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방심곡령(백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복식님이 방심곡령(문무백관)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방심곡령(백관)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내용)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사진= 궁중기록화 문무백관 방심곡령 02.jpg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방심곡령01 민속박물관.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대표명칭= 방심곡령
 
|대표명칭= 방심곡령
 
|한자표기= 方心曲領
 
|한자표기= 方心曲領
 
|이칭별칭=  
 
|이칭별칭=  
 
|구분= 기타
 
|구분= 기타
|착용신분= [[문무백관]]
+
|착용신분= [[백관]], [[종친]]  
 
|착용성별= 남성
 
|착용성별= 남성
 
}}
 
}}
  
 
=='''정의'''==
 
=='''정의'''==
[[제복|제복(祭服)]]을 입을 때 목에 거는 장식이다.<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81쪽.</ref>
+
조선시대 [[백관]], [[종친]] 등이 국가 제사에 참석할 때 목에 거는 장식이다.<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81쪽.</ref>
  
 
=='''내용'''==
 
=='''내용'''==
===복식구성===
+
둥글게 굽어 목에 걸 수 있는 윗부분[曲領]과 모나게 생겨서 가슴 부분에 닿게 하는 아랫부분[方心]으로 되어 있다. 둥근 모양은 하늘을 상징하고, 모난 모양은 땅을 상징한다. 목의 뒷부분이나 옆의 어깨에 닿는 부분에는 연봉매듭 모양의 단추를 달아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게 하였다.<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82~83쪽.</ref> 조선 말기의 유물은 깃에 방심곡령이 같이 부착되어 있으며, 길이도 다양해져 제도적으로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ref>최영선, 「朝鮮時代 文武百官 祭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32쪽.</ref>
===착용신분===
 
[[문무백관]]이 착용 한다.  
 
  
===착용상황===
+
=='''지식 관계망'''==
왕실 제사 시 [[백관의 제복]]을 입을 때 사용 한다.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백관]] || 방심곡령(백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백관의 제복]] || 방심곡령(백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방심곡령(백관) || [[양관|제관]]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형태===
+
===시간정보===
둥글게 굽어 목에 걸 수 있는 윗부분(曲領)과 모나게 생겨서 가슴 부분에 닿게 하는 아랫부분(方心)으로 되어 있다.<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81~82쪽.</ref>
 
  
 +
===공간정보===
 +
 +
=='''시각자료'''==
 +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문무백관 제복 01.jpg|현백운(玄百運, 1872∼?)방심곡령.<ref>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방심곡령 정원용02 문화재대관.jpg| 정원용(鄭元容, 1783~1873) 제복의 방심곡령.<ref>문화재청,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복식․자수편』, 문화재청, 2006, 139쪽.</ref>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방심곡령 01.jpg|종묘제례 백관의 방심곡령<ref>출처: http://cafe.naver.com/</ref>
+
파일:궁중기록화 백관의 제복 재현품 궁중기록화팀.jpg| 종묘대제 백관의 제복 재현품.<ref>궁중기록화팀.</ref>
 
</gallery>
 
</gallery>
 +
===영상===
  
===기타===
+
=='''주석'''==
둥근 모양은 하늘을 상징하고, 모난 모양은 땅을 상징한다. 조선시대 방심곡령에는 곡령 부분 양 옆에 끈이 하나씩 달리는데, 왼쪽은 녹색이고 오른쪽은 홍색이다. 곡령의 뒷부분이나 옆의 어깨에 닿는 부분에는 연봉매듭 모양의 단추를 달아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게 하였다.<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82~83쪽.</ref>
+
<references/>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항목A!!항목B!!관계
 
|-
 
|[[문무백관]]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PAGENAME}}'''  || [[제복]] ||A는 B의 일습이다
 
|}
 
  
 
=='''참고문헌'''==
 
=='''참고문헌'''==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인용 및 참조===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下』,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 高光林, 「金冠 朝服에 關한 硏究」, 인천교육대학교 논문집12, 1978.
 +
* 古光林, 『韓國의 冠服』, 和成社, 1990.
 +
* 김동욱, 『종묘와 사직』, 대원사, 2002.
 +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中』,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역사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문화재청, 2007.
+
* 李善熙, 「祭服의 起源과 變遷에 關한 硏究」,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 朴京子, 「祭禮의 思想과 祭服에 關한 硏究」,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5.
* 이강칠 외,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현암사, 2003.
+
* 石宙善, 『衣』, 고려서적주식회사, 1985.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최규순, 「이 시대의 진정한 ‘紳士’를 위하여」, 『전통 의생활 연구』, 제 2집, 단국대학교 전통복식연구소, 2008.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최영선, 「朝鮮時代 文武百官 祭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최영선, 「朝鮮時代 文武百官 祭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주석'''==
 
<references/>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분류:복식]]

2017년 12월 19일 (화) 01:26 기준 최신판


방심곡령
(方心曲領)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대표명칭 방심곡령
한자표기 方心曲領
구분 기타
착용신분 백관, 종친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시대 백관, 종친 등이 국가 제사에 참석할 때 목에 거는 장식이다.[1]

내용

둥글게 굽어 목에 걸 수 있는 윗부분[曲領]과 모나게 생겨서 가슴 부분에 닿게 하는 아랫부분[方心]으로 되어 있다. 둥근 모양은 하늘을 상징하고, 모난 모양은 땅을 상징한다. 목의 뒷부분이나 옆의 어깨에 닿는 부분에는 연봉매듭 모양의 단추를 달아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게 하였다.[2] 조선 말기의 유물은 깃에 방심곡령이 같이 부착되어 있으며, 길이도 다양해져 제도적으로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백관 방심곡령(백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백관의 제복 방심곡령(백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방심곡령(백관) 제관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81쪽.
  2.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82~83쪽.
  3. 최영선, 「朝鮮時代 文武百官 祭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32쪽.
  4. 문화재청,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복식․자수편』, 문화재청, 2006, 139쪽.
  5. 궁중기록화팀.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高光林, 「金冠 朝服에 關한 硏究」, 인천교육대학교 논문집12, 1978.
  • 古光林, 『韓國의 冠服』, 和成社, 1990.
  • 김동욱, 『종묘와 사직』, 대원사, 2002.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中』,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李善熙, 「祭服의 起源과 變遷에 關한 硏究」,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朴京子, 「祭禮의 思想과 祭服에 關한 硏究」,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5.
  • 石宙善, 『衣』, 고려서적주식회사, 1985.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최영선, 「朝鮮時代 文武百官 祭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