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3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유물유적정보 |
|사진= 한글팀_정리자활자_01.jpg | |사진= 한글팀_정리자활자_01.jpg | ||
− | |대표명칭= 정리자 | + | |사진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7059&cid=46669&categoryId=46669 정리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대표명칭= 정리자 | ||
+ | |한자표기= 整理字 |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 | | | + | |이칭= |
− | | | + | |유형= |
− | | | + | |시대= 조선/1795년(정조19) |
+ | |지정번호= | ||
+ | |지정일= | ||
|소장처= | |소장처= | ||
|경도= | |경도= | ||
|위도= | |위도= | ||
− | | | + | |수량= |
− | | | + | |관련인물= |
− | | | + | |관련단체= [[주자소]] |
− | | | + | |관련장소= |
− | | | + | |관련물품= |
+ | |관련유물유적= [[어제악장]], [[원행을묘정리의궤]], [[오륜행실도]] | ||
}} | }} | ||
− | |||
==정의== | ==정의== | ||
− | 1796년(정조 20) 주자소에서 만든 | + | 1796년(정조 20) 주자소에서 만든 동활자이다.<ref> 심우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157 정리자(整理字)]", <html><online style="color:purpl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내용== | ==내용== | ||
− | + | 1795년(정조 19) [[정리의궤통편|『정리의궤통편(整理儀軌通編)』]]을 출판하기 위해 만든 활자이다. 글씨체는 중국 청(淸)나라에서 만든 [[강희자전|『강희자전(康熙字典)』]]의 글씨체를 바탕으로 한 인쇄체로 읽기에 편리하였다. 정리자는 이전에 만든 금속활자에 비해 활자모양이 반듯하고 높이도 일정하여 인쇄하기에도 유용하였다. 1857년(철종 8) 활자를 보관하던 주자소(鑄字所)에 불이 나 정리자가 불타버려 다음 해 다시 정리자를 만들었으며 지금 남아 있는 활자는 대부분 두 번째 만든 정리자이다. <ref> 심우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157 정리자(整理字)]", <html><online style="color:purpl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사용처=== | |
− | + | 첫 번 째 만든 정리자[初鑄整理字]는 주로 조선왕실에서 ''의궤''를 편찬할 때 사용되었으며 두번째 만든 정리자[再鑄整理字]는 의궤 인쇄뿐만 아니라 구한말 발행한 교과서, 관보(官報), 법령, 조약문을 인쇄할 때도 널리 사용되었다. 활자의 뒷면은 활의 등처럼 속으로 움푹 패여 있는데, 이는 조선 후기 활자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청동의 사용량을 절약하면서 점착물이 그 속에 들어차면 움직이지 않도록 고안되었던 방법이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12813&cid=51293&categoryId=51293 정리자 활자]",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 『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 | |
− |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12813&cid=51293&categoryId=51293 정리자 활자],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 + | * '''오륜행실도 지식관계망'''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html>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19/A01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 + | | [[정리자]] || [[오륜행실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정리자]] || [[어제악장]]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정리자]] || [[원행을묘정리의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정리자]] || [[정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정리자]] || [[주자소]]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주석== | ==주석== | ||
43번째 줄: | 55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 | *사료 | ||
+ | ** 정조실록(正祖實錄) | ||
+ | ** 철종실록(哲宗實錄) | ||
+ | ** 판당고(板堂考) | ||
+ | ** 주자소응행절목(鑄字所應行節目) | ||
+ | ** 홍재전서(弘齋全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더 읽을 거리=== | ||
+ | *단행본 | ||
+ | ** 천혜봉, 『한국전적인쇄사(韓國典籍印刷史)』, 범우사, 1990. | ||
+ | ** 천혜봉, 『한국고인쇄사(韓國古印刷史)』, 한국도서관학연구회, 1976. | ||
+ | ** 김두종, 『한국고인쇄기술사(韓國古印刷技術史)』, 탐구당, 1974. | ||
+ | *웹자원 | ||
+ | ** 심우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157 정리자(整理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7059&cid=46669&categoryId=46669 정리자(整理字)]",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
− | [[분류: | + | [[분류:문화유산]] |
2017년 11월 24일 (금) 22:15 기준 최신판
정리자 (整理字) |
|
대표명칭 | 정리자 |
---|---|
한자표기 | 整理字 |
시대 | 조선/1795년(정조19) |
관련단체 | 주자소 |
관련유물유적 | 어제악장, 원행을묘정리의궤, 오륜행실도 |
정의
1796년(정조 20) 주자소에서 만든 동활자이다.[1]
내용
1795년(정조 19) 『정리의궤통편(整理儀軌通編)』을 출판하기 위해 만든 활자이다. 글씨체는 중국 청(淸)나라에서 만든 『강희자전(康熙字典)』의 글씨체를 바탕으로 한 인쇄체로 읽기에 편리하였다. 정리자는 이전에 만든 금속활자에 비해 활자모양이 반듯하고 높이도 일정하여 인쇄하기에도 유용하였다. 1857년(철종 8) 활자를 보관하던 주자소(鑄字所)에 불이 나 정리자가 불타버려 다음 해 다시 정리자를 만들었으며 지금 남아 있는 활자는 대부분 두 번째 만든 정리자이다. [2]
사용처
첫 번 째 만든 정리자[初鑄整理字]는 주로 조선왕실에서 의궤를 편찬할 때 사용되었으며 두번째 만든 정리자[再鑄整理字]는 의궤 인쇄뿐만 아니라 구한말 발행한 교과서, 관보(官報), 법령, 조약문을 인쇄할 때도 널리 사용되었다. 활자의 뒷면은 활의 등처럼 속으로 움푹 패여 있는데, 이는 조선 후기 활자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청동의 사용량을 절약하면서 점착물이 그 속에 들어차면 움직이지 않도록 고안되었던 방법이다. [3]
지식 관계망
- 오륜행실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리자 | 오륜행실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리자 | 어제악장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리자 | 원행을묘정리의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리자 | 정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리자 | 주자소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주석
- ↑ 심우준, "정리자(整理字)",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심우준, "정리자(整理字)",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리자 활자",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