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인정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장소정보1 |사진= 궁중기록화 장소 창덕궁 인정전01 문화재청.jpg |사진출처= [http://search.cha.go.kr/srch_new/search/search_top.jsp?home=total&subHome=0&sort...)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장소정보 |
|사진= 궁중기록화 장소 창덕궁 인정전01 문화재청.jpg | |사진= 궁중기록화 장소 창덕궁 인정전01 문화재청.jp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문화재청(http://www.cha.go.kr/) |
|대표명칭= 창덕궁 인정전 | |대표명칭= 창덕궁 인정전 | ||
|한자표기= 昌德宮 仁政殿 | |한자표기= 昌德宮 仁政殿 | ||
− | | | + | |영문명칭= |
− | | | + | |이칭= |
− | + | |유형= | |
+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율곡로 99 | ||
|위도= 37.579470 | |위도= 37.579470 | ||
|경도= 126.991020 | |경도= 126.991020 | ||
+ | |관련인물= [[문효세자]], [[효종]] | ||
+ | |관련단체= | ||
+ | |관련장소= | ||
+ | |관련물품= | ||
+ | |관련유물유적= | ||
}} | }} | ||
=='''정의'''== | =='''정의'''== | ||
− | [[창덕궁]]에 있는 외전(外殿) | + | [[창덕궁]]에 있는 외전(外殿) 가운데 가장 중심이 되는 정전(正殿)이다. |
=='''내용'''== | =='''내용'''== | ||
+ | [[백관]]들에게 하례를 받거나 외국 사신 접견 등 국가적으로 중요한 의식을 치르던 공간이다. <ref>"[http://www.cdg.go.kr/cms_for_cdg/show.jsp?show_no=38&check_no=8&c_relation=7&c_relation2=69 인정전]", 전각 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 창덕궁』<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역사=== | ===역사=== | ||
− | 1405년(태종 5) [[창덕궁]] 창건 때 건립된 것을 1418년(태종 18)에 | + | 1405년(태종 5) [[창덕궁]] 창건 때 건립된 것을 1418년(태종 18)에 고쳐 짓게 해 같은 해인 [[세종]] 즉위년 9월에 준공되었다. 그 후 [[단종]] 때에 해체 보수공사가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고 [[광해군]] 때에 다시 지었다. 1623년(광해군 15) [[인조반정]] 때 [[창덕궁 인정전]]은 화재를 피했고, 1782년(정조 6) 9월 품계석을 인정전 앞뜰에 설치하면서 다른 궁도 같이 설치하게 되었다. 1803년(순조 3)에 다시 소실되었다가 다음해 중건된다. 1856년(철종 7)에 건물이 퇴락하였다는 이유로 완전히 해체하여 보수 공사를 시행했는데 현재 건물의 골격은 이때 완성된 것이다.<ref>장순용, 『창덕궁』, 대원사, 1990. 42~50쪽.</ref> |
+ | 인정전 안에는 정면에 왕의 용상이 있고 그 뒤에 나무로 만든 곡병을 둘렀다. 그리고 단을 높여서〈일월오악도(日月五岳圖)〉라는 병풍을 둘렀다. 병풍에는 음양을 뜻하는 해와 달이 있으며 이는 [[왕]]과 [[왕비]]를 상징한다. 그 아래 다섯 개의 산봉우리는 우리나라의 동, 서, 남, 북, 중앙의 다섯 산을 가리키며 이는 국토를 의미한다. 이것은 [[왕]]이 중앙에서 사방을 다스리고, 음양의 이치에 따라 정치를 펼친다는 뜻을 담고 있기도 하다.<ref>"[http://www.cdg.go.kr/cms_for_cdg/show.jsp?show_no=38&check_no=8&c_relation=7&c_relation2=69 인정전]", 전각 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 창덕궁』<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현재=== | ===현재=== | ||
− | [[창덕궁 인정전]]의 주변에는 유리창을 비롯하여 전구나 커튼 등 서양 장신구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외국과의 수교 후 다양한 외래 | + | [[창덕궁 인정전]]의 주변에는 유리창을 비롯하여 전구나 커튼 등 서양 장신구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외국과의 수교 후 들어온 당시의 다양한 외래 문물을 보여준다. 1907년 [[순종]]이 [[덕수궁]]에서 [[창덕궁]]으로 옮겨 거주[移御]한 후에 [[창덕궁 인정전]]의 실내바닥이 전돌에서 마루로 바뀌고, 전구가 설치되는 등 부분적인 변화가 일어난 채 오늘에 이르고 있다.<ref>"[http://www.cdg.go.kr/cms_for_cdg/show.jsp?show_no=38&check_no=8&c_relation=7&c_relation2=69 인정전]", 전각 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 창덕궁』<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국보 제225호로 지정되었다.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27번째 줄: | 35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책례]] || | + | | [[책례]] || 창덕궁 인정전(昌德宮 仁政殿)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A edm:happenedAt B |
|- | |- | ||
− | | [[ | + | | [[사제의]] || 창덕궁 인정전(昌德宮 仁政殿)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A edm:happenedAt B |
