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황 표준영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정 속 퇴계의 모습과 논란)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역사인물초상화
 
{{역사인물초상화
|이미지=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황_표준영정.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이화여자대학교, "[http://www.aaart.co.kr/mybbs/bbs.html?mode=view&bbs_code=art_notice&bbs_no=1463 근대 동양화의 거두 _ 현초 이유태 선생 탄생 100주년 기념전]", 커뮤니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다아트』<sup>online</sup></online></html>.
 
|대표명칭= 이황 표준영정
 
|대표명칭= 이황 표준영정
 
|한자명칭= 李滉 標準影幀
 
|한자명칭= 李滉 標準影幀
18번째 줄: 18번째 줄:
  
 
=='''내용'''==
 
=='''내용'''==
 +
===표준영정의 제작 및 보관===
 
[[이유태 | 현초 이유태(玄艸 李惟台)(1916~1999)]] 화백이 그린 퇴계 이황의 표준영정으로 천 원 권 지폐에 사용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다. 원제는 「퇴계 이황선생 영정(退溪 李滉先生 影幀)」이며 당시 이유태의 화풍이 잘 드러나 있다. 이 초상화는 먼저 표준영정으로 지정한 후 제작에 착수하는 일반적인 사례와는 달리 조폐용으로 인쇄하기 위해 그러진 것이 1974년에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한국은행]]에서 소장하고 있다.<ref>최재목, 「퇴계상(退溪像)의 변모 -초상화(肖像畵)를 통해서 본 선비상(像)의 변천에 대한 시론(試論)」, 『퇴계학보』 vol. 130, 퇴계학연구원, 2011, 228-9쪽</ref>
 
[[이유태 | 현초 이유태(玄艸 李惟台)(1916~1999)]] 화백이 그린 퇴계 이황의 표준영정으로 천 원 권 지폐에 사용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다. 원제는 「퇴계 이황선생 영정(退溪 李滉先生 影幀)」이며 당시 이유태의 화풍이 잘 드러나 있다. 이 초상화는 먼저 표준영정으로 지정한 후 제작에 착수하는 일반적인 사례와는 달리 조폐용으로 인쇄하기 위해 그러진 것이 1974년에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한국은행]]에서 소장하고 있다.<ref>최재목, 「퇴계상(退溪像)의 변모 -초상화(肖像畵)를 통해서 본 선비상(像)의 변천에 대한 시론(試論)」, 『퇴계학보』 vol. 130, 퇴계학연구원, 2011, 228-9쪽</ref>
  
===화폐권 발행과 표준 영정===
+
===표준영정에 묘사된 모습===
*율곡 초상화 논란
 
화폐에서 표준영정의 필요성이 높아진 것은 1972년 율곡의 초상화를 둘러싼 논란 때문이었다. 1972년에 5,000원권이 발행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율곡의 콧날이 날카롭고 매섭게 표현되어 마치 서양사람 같다는 비판이 일었다. 이것은 5,000원권의 원판을 영국의 [[토마스 데라루 사]]에 제작 의뢰한 결과 빚어진 일이었다.
 
 
 
*화폐권 발행을 위한 표준 영정의 제작
 
이외에도 역사적인 인물의 동상이나 영정을 제작할 때마다 인물들의 모습이 조금씩 차이가 나 사회적인 물의를 빚는 일이 많았다. 이런 이유로 정부는 1973년 6월 선현의 동상 건립 및 영정 제작에 관한 심의절차를 제정하여 동상이나 영정 제작 등에는 반드시 정부가 최종 승인한 표준영정만 사용하도록 조치했다. 한국은행은 1973년 9월에 발행한 500원권의 충무공 초상부터 표준영정을 사용했다. 또한 이미 시중에 유통되고 있던 10,000원권과 5,000원권의 초상도 표준영정으로 바꾸어 실어야 했다. 이에 따라 1977년 적당한 높이의 코와 온화한 표정의 율곡 초상이 실린 5,000원권이 새롭게 발행되었다.<ref> 『한국의 박물관 : 화폐』. 네이버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83216&cid=42962&categoryId=44338 표준영정 은행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의 박물관 : 화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박물관연구회. </ref>
 
 
 
===영정 속 퇴계의 모습과 논란===
 
 
이 초상에서 퇴계는 [[폭건 | 폭건(幅巾)]]과 [[심의 | 심의(深衣)]] 등 사대부의 전형적인 편복을 입고 있는데 이는 공등무성(工藤武城) 소장의 정자관(程子冠)을 비롯한 이전의 초상들과는 모습이 다르다. <ref>최재목, 「퇴계상(退溪像)의 변모 -초상화(肖像畵)를 통해서 본 선비상(像)의 변천에 대한 시론(試論)」, 『퇴계학보』 vol. 130, 퇴계학연구원, 2011, 229-30쪽</ref>
 
이 초상에서 퇴계는 [[폭건 | 폭건(幅巾)]]과 [[심의 | 심의(深衣)]] 등 사대부의 전형적인 편복을 입고 있는데 이는 공등무성(工藤武城) 소장의 정자관(程子冠)을 비롯한 이전의 초상들과는 모습이 다르다. <ref>최재목, 「퇴계상(退溪像)의 변모 -초상화(肖像畵)를 통해서 본 선비상(像)의 변천에 대한 시론(試論)」, 『퇴계학보』 vol. 130, 퇴계학연구원, 2011, 229-30쪽</ref>
 
