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계백 표준영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역사인물초상화
 
{{역사인물초상화
|이미지=초상화 계백 표준영정.png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계백_표준영정.jpg
|대표명칭=계백 영정
+
|사진출처= "[http://www.kculture.or.kr/korean/portrait/portraitView.jsp?sp_seq=55 계백]", 선현의 표준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민족정보마당』<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정보원.
 +
|대표명칭=계백 표준영정
 
|한자명칭=階伯影幀
 
|한자명칭=階伯影幀
 
|영문명칭=  
 
|영문명칭=  
10번째 줄: 12번째 줄:
 
|유형=[[표준영정]]
 
|유형=[[표준영정]]
 
|크기(세로×가로)=120×161㎝
 
|크기(세로×가로)=120×161㎝
 +
|필드수=7
 
}}
 
}}
 
 
=='''정의'''==
 
=='''정의'''==
 
백제 말기의 장군 [[계백|계백(階伯, ?-660년)]]의 [[표준영정]].
 
백제 말기의 장군 [[계백|계백(階伯, ?-660년)]]의 [[표준영정]].
  
 
=='''내용'''==
 
=='''내용'''==
1994년 [[오태학|오태학(吳泰鶴, 1938년-)]]이 그렸고 1994년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삼충사]]에 소장되어 있다.
+
===표준영정의 제작 및 보관===
 +
[[오태학|오태학(吳泰鶴, 1938년-)]]이 그렸고 1994년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부여 삼충사]]에 소장되어 있다.<br/>
 +
[[계백]]은 1973년 10월 영정동상심의위원회의 조사 결과 선정된 [[표준영정]] 제작 대상으로 109위의 선현 중 하나이다. 그는 백제 말기의 장군으로서 5만여 병력의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하자 군사 5천을 거느리고 출천하여 [[황산벌]](黃山 : 지금의 충청남도 連山)에서 신라 김유신의 군대와 맞서 싸웠다. 즉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장수로서의 이미지를 국민의 안보의식 및 국방의식 함양을 위해 활용하고자 한 것이다. 실제로 109위의 선현 중 명장(名將)이 10명, 구국 및 순국선열이 31명, 기타 구국과 국방 관련 인물이 11인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ref>이영미,「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1-52쪽.</ref><br/>
 +
또한 [[계백]] 표준영정은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지역 축제인 '[[부여 백제문화제]]'와 연계해서 제작되었다. 즉 [[계백]] 장군을 기리는 사당과 관련 축제가 함께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제작된 것이다. <ref>이영미,「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0쪽.</ref>
 +
===표준영정에 묘사된 모습===
 +
붉은 술과 챙이 달린 투구를 쓰고 여러개의 철판들을 연결한 찰갑(미늘갑옷)을 입은 전신상으로 그려졌다. 챙 달린 투구는 일본에서 건너온 것이라 여겨졌지만, 2007년 전남 고흥에서 5세기 전반 백제 유물로 챙 달린 투구가 나오면서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건너갔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ref>신형준,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11/23/2007112300098.html 1600년 된 백제 철갑옷·투구 공개]",『조선일보』, 2007년 11월 23일.</ref><br/>
 +
백제 갑옷을 완벽히 재현할 만한 연구자료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시대에 그려져, 복대나 신발 등 세부적인 부분에 작가의 상상력이 가해진 것을 볼 수 있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https://dh.aks.ac.kr/Encyves/Graph/E041/E041.htm 계백 그래프]'''
 +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E041/E04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7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계백 표준영정(1994)]] || [[표준영정]] || A는 B에 해당한다 ||
+
| [[계백 표준영정]] || [[표준영정]] ||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
 
|-
| [[계백 표준영정(1994)]] || [[계백]] || A는 B를 묘사하였다 ||  
+
| [[계백 표준영정]] || [[계백]]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계백 표준영정(1994)]] || [[삼충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계백 표준영정]] || [[부여 삼충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오태학]] || [[계백 표준영정(1994)]] || A는 B를 제작하였다 ||
+
| [[계백 표준영정]] || [[오태학]]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36번째 줄: 52번째 줄: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1994년 || [[계백 표준영정(1994)]]이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
| 1994년 || [[계백 표준영정]]이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
 