|} | |} | ||
38번째 줄: | 46번째 줄: | ||
| 1405년 5월 4일 || [[창덕궁 인정전]]이 건립되었다 | | 1405년 5월 4일 || [[창덕궁 인정전]]이 건립되었다 | ||
|- | |- | ||
− | | 1609년 5월 3일 || [[선조]]의 사제가 | + | | 1609년 5월 3일 || [[선조]]의 사제가 창덕궁 인정전에서 거행되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1784년 8월 2일 || [[문효세자]]는 창덕궁 인정전에서 [[책례]]를 거행하였다 |
|- | |- | ||
− | | | + | | 1725년 2월 28일 || [[효종]]은 창덕궁 인정전에서 [[책례]]를 거행하였다 |
|} | |}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 | + | | 37.579466 || 126.991026 || [[창덕궁 인정전]]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율곡로 99에 위치한다 | |
− | + | |} | |
− | |||
=='''주석'''== | =='''주석'''== | ||
62번째 줄: | 65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공준원, 『오궁과 도성』, 세계문예, 2009. | ||
* 이강근, 『한국의 궁궐』, 대원사, 1991. | * 이강근, 『한국의 궁궐』, 대원사, 1991. | ||
− | |||
* 이태호, 『그림으로 본 옛 서울』, 서울학연구소, 1995. | * 이태호, 『그림으로 본 옛 서울』, 서울학연구소, 1995. | ||
* 홍순민, 『우리 궁궐 이야기』, 청년사, 1999. | * 홍순민, 『우리 궁궐 이야기』, 청년사, 1999. | ||
* 장순용, 『창덕궁』, 대원사, 1990. | * 장순용, 『창덕궁』, 대원사, 1990. | ||
− | |||
− | |||
−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장소]] | [[분류:장소]] |
2017년 10월 29일 (일) 22:13 기준 최신판
창덕궁 인정전(昌德宮 仁政殿) | |
대표명칭 | 창덕궁 인정전 |
---|---|
한자표기 | 昌德宮 仁政殿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율곡로 99 |
관련인물 | 문효세자, 효종 |
|
정의
창덕궁에 있는 외전(外殿) 가운데 가장 중심이 되는 정전(正殿)이다.
내용
백관들에게 하례를 받거나 외국 사신 접견 등 국가적으로 중요한 의식을 치르던 공간이다. [1]
역사
1405년(태종 5) 창덕궁 창건 때 건립된 것을 1418년(태종 18)에 고쳐 짓게 해 같은 해인 세종 즉위년 9월에 준공되었다. 그 후 단종 때에 해체 보수공사가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고 광해군 때에 다시 지었다. 1623년(광해군 15) 인조반정 때 창덕궁 인정전은 화재를 피했고, 1782년(정조 6) 9월 품계석을 인정전 앞뜰에 설치하면서 다른 궁도 같이 설치하게 되었다. 1803년(순조 3)에 다시 소실되었다가 다음해 중건된다. 1856년(철종 7)에 건물이 퇴락하였다는 이유로 완전히 해체하여 보수 공사를 시행했는데 현재 건물의 골격은 이때 완성된 것이다.[2] 인정전 안에는 정면에 왕의 용상이 있고 그 뒤에 나무로 만든 곡병을 둘렀다. 그리고 단을 높여서〈일월오악도(日月五岳圖)〉라는 병풍을 둘렀다. 병풍에는 음양을 뜻하는 해와 달이 있으며 이는 왕과 왕비를 상징한다. 그 아래 다섯 개의 산봉우리는 우리나라의 동, 서, 남, 북, 중앙의 다섯 산을 가리키며 이는 국토를 의미한다. 이것은 왕이 중앙에서 사방을 다스리고, 음양의 이치에 따라 정치를 펼친다는 뜻을 담고 있기도 하다.[3]
현재
창덕궁 인정전의 주변에는 유리창을 비롯하여 전구나 커튼 등 서양 장신구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외국과의 수교 후 들어온 당시의 다양한 외래 문물을 보여준다. 1907년 순종이 덕수궁에서 창덕궁으로 옮겨 거주[移御]한 후에 창덕궁 인정전의 실내바닥이 전돌에서 마루로 바뀌고, 전구가 설치되는 등 부분적인 변화가 일어난 채 오늘에 이르고 있다.[4] 국보 제225호로 지정되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책례 | 창덕궁 인정전(昌德宮 仁政殿)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A edm:happenedAt B |
사제의 | 창덕궁 인정전(昌德宮 仁政殿)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A edm:happenedAt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405년 5월 4일 | 창덕궁 인정전이 건립되었다 |
1609년 5월 3일 | 선조의 사제가 창덕궁 인정전에서 거행되었다 |
1784년 8월 2일 | 문효세자는 창덕궁 인정전에서 책례를 거행하였다 |
1725년 2월 28일 | 효종은 창덕궁 인정전에서 책례를 거행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9466 | 126.991026 | 창덕궁 인정전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율곡로 99에 위치한다 |
주석
- ↑ "인정전", 전각 소개,
『문화재청 창덕궁』online , 문화재청. - ↑ 장순용, 『창덕궁』, 대원사, 1990. 42~50쪽.
- ↑ "인정전", 전각 소개,
『문화재청 창덕궁』online , 문화재청. - ↑ "인정전", 전각 소개,
『문화재청 창덕궁』online , 문화재청.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공준원, 『오궁과 도성』, 세계문예, 2009.
- 이강근, 『한국의 궁궐』, 대원사, 1991.
- 이태호, 『그림으로 본 옛 서울』, 서울학연구소, 1995.
- 홍순민, 『우리 궁궐 이야기』, 청년사, 1999.
- 장순용, 『창덕궁』, 대원사,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