<br/>
 
<br/>
35번째 줄: 29번째 줄: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
*'''이황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52/E05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유태]] || {{PAGENAME}}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 [[이황 표준영정]] || [[이유태]]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이황 표준영정]] || [[이황]]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표준영정]] || [[이황 표준영정]]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이황 표준영정]] || [[한국은행]]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한국은행]] || {{PAGENAME}} || A는 B를 소장하였다 ||
 
 
|}
 
|}
  
65번째 줄: 70번째 줄:
 
*논문
 
*논문
 
**최재목, 「퇴계상(退溪像)의 변모 -초상화(肖像畵)를 통해서 본 선비상(像)의 변천에 대한 시론(試論)」, 『퇴계학보』 vol. 130, 퇴계학연구원, 2011,
 
**최재목, 「퇴계상(退溪像)의 변모 -초상화(肖像畵)를 통해서 본 선비상(像)의 변천에 대한 시론(試論)」, 『퇴계학보』 vol. 130, 퇴계학연구원, 2011,
**최재목, 「退溪의 肖像畵에 대하여
+
**최재목, 「退溪의 肖像畵에 대하여 :  近·現代期 ‘退溪像’ 탄생에 대한 성찰을 겸해서」, 『퇴계학논집』 vol.2, 영남퇴계연구원, 2008
:  近·現代期 ‘退溪像’ 탄생에 대한 성찰을 겸해서」, 『퇴계학논집』 vol.2, 영남퇴계연구원, 2008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2017년 11월 28일 (화) 03:18 기준 최신판

이황 표준영정
이화여자대학교, "근대 동양화의 거두 _ 현초 이유태 선생 탄생 100주년 기념전", 커뮤니티, 『다아트』online.
한자명칭 李滉 標準影幀
작가 이유태
소장처 한국은행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120×80㎝


정의

현초 이유태(玄艸 李惟台)(1916~1999) 화백이 그린 퇴계 이황의 표준영정으로 천 원 권 지폐에 사용되고 있다.

내용

표준영정의 제작 및 보관

현초 이유태(玄艸 李惟台)(1916~1999) 화백이 그린 퇴계 이황의 표준영정으로 천 원 권 지폐에 사용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다. 원제는 「퇴계 이황선생 영정(退溪 李滉先生 影幀)」이며 당시 이유태의 화풍이 잘 드러나 있다. 이 초상화는 먼저 표준영정으로 지정한 후 제작에 착수하는 일반적인 사례와는 달리 조폐용으로 인쇄하기 위해 그러진 것이 1974년에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한국은행에서 소장하고 있다.[1]

표준영정에 묘사된 모습

이 초상에서 퇴계는 폭건(幅巾) 심의(深衣) 등 사대부의 전형적인 편복을 입고 있는데 이는 공등무성(工藤武城) 소장의 정자관(程子冠)을 비롯한 이전의 초상들과는 모습이 다르다. [2]
초상화가 낡아지거나 어떤 변화에 의해서든 당연한 벼화의 과정을 거치면서도 시대에 맞는 의복으로 다시 해석되는 것은 결국 초상화가 제작될 당시의 사회, 정치적 명분에 따라 인물이 재해석되었고 그것이 초상화에 반영된 것임을 보여준다.[3]
이 초상화는 강인, 강건, 엄숙, 엄격 혹은 온화와는 거리가 있어 보이며, 병색이 짙고 피곤해 보이고 문약, 겸손 등 유약함이 부각되어 보인다. 이는 이 표준영정이 제작된 박정희 정권기에는 무인으로서 이순신 문인 이황처럼 문무의 구분을 뚜렷히 반영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문인에 대한 아이덴티티를 부과하기 위해 이전의 초상에서 보인 퇴계의 기백, 웅장함, 강건함과 같은 외적 요소는 무인인 충무공, 학자이지만 십만양병설을 주장한 이이에게 부과하고, 이황에게는 권력, 정치적 파당과 같은 문제를 초월한 '국민적 노인'이며 침묵으로서만 자리를 지키는 어른의 이미지를 부과하고 싶었던 것으로 보인다.[4]

지식관계망

  • 이황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황 표준영정 이유태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이황 표준영정 이황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표준영정 이황 표준영정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이황 표준영정 한국은행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974년 이황 표준영정이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61993 126.980496 한국은행에 이황 표준영정이 보관되어 있다.

주석

  1. 최재목, 「퇴계상(退溪像)의 변모 -초상화(肖像畵)를 통해서 본 선비상(像)의 변천에 대한 시론(試論)」, 『퇴계학보』 vol. 130, 퇴계학연구원, 2011, 228-9쪽
  2. 최재목, 「퇴계상(退溪像)의 변모 -초상화(肖像畵)를 통해서 본 선비상(像)의 변천에 대한 시론(試論)」, 『퇴계학보』 vol. 130, 퇴계학연구원, 2011, 229-30쪽
  3. 조은정, 「표준영정에 대한 연구-공동체 의식과 감정통합의 균일화 과정-」, 『로컬리티 인문학』, 2016, 257쪽
  4. 최재목, 「퇴계상(退溪像)의 변모 -초상화(肖像畵)를 통해서 본 선비상(像)의 변천에 대한 시론(試論)」, 『퇴계학보』 vol. 130, 퇴계학연구원, 2011, 229-30쪽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최재목, 「퇴계상(退溪像)의 변모 -초상화(肖像畵)를 통해서 본 선비상(像)의 변천에 대한 시론(試論)」, 『퇴계학보』 vol. 130, 퇴계학연구원, 2011,
    • 최재목, 「退溪의 肖像畵에 대하여 : 近·現代期 ‘退溪像’ 탄생에 대한 성찰을 겸해서」, 『퇴계학논집』 vol.2, 영남퇴계연구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