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Monica-jang (토론 | 기여) (→착용상황) |
잔글 (→내용)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
{{복식정보 | {{복식정보 | ||
− | |사진= | +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흑건01 김아람.pn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 흑건 | |대표명칭= 흑건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 | 조선의 [[일산|일산(日傘)]], [[중금|중금(中禁)]] 등 하급 관원이 왕실 가족을 시위(侍衛)할 때 착용한 흑색의 건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38쪽</ref> | |
=='''내용'''== | =='''내용'''== | ||
− | + | 궁궐에서는 머리에 쓰는 건의 색을 달리 하여 소속 관서를 구분하였다. [[흑건]]의 형태를 알 수 있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정확한 형태를 알 수 없지만 회화에서 흑색의 고깔 형태로 묘사된다. [[경국대전|『경국대전(經國大典)』]] 「관복조」와 [[속대전|『속대전(續大典)』]] 「의장조」에서는 [[일산|일산(日傘)]], [[중금|중금(中禁)]]과 같은 관아의 하층민들의 쓰개로 규정되어 있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38쪽.</ref>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된 건은 청(靑) 96점, 황(黃) 186점, 홍(紅) 50점이다. 이들은 모두 무명을 두 겹으로 해서 만든 직사각형의 자루 모양인데, 겉감과 안감 사이에는 심(芯)을 넣어 빳빳하게 하였다. 착용할 때는 속으로 접혀진 양옆 하단부에 달려 있는 매듭끈으로 턱밑에서 매도록 되어 있다. 또 대부분 정수리에 솜뭉치를 넣어서 만든 직경 1.2㎝ 정도의 소색(素色) 베로 만든 방울이 동일한 간격으로 3개씩 달려 있다.<ref>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17쪽</ref> 그러나 현재 남아 있는 유물들 중 흑색 건은 전해지고 있지 않다.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일산]] || 흑건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중금]] || 흑건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 ||
− | ==시각자료== | + | =='''시각자료'''== |
===갤러리=== | ===갤러리=== | ||
===영상=== | ===영상=== | ||
− | ==주석== | + | =='''주석'''== |
+ | <references/> | ||
− | ==참고문헌== |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
− | +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 | * 金惠京, 「昌德宮所藏 嘉禮班次圖에 관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
+ | * 金貞振ㆍ白英子,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14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90. | ||
+ | * 金鎭玖, 「고깔의 比較 言語學的 硏究」, 『복식문화연구』 6권, 복식문화학회, 1995. | ||
+ | * 朴聖實, 「殯殿都監儀軌에 나타난 服飾硏究(I) -懿仁王后 및 仁穆王后를 중심으로-」, 『服飾』 16권, 한국복식학회, 1991. | ||
+ | * 李京子, 「嘉禮都監儀軌의 服飾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91. | ||
+ | * 李京子, 「官隷服飾考-使令과 羅將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78. | ||
+ |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嘉禮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권, 한국의류학회, 1995. | ||
+ | * 洪嘉英, 「朝鮮後期 嘉禮服飾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복식]] | [[분류:복식]] |
2017년 12월 17일 (일) 18:04 기준 최신판
흑건 (黑巾) |
|
대표명칭 | 흑건 |
---|---|
한자표기 | 黑巾 |
구분 | 관 및 쓰개 |
착용성별 | 남성 |
정의
조선의 일산(日傘), 중금(中禁) 등 하급 관원이 왕실 가족을 시위(侍衛)할 때 착용한 흑색의 건이다.[1]
내용
궁궐에서는 머리에 쓰는 건의 색을 달리 하여 소속 관서를 구분하였다. 흑건의 형태를 알 수 있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정확한 형태를 알 수 없지만 회화에서 흑색의 고깔 형태로 묘사된다. 『경국대전(經國大典)』 「관복조」와 『속대전(續大典)』 「의장조」에서는 일산(日傘), 중금(中禁)과 같은 관아의 하층민들의 쓰개로 규정되어 있다.[2]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된 건은 청(靑) 96점, 황(黃) 186점, 홍(紅) 50점이다. 이들은 모두 무명을 두 겹으로 해서 만든 직사각형의 자루 모양인데, 겉감과 안감 사이에는 심(芯)을 넣어 빳빳하게 하였다. 착용할 때는 속으로 접혀진 양옆 하단부에 달려 있는 매듭끈으로 턱밑에서 매도록 되어 있다. 또 대부분 정수리에 솜뭉치를 넣어서 만든 직경 1.2㎝ 정도의 소색(素色) 베로 만든 방울이 동일한 간격으로 3개씩 달려 있다.[3] 그러나 현재 남아 있는 유물들 중 흑색 건은 전해지고 있지 않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일산 | 흑건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중금 | 흑건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38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38쪽.
- ↑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17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金惠京, 「昌德宮所藏 嘉禮班次圖에 관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金貞振ㆍ白英子,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14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90.
- 金鎭玖, 「고깔의 比較 言語學的 硏究」, 『복식문화연구』 6권, 복식문화학회, 1995.
- 朴聖實, 「殯殿都監儀軌에 나타난 服飾硏究(I) -懿仁王后 및 仁穆王后를 중심으로-」, 『服飾』 16권, 한국복식학회, 1991.
- 李京子, 「嘉禮都監儀軌의 服飾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91.
- 李京子, 「官隷服飾考-使令과 羅將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78.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嘉禮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권, 한국의류학회, 1995.
- 洪嘉英, 「朝鮮後期 嘉禮服飾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