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탑비) |
|||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15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탑비정보 | {{탑비정보 | ||
− | |사진= | + | |사진=BHST_Ssangyesa_Heysostele_front_1.jpg |
|대표명칭=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대표명칭=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
|영문=Stele for Master Jingam at Ssanggyesa Temple, Hadong | |영문=Stele for Master Jingam at Ssanggyesa Temple, Hadong | ||
|한자=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 | |한자=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 | ||
|이칭=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雙磎寺眞鑑禪師大空塔碑) | |이칭=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雙磎寺眞鑑禪師大空塔碑) | ||
− | |지정번호=국보 | + | |지정번호=국보 제47호 |
− | |지정일= | + | |지정일=1962년 12월 20일 |
|주소=경남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 | |주소=경남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 | ||
|위도=35.232440 | |위도=35.232440 | ||
|경도=127.650436 | |경도=127.650436 | ||
− | |찬자=[[최치원(崔致遠)]] | + | |찬자=[[최치원|최치원(崔致遠)]] |
− | |서자=[[최치원(崔致遠)]] | + | |서자=[[최치원|최치원(崔致遠)]] |
− | |각자=[[환영(奐榮)]] | + | |각자=[[환영|환영(奐榮)]] |
+ | |서체=[[해서|해서(楷書)]] | ||
|승려=[[혜소|혜소(慧昭)]] | |승려=[[혜소|혜소(慧昭)]] | ||
− | | | + | |비문=[[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문]] |
+ | |건립연대=887년 | ||
}} | }} | ||
=='''정의'''== | =='''정의'''== | ||
−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하동 쌍계사|쌍계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 +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하동 쌍계사|쌍계사(雙磎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혜소|진감선사 혜소(眞鑑禪師 慧昭, 774-850)]]의 [[탑비]]. |
− | ==''' | + | =='''내용'''== |
− | 전체높이 3.63m, | + | ===개요=== |
+ | 이 비는 전체높이 3.63m, [[탑비#비신|비신(碑身)]] 높이 2.13m, 너비 1.035m, 두께 22.5㎝ 이다. [[신라 헌강왕|헌강왕]]의 명령으로 [[최치원|최치원(崔致遠)]]이 비문을 짓고 글씨를 썼으며, [[환영|환영(奐榮)]]이 글씨를 새겼다. [[최치원]]의 [[사산비명|사산비명(四山碑銘)]] 중 하나이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098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귀부|귀부(龜趺)]]와 [[이수|이수(螭首)]] 및 탑신이 완전한 탑비로, 신라 말기에 나타나는 탑비 양식에 따라 귀두(龜頭)는 용두화(龍頭化)되었으며, [[귀부]]의 등에는 6각의 귀갑문(龜甲文)이 크고 간편하게 조식되어 있다. [[이수]] 앞면 가운데에는 ‘해동고진감선사비(海東故眞鑑禪師碑)’라는 [[제액|전액(篆額)]]이 양각되었으며, 그 위로 보주와 반룡(蟠龍: 승천하지 아니한 용)을 얹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098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470000,38&flag=Y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이 탑비의 비문은 건립 연대를 알 수 있는 비면 부분이 훼손되었으나, 다행히 1725년([[조선 영조|영조]] 1)에 목판에 그대로 본떠 새긴 비문이 있어 887년임을 알 수 있다. 비문의 글씨는 2cm 정도의 [[해서|해서(楷書)]]로 위아래로 긴 짜임새를 하고 있다.<ref>"[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344 쌍계사 진감선사비명 탑본]", 주요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소장품』<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1936년 7월 지진으로 인하여 비의 일부가 일부 훼손되었다.<ref>" | |
− | +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6071100209102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36-07-11&officeId=00020&pageNo=2&printNo=5612&publishType=00010 稀有(희유)의 珍事實(진사실) 被害六日(피해육일)만에判明(판명)]",『동아일보』, 작성일: 1936년 7월 11일.</ref> 1962년 국보 제47호로 지정되어 있다. | |
− | 비문은 [[ | + | ===비문=== |
− | + | 비문은 [[혜소|진감선사(眞鑑禪師)]]의 입당 구법 과정과 830년 귀국 이후 지리산 화개곡(花開谷)에서 선법(禪法)을 펼친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2821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최치원]]은 유교와 불교 사상이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음을 역설하고, 노장(老莊) 사상이 드러나는 용어와 개념들을 다수 사용함으로써, 삼교(三敎: 불교, 유교, 도교)가 표방하는 이치는 다르지만 돌아가는 바는 하나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최치원]]은 [[혜소|진감선사]]가 그러한 경지에 있는 뛰어난 인물임을 부각하였다. 아울러 [[하동 쌍계사|옥천사(玉泉寺)]]를 [[하동 쌍계사|쌍계사(雙磎寺)]]로 고친 유래, 범패(梵唄)의 전래와 유포, [[신라 효소왕|효소왕]]의 피휘(避諱) 사실과 탑비의 건립 과정 등도 전하고 있다.<ref>곽승훈, "[http://hadong.grandculture.net/Contents?local=hadong&dataType=99&contents_id=GC03400577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대공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하동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 | |||
+ | {{비문정보 | ||
+ | |비문1="[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2821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 | }} | ||
