪽.
- ↑ "전대",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 국립고궁박물관. - ↑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中』,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5, 186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권오선, 「조선후기 동다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金正子, 「韓國軍服의 變遷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24권 4호, 대한가정학회, 1986.
- 金賢舜, 「軍服에 對한 硏究 -具軍服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 문광희, 「조선 후기 甲胄 및 具軍服에 관한 연구-부산 忠烈祠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제7권 1호, 한복문화학회, 2004.
- 박가영,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李成熙, 「軍服飾의 記號學的 分析-舊韓末 期陸軍服을 中心으로-」, 상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