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진찬도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구성) |
(→정의)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회화정보 | {{회화정보 | ||
|사진= 궁중기록화_회화_무신진찬도병00_중박.jpg | |사진= 궁중기록화_회화_무신진찬도병00_중박.jpg | ||
− |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 + |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http://www.museum.go.kr/) 소장. |
|대표명칭= 무신진찬도병 | |대표명칭= 무신진찬도병 | ||
|한자표기= 戊申進饌圖屛 | |한자표기= 戊申進饌圖屛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 | }} | ||
− | ==정의== | + | =='''정의'''== |
− | 1848년(헌종 14) [[대왕대비]] [[순원왕후|순원왕후(純元王后)]] | + | 1848년(조선 헌종 14) [[대왕대비]] [[순원왕후|순원왕후(純元王后)]]의 육순(六旬)과 [[신정왕후|신정왕후(神貞王后)]]의 망오(望五: 41세)를 경축하는 의미로 [[창덕궁]] 인정전과 [[창경궁]] 통명전에서 열린 진찬 행사에 대해 그린 궁중행사도이다.<ref>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4쪽.</ref> |
− | ==내용== | + | |
+ | =='''내용'''== | ||
===해제=== | ===해제=== | ||
− | [[의궤청]]에서 제작되었으며 1848년 4월 16일부터 그리기 시작하여 총 5좌를 4개월 동안 제작하였다. 좌목에는 총 7명의 화원이 상을 | + | [[의궤청]]에서 제작되었으며 1848년 4월 16일부터 그리기 시작하여 총 5좌를 4개월 동안 제작하였다. 좌목에는 총 7명의 화원이 상을 받은 것과 제작에 참여한 10명의 화원 명단을 기록하였다. 진하의식(陳賀儀式) 1장면과 연향 3장면으로 구성되었으며, 그림 하나가 병풍 두 폭에 걸쳐 그려져 있다. 오른쪽부터 행사의 순서대로 총 7폭으로 이루어져 있고, 8번째 폭은 좌목(座目)이다.<ref>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4쪽.</ref> |
+ | |||
===구성=== | ===구성=== | ||
− | ''' | + | '''〈인정전진하도(仁政殿陳賀圖)〉''' : 1, 2폭<br /> |
− | [[창덕궁 인정전]]에서 [[헌종]]이 주관하여 거행된 |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style="text-align:left"> |
− | ''' | + | 파일:궁중기록화_회화_무신진찬도병01_중박.jpg |
− | 1848년 3월 17일 [[대왕대비]]전인 [[ | + | </gallery> |
− | ''' | + | [[창덕궁 인정전]]에서 [[헌종]]이 주관하여 거행된 진하례(陳賀禮)를 그렸다. 1848년 3월 16일 [[헌종]]이 [[창덕궁 인정전]]에서 [[대왕대비]]전과 [[왕대비]]전에 존호를 가상(加上)한 뒤 교서를 반포하고 [[백관]]들이 진하례를 올리는 장면이다.<ref>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5쪽.</ref> |
− | 1848년 3월 17일 [[ | + | <br /> |
− | ''' | + | <br /> |
− | 1848년 3월 19일에 [[ | + | '''〈통명전진찬도(通明殿進饌圖)〉''' : 3, 4폭<br /> |
− | ''' |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style="text-align:left"> |
+ | 파일:궁중기록화_회화_무신진찬도병02_중박.jpg | ||
+ | </gallery> | ||
+ | 1848년 3월 17일 [[대왕대비]]전인 [[창경궁 통명전]]에서 거행된 내진찬(內進饌)으로, 품계별로 구별된 공간 속에서 연회가 베풀어졌다.<ref>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ref> [[창경궁 통명전]] 내부에 [[대왕대비]]의 자리를 남면으로 설치하고 앞 기둥 세칸을 제외하고 붉은 색 발로 가렸다. 남쪽의 악공들이 연회장을 들여다 볼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연회 초청자의 자리는 별도로 마련하였다.<ref> 안태욱, 『궁중연향도의 탄생-조선후기 연향 기록화와 양식에 대한 미술사적 연구』, 민속원, 2014, 200~201쪽.</ref> | ||
+ | <br /> | ||
+ | <br /> | ||
+ | '''〈통명전야진찬도(通明殿夜進饌圖)〉''' : 5, 6폭<br /> | ||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style="text-align:left"> | ||
+ | 파일:궁중기록화_회화_무신진찬도병03_중박.jpg | ||
+ | </gallery> | ||
+ | 1848년 3월 17일 [[창경궁 통명전]]에서 거행된 야진찬(夜進饌)을 그린 장면으로, 등과 촛불이 그려져 있다.<ref>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ref> | ||
+ | <br /> | ||
+ | <br /> | ||
+ | '''〈통명전헌종회작도(通明殿憲宗會圖)〉''' : 7폭<br /> | ||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style="text-align:left"> | ||
+ | 파일:궁중기록화_회화_무신진찬도병04_중박.jpg | ||
+ | </gallery> | ||
+ | 1848년 3월 19일에 [[창경궁 통명전]]에서 베풀어진 연회를 그린 장면이다. <ref>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ref> | ||
+ | <br /> | ||
+ | <br /> | ||
+ | '''〈좌목(座目)〉''' : 8폭<br /> | ||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style="text-align:left"> | ||
+ | 파일:궁중기록화_회화_무신진찬도병05_중박.jpg | ||
+ | </gallery> | ||
행사도의 제작 연대와 행사 날짜 및 진찬을 준비한 총 지휘관을 비롯한 말단 사령까지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ref>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ref> | 행사도의 제작 연대와 행사 날짜 및 진찬을 준비한 총 지휘관을 비롯한 말단 사령까지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ref>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ref> | ||