− | ==''' | + | =='''지식관계망'''== |
+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지식관계망''' | ||
<html> | <html> | ||
− | <iframe src="http://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25/stele_hyeso_Ssanggye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html> | </html> | ||
− | = | + | ==='''관련항목'''===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혜소]]||A는 B를 위한 비이다||A ekc:isSteleOf B | |
− | + | |- | |
− | +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하동 쌍계사]]||A는 B에 있다||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신라 헌강왕]]||A는 B가 이름을 지었다||A dc:contributor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 ! | ||
|- | |- | ||
− | | | +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최치원]]||A는 B가 비문을 지었다||A ekc:writer B |
|- | |- | ||
− | |[[ | +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최치원]]||A는 B가 비문을 썼다||A ekc:calligrapher B |
|- | |- | ||
− | | | +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환영]]||A는 B가 비문을 새겼다||A ekc:inscriber B |
|- | |- | ||
− | | | + | | [[사산비명]]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25/Ssanggye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25/Ssanggye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 |||
+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caption="''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
+ | 파일:BHST_Ssangyesa_Heysostele_isu.jpg|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이수 | ||
+ | 파일:BHST_Ssangyesa_Heysostele_gwibu.jpg|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귀부 | ||
+ | 파일:BHST_Ssanggyesa_Jingam_stele_rub.jpg|쌍계사 진감선사비명 탑본<ref>"[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344 쌍계사 진감선사비명 탑본]", 주요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소장품』<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 ||
+ | 파일:BHST_Ssanggyesa_Jingam_stele_rub-1.jpg|쌍계사 진감선사비 탑본<ref>"[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7643# 쌍계사 진감선사비 탑본]", 주요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소장품』<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 ||
+ | </gallery> | ||
+ | |||
+ | ===영상=== | ||
+ | * KBS뉴스 경남, "[https://www.youtube.com/watch?v=mh-Qa3QJwsI KBS뉴스9 경남 – 지진 시대, 문화재 보호 `고심`(2016.10.11.화)]", YouTube, 게시일: 2016년 10월 11일. | ||
+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mh-Qa3QJwsI?ecver=2"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주석'''== |
<references/> | <references/> | ||
+ | =='''참고문헌'''== | ||
+ | * 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신라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127-152쪽. | ||
+ | * 최영성, 『교주 사산비명』, 이른아침, 2014, 188-214쪽.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098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470000,38&flag=Y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 *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344 쌍계사 진감선사비명 탑본]", 주요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소장품』<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 ||
+ |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6071100209102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36-07-11&officeId=00020&pageNo=2&printNo=5612&publishType=00010 稀有(희유)의 珍事實(진사실) 被害六日(피해육일)만에判明(판명)]",『동아일보』, 작성일: 1936년 7월 11일. | ||
+ | |||
+ | {{승탑비문 Top icon}}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분류:탑비]] | [[분류:탑비]] | ||
− | [[분류: | + | [[분류:문화유산]] |
− | |||
− |
2017년 12월 26일 (화) 13:50 기준 최신판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 |
|
대표명칭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
한자 | 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 |
이칭 |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雙磎寺眞鑑禪師大空塔碑) |
주소 | 경남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 |
문화재 지정번호 | 국보 제47호 |
문화재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
찬자 | 최치원(崔致遠) |
서자 | 최치원(崔致遠) |
각자 | 환영(奐榮)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혜소(慧昭) |
건립연대 | 887년 |
|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雙磎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진감선사 혜소(眞鑑禪師 慧昭, 774-850)의 탑비.
