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립박물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관계정보)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역사=== | ===역사=== | ||
− | 부산박물관은 1975년에 착공되어 1978년 7월 11일에 개관되었다. | + | 부산박물관은 1975년에 착공되어 1978년 7월 11일에 개관되었다. 분관으로는 1984년 6월 25일에 [[한국전쟁|6·25 전쟁]] 때 [[이승만]] 대통령 관저로 사용되었던 곳에 [[임시수도기념관]]이 개관되었다. 이곳에는 피난 당시의 부산의 모습과 전 [[이승만]] 전 대통령의 유품이 전시되어 있다. 1996년 개관한 [[부산시립박물관 복천분관|복천분관]]은 복천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각종 유물을 전시하는 고고 박물관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2002년 4월 24일에는 동삼동패총전시관이 분관으로 개관되었다. 그리고 2003년 7월 3일 [[부산근대역사관]]이 개관되었다. <ref>김진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4210 부산광역시립박물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분관으로는 1984년 6월 25일에 [[한국전쟁|6·25 전쟁]] 때 [[이승만]] 대통령 관저로 사용되었던 곳에 [[임시수도기념관]]이 개관되었다. | + | ===전시=== |
− | + | 총 6개의 전시실과 야외전시장에서 구석기시대부터 조선말기에 이르기까지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역사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는 여러 가지 유물과 유품들을 관람할 수 있다. 기획전시는 지금까지 약 60여 차례에 걸쳐 신안 해저 유물 특별전, 안압지 출토유물특별전, 페루국보전, 가야문물전(1991), 진시황부산전, 한나라 황금보물전(1996), 고대이집트문명전(1997), 어구전, 교육전 등 다양한 기획전을 약 60여 차례 개최한 바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f>김진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4210 부산광역시립박물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ref>김진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4210 부산광역시립박물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소장 유물=== | ===소장 유물=== | ||
− | 소장유물(所藏遺物)은 1만 | + | 소장유물(所藏遺物)은 1만 1,300점에 이른다. 대표적인 전시 유물로는 국보 제200호인 [[통일신라 금동보살입상|통일신라시대의 금동보살입상]]과 국보 제233호인 [[영태2년명납석제호|영태2년명납석제호(永泰二年銘蠟石製壺)]] 등 국보 2점 및 보물·기념물 등이 있다. 소장 유물은 주로 부산 및 경상남도 지역의 덕천동·노포동 고분군, 김해읍성 유적 등지에서 발굴한 매장문화재 6,000여 점을 비롯하여 구입품 730여 점, 기증품 3,870여점, 수집품 350여 점 등이다. 전시실에는 부산지역의 역사와 관련된 유물을 중심으로 선사시대 이래의 각종 유물 560여 점이 전시되어 있고, 외부의 야외전시장에는 탑·불상·비석 등 50여 점의 석조품이 전시되어 있다. |
<ref>김진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4210 부산광역시립박물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ref>김진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4210 부산광역시립박물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선조 국문 유서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37/A03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center; width:100%"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 + | | [[부산시립박물관]] || [[임시수도기념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 [[부산시립박물관]] || [[부산근대역사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임시수도기념관]] || [[이승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임시수도기념관]] || [[이승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부산시립박물관]] || [[부산시립박물관 복천분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부산근대역사관]] | + | | [[부산근대역사관]] || [[동양척식주식회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선조 국문 유서]] || [[부산시립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 [[통일신라 금동보살입상]] || [[부산시립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영태2년명납석제호]] || [[부산시립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67번째 줄: | 62번째 줄: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1978년 || | + | |1978년 || [[부산시립박물관]] 이 부산박물관으로 개관되었다. |
|- | |- | ||
− | |1984년 || | + | |1984년 || [[부산시립박물관]]의 분관인 [[임시수도기념관]]이 개관되었다. |
|- | |- | ||
|1995년 || 부산박물관이 부산광역시립박물관으로 개칭되었다. | |1995년 || 부산박물관이 부산광역시립박물관으로 개칭되었다. | ||
|- | |- | ||
− | |1996년 || | + | |1996년 || [[부산시립박물관]]의 분관인 [[부산시립박물관 복천분관|복천분관]]이 개관되었다. |
|- | |- | ||
|2002년 || 부산광역시립박물관이 부산박물관으로 개칭되었다. | |2002년 || 부산광역시립박물관이 부산박물관으로 개칭되었다. | ||
|- | |- | ||
− | |2003년 || | + | |2003년 || [[부산시립박물관]]의 분관인 [[부산근대역사관]]이 개관되었다. |
|} | |} | ||
84번째 줄: | 79번째 줄: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35.1400244|| 129.0148885 || | + | |35.1400244|| 129.0148885 || [[부산시립박물관]]에 [[선조 국문 유서]]가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90번째 줄: | 85번째 줄: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 | <!--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 | + | [[분류:한글고문서]] | |
−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장소 | + | [[분류:장소]] |
2017년 11월 25일 (토) 00:58 기준 최신판
부산박물관(釜山博物館) | |
대표명칭 | 부산박물관 |
---|---|
한자표기 | 釜山博物館 |
영문명칭 | Busan Museum |
이칭 | 부산시립박물관,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주소 |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연산동) |
관련유물유적 | 선조 국문 유서 |
|
정의
1978년 설립된 부산의 시립박물관이다.