+ | |||
+ | {{연계자원정보 | ||
+ | |연계자원1= '''의궤'''<br/>[[헌종무신진찬의궤|헌종무신진찬의궤(憲宗戊申進饌儀軌)]] | ||
+ | |연계자원2= | ||
+ | |연계자원3= | ||
+ | |연계자원4= | ||
+ | |연계자원5= | ||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36번째 줄: | 69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무신진찬도병 || [[도화서]]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무신진찬도병 || [[연향례]] || A는 B를 표현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 | | 무신진찬도병 || [[순원왕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무신진찬도병 || [[대왕대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무신진찬도병 || [[헌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무신진찬도병 || [[신정왕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무신진찬도병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무신진찬도병 || [[백관의 조복]] || A에 B가 그려져 있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 | |||
|} | |} | ||
70번째 줄: | 99번째 줄: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37.580793 || 126.994541 || [[창경궁 | + | | 37.580793 || 126.994541 || [[창경궁 통명전]]에서 진찬 의례가 거행됐다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caption="[[백관의 조복]]" heights=150px style="text-align:left">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조복01.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조복02.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조복03.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조복04.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조복05.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조복06.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조복07.png | ||
+ | </gallery> | ||
+ | <gallery caption="[[백관의 상복]]" heights=150px style="text-align:left">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상복01.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상복02.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상복03.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상복04.png | ||
+ | </gallery> | ||
+ | <gallery caption="기타 인물들의 복식" heights=150px style="text-align:left">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궁녀01.png|궁녀의 복식<br/> [[할의|할의(割衣)]], [[당의|당의(唐衣)]], [[치마|치마(赤亇)]], [[혜(여성)|혜(鞋)]]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궁녀02.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궁녀03.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궁녀04.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궁녀05.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01.png|[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213&index_id=cp02131086&content_id=cp021310860001&search_left_menu=1 여령의 복식]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02.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03.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04.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05.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06.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07.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08.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09.png|[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213&index_id=cp02131092&content_id=cp021310920001&print=Y 집사여령의 복식]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10.png|[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213&index_id=cp02131096&content_id=cp021310960001&search_left_menu=1 검무복]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11.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12.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처용01.png|[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AGE&search_div_id=CP_AGE002&cp_code=cp0701&index_id=cp07010022&content_id=cp070100220001&search_left_menu=4 처용무복]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처용02.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처용03.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처용04.png | ||
