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유용한 정보)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념정보
 
{{개념정보
|사진=
+
|사진=한글팀 가체04 얹은머리.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Main.do?search_div=CP_AGE&search_div_id=CP_AGE001&cp_code=cp0413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대표명칭=가체
 
|대표명칭=가체
 
|한자표기=加髢
 
|한자표기=加髢
 
|영문명칭=
 
|영문명칭=
|이칭=다래, 다리, 다레, 체(髢), 월자(月子)
+
|이칭= 체(髢)
 
|유형= 장신구
 
|유형= 장신구
 
|관련개념=
 
|관련개념=
 
}}
 
}}
 
==정의==
 
==정의==
여자의 머리숱을 많아 보이게 하려고 덧넣는 딴 머리가발이다.
+
여자의 머리숱을 많아 보이게 하려고 덧넣는 딴 머리인 [[다리]]를 여러개 이어 올린 머리가발이다.
  
 
==내용==
 
==내용==
 +
===조선 이전의 [[가체]] 사용===
 +
『[[당서|당서(唐書)]]』 에는 신라 사람들이 아름다운 두발을 머리에 두르고 장식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또 『[[삼국사기]]』 성덕왕조에 '미체(美髢)'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것이 바로 다리이며, 신라의 명물로 외국에 수출도 하였다.<ref>유희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0380 가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고구려의 경우 [[안악 3호분 동수부인 벽화]]에서 동수부인과 시녀들이 가체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백제는 남아있는 자료가 없어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삼국의 복식이 비슷했고,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왕비용 금제 머리 장식을 보아 가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ref>이영주, 「조선시대 가체 변화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
석사학위논문, 2000, 14-15쪽.</ref> 따라서 가체의 풍습은 통일신라시대에 이미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에도 가체의 풍습은 구체적인 것은 알 수 없으나, 고려 말기에는 원나라의 영향도 받아 더욱 크게 성행하였다. <ref>유희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0380 가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조선 시대  [[가체]]의 유행과 금지령===
 +
조선시대 초기 여인들의 머리 모양은 고려시대의 모습이 그대로 이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 시대 중엽부터는 가체가 더욱 사치스러워지고, 후기로 갈수록 크기도 커졌다. 전에는 한두 개 정도였던 다리를 여러 개 이어 올려 높게 만든 가체를 왕비부터 천민까지 모두 사용하였다. 가체의 유행은 다양한 머리 모양의 출현과 더불어 비녀, 뒤꽂이, 떨잠과 같은 머리 장신구의 발달을 가져왔다. 그러나 정도가 극심하여 조정에서는 수십 년 동안 가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결국 1788년 [[조선 정조]]는 가체를 금지하는 「[[가체신금사목]]」을 반포한다.
 +
<ref>이영주, 「조선시대 가체 변화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7-18쪽.</ref>
 +
 +
==지식 관계망==
 +
*'''가체신금사목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27/A02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당서]] || [[가체]]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삼국사기]] || [[가체]]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안악 3호분 동수부인 벽화]] || [[가체]]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가체신금사목]] || [[가체]]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가체신금사목 반포]] || [[가체신금사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조선 정조]] || [[가체신금사목 반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가체]] || [[다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1788년 || [[조선 정조]]가 [[가체신금사목]] 반포를 명령하였다.
 +
|-
 +
|1801년 || [[조선 정조]]가 [[가체]]의 금지를 명하였다.
 +
|-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파일:한글팀 가체01 안악3호분 고분벽화 동수부인.jpg| 안악3호분 고분벽화 동수부인
 +
</gallery>
 +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분류:한글고문서]][[분류:개념]][[분류:이혜영]]
+
===더 읽을 거리===
 +
*논문
 +
**송승희, 「가체를 중심으로 한 조선후기 여성의 머리장식 연구, 신윤복의 풍속화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김성아·박명주, 「가체금지령 이후 가체를 이용한 머리모양에 관한 연구 : 가체머리, 얹은머리, 트레머리와 비교 분석」, 『미용산업연구』4, 한국미용산업학회, 2003.
 +
**박수향, 「조선시대 여인의 머리모양과 화장에 관한 연구 - 가체머리를 중심으로 - 」, 『코리아뷰티디자인학회지』4, 코리아뷰티디자인학회, 2008.
 +
**김민정·이상은, 「미용학적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가체 문화사」, 『역사민속학』31,  한국역사민속학회, 2009.
 +
*단행본
 +
**이민주, 『조선 사대부가의 살림살이』,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
**반주원, 『조선시대 살아보기: 우리가 미처 몰랐던 조선생활사』, 미래의 창, 2017.
 +
 