내용
역사
부산박물관은 1975년에 착공되어 1978년 7월 11일에 개관되었다. 분관으로는 1984년 6월 25일에 6·25 전쟁 때 이승만 대통령 관저로 사용되었던 곳에 임시수도기념관이 개관되었다. 이곳에는 피난 당시의 부산의 모습과 전 이승만 전 대통령의 유품이 전시되어 있다. 1996년 개관한 복천분관은 복천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각종 유물을 전시하는 고고 박물관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2002년 4월 24일에는 동삼동패총전시관이 분관으로 개관되었다. 그리고 2003년 7월 3일 부산근대역사관이 개관되었다. [1]
전시
총 6개의 전시실과 야외전시장에서 구석기시대부터 조선말기에 이르기까지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역사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는 여러 가지 유물과 유품들을 관람할 수 있다. 기획전시는 지금까지 약 60여 차례에 걸쳐 신안 해저 유물 특별전, 안압지 출토유물특별전, 페루국보전, 가야문물전(1991), 진시황부산전, 한나라 황금보물전(1996), 고대이집트문명전(1997), 어구전, 교육전 등 다양한 기획전을 약 60여 차례 개최한 바 있다. [2]
소장 유물
소장유물(所藏遺物)은 1만 1,300점에 이른다. 대표적인 전시 유물로는 국보 제200호인 통일신라시대의 금동보살입상과 국보 제233호인 영태2년명납석제호(永泰二年銘蠟石製壺) 등 국보 2점 및 보물·기념물 등이 있다. 소장 유물은 주로 부산 및 경상남도 지역의 덕천동·노포동 고분군, 김해읍성 유적 등지에서 발굴한 매장문화재 6,000여 점을 비롯하여 구입품 730여 점, 기증품 3,870여점, 수집품 350여 점 등이다. 전시실에는 부산지역의 역사와 관련된 유물을 중심으로 선사시대 이래의 각종 유물 560여 점이 전시되어 있고, 외부의 야외전시장에는 탑·불상·비석 등 50여 점의 석조품이 전시되어 있다. [3]
지식 관계망
- 선조 국문 유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부산시립박물관 | 임시수도기념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부산시립박물관 | 부산근대역사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임시수도기념관 | 이승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부산시립박물관 | 부산시립박물관 복천분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부산근대역사관 | 동양척식주식회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선조 국문 유서 | 부산시립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통일신라 금동보살입상 | 부산시립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영태2년명납석제호 | 부산시립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8년 | 부산시립박물관 이 부산박물관으로 개관되었다. |
1984년 | 부산시립박물관의 분관인 임시수도기념관이 개관되었다. |
1995년 | 부산박물관이 부산광역시립박물관으로 개칭되었다. |
1996년 | 부산시립박물관의 분관인 복천분관이 개관되었다. |
2002년 | 부산광역시립박물관이 부산박물관으로 개칭되었다. |
2003년 | 부산시립박물관의 분관인 부산근대역사관이 개관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5.1400244 | 129.0148885 | 부산시립박물관에 선조 국문 유서가 소장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