+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처용05.png | ||
+ | </gallery> | ||
=='''주석'''== | =='''주석'''== | ||
82번째 줄: | 151번째 줄: | ||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
+ | * 안태욱, 『궁중연향도의 탄생-조선후기 연향 기록화와 양식에 대한 미술사적 연구』, 민속원, 2014. |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 | |||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
− | + | ||
− | +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회화]] | |
− | [[분류:궁중기록화]] | ||
− | [[분류: |
2023년 2월 28일 (화) 04:36 기준 최신판
무신진찬도병 (戊申進饌圖屛) |
|
대표명칭 | 무신진찬도병 |
---|---|
한자표기 | 戊申進饌圖屛 |
이칭별칭 | 인정전진하도(仁政殿陳賀圖) |
주제 | 연향례 |
제작연대 | 1848년 |
구성 | 총 8폭 |
크기 | 각 폭 136.1 × 47.6cm |
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 |
목차
정의
1848년(조선 헌종 14) 대왕대비 순원왕후(純元王后)의 육순(六旬)과 신정왕후(神貞王后)의 망오(望五: 41세)를 경축하는 의미로 창덕궁 인정전과 창경궁 통명전에서 열린 진찬 행사에 대해 그린 궁중행사도이다.[1]
내용
해제
의궤청에서 제작되었으며 1848년 4월 16일부터 그리기 시작하여 총 5좌를 4개월 동안 제작하였다. 좌목에는 총 7명의 화원이 상을 받은 것과 제작에 참여한 10명의 화원 명단을 기록하였다. 진하의식(陳賀儀式) 1장면과 연향 3장면으로 구성되었으며, 그림 하나가 병풍 두 폭에 걸쳐 그려져 있다. 오른쪽부터 행사의 순서대로 총 7폭으로 이루어져 있고, 8번째 폭은 좌목(座目)이다.[2]
구성
〈인정전진하도(仁政殿陳賀圖)〉 : 1, 2폭
창덕궁 인정전에서 헌종이 주관하여 거행된 진하례(陳賀禮)를 그렸다. 1848년 3월 16일 헌종이 창덕궁 인정전에서 대왕대비전과 왕대비전에 존호를 가상(加上)한 뒤 교서를 반포하고 백관들이 진하례를 올리는 장면이다.[3]
〈통명전진찬도(通明殿進饌圖)〉 : 3, 4폭
1848년 3월 17일 대왕대비전인 창경궁 통명전에서 거행된 내진찬(內進饌)으로, 품계별로 구별된 공간 속에서 연회가 베풀어졌다.[4] 창경궁 통명전 내부에 대왕대비의 자리를 남면으로 설치하고 앞 기둥 세칸을 제외하고 붉은 색 발로 가렸다. 남쪽의 악공들이 연회장을 들여다 볼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연회 초청자의 자리는 별도로 마련하였다.[5]
〈통명전야진찬도(通明殿夜進饌圖)〉 : 5, 6폭
1848년 3월 17일 창경궁 통명전에서 거행된 야진찬(夜進饌)을 그린 장면으로, 등과 촛불이 그려져 있다.[6]
〈통명전헌종회작도(通明殿憲宗會圖)〉 : 7폭
1848년 3월 19일에 창경궁 통명전에서 베풀어진 연회를 그린 장면이다. [7]
〈좌목(座目)〉 : 8폭
행사도의 제작 연대와 행사 날짜 및 진찬을 준비한 총 지휘관을 비롯한 말단 사령까지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8]
연계 자원 보러 가기 |
• 의궤 헌종무신진찬의궤(憲宗戊申進饌儀軌) |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무신진찬도병 | 도화서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무신진찬도병 | 연향례 | A는 B를 표현하였다 | A ekc:depicts B |
무신진찬도병 | 순원왕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무신진찬도병 | 대왕대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무신진찬도병 | 헌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무신진찬도병 | 신정왕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무신진찬도병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무신진찬도병 | 백관의 조복 | A에 B가 그려져 있다 | A ekc:depicts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848년 3월 16일 | 순원왕후를 위한 연향례를 베풀었다 |
1848년 4월 16일 | 무신진찬도병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80793 | 126.994541 | 창경궁 통명전에서 진찬 의례가 거행됐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4쪽.
-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4쪽.
-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5쪽.
-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
- ↑ 안태욱, 『궁중연향도의 탄생-조선후기 연향 기록화와 양식에 대한 미술사적 연구』, 민속원, 2014, 200~201쪽.
-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
-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
-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안태욱, 『궁중연향도의 탄생-조선후기 연향 기록화와 양식에 대한 미술사적 연구』, 민속원, 2014.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