내용
개요
이 비는 전체높이 3.63m, 비신(碑身) 높이 2.13m, 너비 1.035m, 두께 22.5㎝ 이다. 헌강왕의 명령으로 최치원(崔致遠)이 비문을 짓고 글씨를 썼으며, 환영(奐榮)이 글씨를 새겼다. 최치원의 사산비명(四山碑銘) 중 하나이다.[1]
귀부(龜趺)와 이수(螭首) 및 탑신이 완전한 탑비로, 신라 말기에 나타나는 탑비 양식에 따라 귀두(龜頭)는 용두화(龍頭化)되었으며, 귀부의 등에는 6각의 귀갑문(龜甲文)이 크고 간편하게 조식되어 있다. 이수 앞면 가운데에는 ‘해동고진감선사비(海東故眞鑑禪師碑)’라는 전액(篆額)이 양각되었으며, 그 위로 보주와 반룡(蟠龍: 승천하지 아니한 용)을 얹었다.[2][3]
이 탑비의 비문은 건립 연대를 알 수 있는 비면 부분이 훼손되었으나, 다행히 1725년(영조 1)에 목판에 그대로 본떠 새긴 비문이 있어 887년임을 알 수 있다. 비문의 글씨는 2cm 정도의 해서(楷書)로 위아래로 긴 짜임새를 하고 있다.[4] 1936년 7월 지진으로 인하여 비의 일부가 일부 훼손되었다.[5] 1962년 국보 제47호로 지정되어 있다.
비문
비문은 진감선사(眞鑑禪師)의 입당 구법 과정과 830년 귀국 이후 지리산 화개곡(花開谷)에서 선법(禪法)을 펼친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6] 최치원은 유교와 불교 사상이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음을 역설하고, 노장(老莊) 사상이 드러나는 용어와 개념들을 다수 사용함으로써, 삼교(三敎: 불교, 유교, 도교)가 표방하는 이치는 다르지만 돌아가는 바는 하나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최치원은 진감선사가 그러한 경지에 있는 뛰어난 인물임을 부각하였다. 아울러 옥천사(玉泉寺)를 쌍계사(雙磎寺)로 고친 유래, 범패(梵唄)의 전래와 유포, 효소왕의 피휘(避諱) 사실과 탑비의 건립 과정 등도 전하고 있다.[7]
비문 보러가기 |
•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 금석문세부정보, |
지식관계망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혜소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하동 쌍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신라 헌강왕 |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 A dc:contributor B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최치원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최치원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환영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A ekc:inscriber B |
사산비명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KBS뉴스 경남, "KBS뉴스9 경남 – 지진 시대, 문화재 보호 `고심`(2016.10.11.화)", YouTube, 게시일: 2016년 10월 11일.
주석
-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문화재 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쌍계사 진감선사비명 탑본",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 稀有(희유)의 珍事實(진사실) 被害六日(피해육일)만에判明(판명)",『동아일보』, 작성일: 1936년 7월 11일.
- ↑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곽승훈,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대공탑비",
『디지털하동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쌍계사 진감선사비명 탑본",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쌍계사 진감선사비 탑본",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참고문헌
- 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신라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127-152쪽.
- 최영성, 『교주 사산비명』, 이른아침, 2014, 188-214쪽.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문화재 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쌍계사 진감선사비명 탑본",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稀有(희유)의 珍事實(진사실) 被害六日(피해육일)만에判明(판명)",『동아일보』, 작성일: 1936년 7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