|}
  
42번째 줄: 58번째 줄: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파일:초상화 계백 표준영정.png|[[계백]] 표준영정(1977년 지정)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계백_표준영정.jpg|[[계백]] 표준영정(1977년 지정)<ref> "[http://www.kculture.or.kr/korean/portrait/portraitView.jsp?sp_seq=55 계백]", 선현의 표준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민족정보마당』<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정보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계백 삼충사계백상01.jpg|[[삼충사]] 안에 모셔진 [[계백]] 표준영정<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7494 삼충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파일:민족기록화 인물 계백 챙달린투구01.jpg |전남 고흥에서 발굴된 백제 챙 달린 투구<ref>신형준,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11/23/2007112300098.html 1600년 된 백제 철갑옷·투구 공개]",『조선일보』, 2007년 11월 23일.</ref>
 
</gallery>
 
</gallery>
  
49번째 줄: 67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웹자원
+
#웹 자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057 광개토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신동하,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3142 계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8085 광개토대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피디아』<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7494 삼충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06054 계백]",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신형준,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11/23/2007112300098.html 1600년 된 백제 철갑옷·투구 공개]",『조선일보』, 2007년 11월 23일.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표준영정]]

2025년 1월 12일 (일) 19:09 기준 최신판


계백 표준영정
"계백", 선현의 표준영정, 『한민족정보마당』online, 한국문화정보원.
한자명칭 階伯影幀
작가 오태학
제작시기 1994년
소장처 삼충사
유형 표준영정
크기(세로×가로) 120×161㎝


정의

백제 말기의 장군 계백(階伯, ?-660년)표준영정.

내용

표준영정의 제작 및 보관

오태학(吳泰鶴, 1938년-)이 그렸고 1994년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부여 삼충사에 소장되어 있다.
계백은 1973년 10월 영정동상심의위원회의 조사 결과 선정된 표준영정 제작 대상으로 109위의 선현 중 하나이다. 그는 백제 말기의 장군으로서 5만여 병력의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하자 군사 5천을 거느리고 출천하여 황산벌(黃山 : 지금의 충청남도 連山)에서 신라 김유신의 군대와 맞서 싸웠다. 즉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장수로서의 이미지를 국민의 안보의식 및 국방의식 함양을 위해 활용하고자 한 것이다. 실제로 109위의 선현 중 명장(名將)이 10명, 구국 및 순국선열이 31명, 기타 구국과 국방 관련 인물이 11인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
또한 계백 표준영정은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지역 축제인 '부여 백제문화제'와 연계해서 제작되었다. 즉 계백 장군을 기리는 사당과 관련 축제가 함께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제작된 것이다. [2]

표준영정에 묘사된 모습

붉은 술과 챙이 달린 투구를 쓰고 여러개의 철판들을 연결한 찰갑(미늘갑옷)을 입은 전신상으로 그려졌다. 챙 달린 투구는 일본에서 건너온 것이라 여겨졌지만, 2007년 전남 고흥에서 5세기 전반 백제 유물로 챙 달린 투구가 나오면서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건너갔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3]
백제 갑옷을 완벽히 재현할 만한 연구자료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시대에 그려져, 복대나 신발 등 세부적인 부분에 작가의 상상력이 가해진 것을 볼 수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계백 표준영정 표준영정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계백 표준영정 계백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계백 표준영정 부여 삼충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계백 표준영정 오태학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94년 계백 표준영정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이영미,「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1-52쪽.
  2. 이영미,「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0쪽.
  3. 신형준, "1600년 된 백제 철갑옷·투구 공개",『조선일보』, 2007년 11월 23일.
  4. "계백", 선현의 표준영정, 『한민족정보마당』online, 한국문화정보원.
  5. "삼충사", 『doopedia』online, 두산백과.
  6. 신형준, "1600년 된 백제 철갑옷·투구 공개",『조선일보』, 2007년 11월 23일.

참고문헌

  1.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