 +
===유용한 정보===
 +
*박윤미,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5/menu/251?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5&bbIdx=2763&brdType=R 머리가 무거울수록 멋쟁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작성일: 2012년 4월 4일.
 +
 
 +
*"[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Main.do?search_div=CP_AGE&search_div_id=CP_AGE001&cp_code=cp0413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개념]]

2017년 11월 30일 (목) 11:42 기준 최신판

가체
(加髢)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대표명칭 가체
한자표기 加髢
이칭 체(髢)
유형 장신구


정의

여자의 머리숱을 많아 보이게 하려고 덧넣는 딴 머리인 다리를 여러개 이어 올린 머리가발이다.

내용

조선 이전의 가체 사용

당서(唐書)』 에는 신라 사람들이 아름다운 두발을 머리에 두르고 장식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또 『삼국사기』 성덕왕조에 '미체(美髢)'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것이 바로 다리이며, 신라의 명물로 외국에 수출도 하였다.[1] 고구려의 경우 안악 3호분 동수부인 벽화에서 동수부인과 시녀들이 가체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백제는 남아있는 자료가 없어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삼국의 복식이 비슷했고,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왕비용 금제 머리 장식을 보아 가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2] 따라서 가체의 풍습은 통일신라시대에 이미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에도 가체의 풍습은 구체적인 것은 알 수 없으나, 고려 말기에는 원나라의 영향도 받아 더욱 크게 성행하였다. [3]

조선 시대 가체의 유행과 금지령

조선시대 초기 여인들의 머리 모양은 고려시대의 모습이 그대로 이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 시대 중엽부터는 가체가 더욱 사치스러워지고, 후기로 갈수록 크기도 커졌다. 전에는 한두 개 정도였던 다리를 여러 개 이어 올려 높게 만든 가체를 왕비부터 천민까지 모두 사용하였다. 가체의 유행은 다양한 머리 모양의 출현과 더불어 비녀, 뒤꽂이, 떨잠과 같은 머리 장신구의 발달을 가져왔다. 그러나 정도가 극심하여 조정에서는 수십 년 동안 가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결국 1788년 조선 정조는 가체를 금지하는 「가체신금사목」을 반포한다. [4]

지식 관계망

  • 가체신금사목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당서 가체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삼국사기 가체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안악 3호분 동수부인 벽화 가체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가체신금사목 가체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가체신금사목 반포 가체신금사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정조 가체신금사목 반포 A는 B를 명령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가체 다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88년 조선 정조가체신금사목 반포를 명령하였다.
1801년 조선 정조가체의 금지를 명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유희경, "가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영주, 「조선시대 가체 변화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4-15쪽.
  3. 유희경, "가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영주, 「조선시대 가체 변화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7-18쪽.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송승희, 「가체를 중심으로 한 조선후기 여성의 머리장식 연구, 신윤복의 풍속화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김성아·박명주, 「가체금지령 이후 가체를 이용한 머리모양에 관한 연구 : 가체머리, 얹은머리, 트레머리와 비교 분석」, 『미용산업연구』4, 한국미용산업학회, 2003.
    • 박수향, 「조선시대 여인의 머리모양과 화장에 관한 연구 - 가체머리를 중심으로 - 」, 『코리아뷰티디자인학회지』4, 코리아뷰티디자인학회, 2008.
    • 김민정·이상은, 「미용학적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가체 문화사」, 『역사민속학』31, 한국역사민속학회, 2009.
  • 단행본
    • 이민주, 『조선 사대부가의 살림살이』,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 반주원, 『조선시대 살아보기: 우리가 미처 몰랐던 조선생활사』, 미래의 창, 2017.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