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갤러리) |
(→시각자료)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영암 도갑사|도갑사(道岬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 | +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영암 도갑사|도갑사(道岬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도선|선각국사 도선(先覺國師 道詵, 827-898)]]과 조선시대의 승려인 [[수미|묘각화상 수미(妙覺和尙 守眉)]]의 [[탑비]]. |
=='''내용'''== | =='''내용'''== | ||
===개요=== | ===개요=== | ||
− | 전체 높이 약 4.8m, 폭 1.42m. 탑비는 [[귀부|귀부(龜趺)]], 비신(碑身), [[이수|이수(螭首)]]를 모두 갖춘 형태로, [[영암 도갑사|도갑사(道岬寺)]]의 부도전(浮屠田) 부근에 건립된 보호각 안에 보존되어 있다.<ref>최인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481 도갑사도선수미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전체 높이 약 4.8m, 폭 1.42m. 탑비는 [[귀부|귀부(龜趺)]], 비신(碑身)<ref>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ref>, [[이수|이수(螭首)]]를 모두 갖춘 형태로, [[영암 도갑사|도갑사(道岬寺)]]의 부도전(浮屠田) 부근에 건립된 보호각 안에 보존되어 있다.<ref>최인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481 도갑사도선수미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보통 비는 한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는데 반해 이 비는 비명이 [[도선|도선국사(道詵國師)]]와 [[수미| 수미선사(守眉禪師)]] 두 사람의 공동명의로 되어 있다. 비문의 내용은 주로 [[도선|도선국사]]에 관한 것이며, [[수미|수미선사]]에 대해서는 1457년에 [[영암 도갑사|도갑사]]를 중창한 내용이 전하고 있다.<ref>최인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481 도갑사도선수미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보통 비는 한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는데 반해 이 비는 비명이 [[도선|도선국사(道詵國師)]]와 [[수미| 수미선사(守眉禪師)]] 두 사람의 공동명의로 되어 있다. 비문의 내용은 주로 [[도선|도선국사]]에 관한 것이며, [[수미|수미선사]]에 대해서는 1457년에 [[영암 도갑사|도갑사]]를 중창한 내용이 전하고 있다.<ref>최인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481 도갑사도선수미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이 비는 1636년([[조선 인조|인조]] 14) 4월에 건립을 시작하여 17년 후인 1653년([[조선 효종|효종]] 4) 4월에 완료되었다. 비문에 따르면 본래 이곳에 [[도선|도선국사]]의 고비(古碑)가 있었는데 비바람으로 글자가 마멸되고 [[귀부]]의 머리가 결락되는 등 훼손이 심하여 다시 세우게 되었다고 한다. [[영암 도갑사|도갑사]]를 중창한 [[옥습|옥습대사(玉習大師)]]가 3년에 걸쳐 각 사찰에 다니면서 찬조를 구하는 한편, 신도들로부터 모금하고 한양까지 가서 비문을 청탁하였다. 비석에 사용된 돌은 전라도 관찰사의 도움으로 부역을 통해 여산(礪山)에서 운반해 왔으며, 돌이 도착한 이후 7개월 만에 공사가 완료되었다고 한다.<ref>최연식, "[http://yeongam.grandculture.net/Contents?local=yeongam&dataType=99&contents_id=GC04400622 영암 도갑사 도선 국사·수미 선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영암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이 비는 1636년([[조선 인조|인조]] 14) 4월에 건립을 시작하여 17년 후인 1653년([[조선 효종|효종]] 4) 4월에 완료되었다. 비문에 따르면 본래 이곳에 [[도선|도선국사]]의 고비(古碑)<ref>오래된 비석</ref>가 있었는데 비바람으로 글자가 마멸되고 [[귀부]]의 머리가 결락되는 등 훼손이 심하여 다시 세우게 되었다고 한다. [[영암 도갑사|도갑사]]를 중창한 [[옥습|옥습대사(玉習大師)]]가 3년에 걸쳐 각 사찰에 다니면서 찬조를 구하는 한편, 신도들로부터 모금하고 한양까지 가서 비문을 청탁하였다. 비석에 사용된 돌은 전라도 관찰사의 도움으로 부역을 통해 여산(礪山)<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354 여산],<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에서 운반해 왔으며, 돌이 도착한 이후 7개월 만에 공사가 완료되었다고 한다.<ref>최연식, "[http://yeongam.grandculture.net/Contents?local=yeongam&dataType=99&contents_id=GC04400622 영암 도갑사 도선 국사·수미 선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영암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귀부]]의 머리는 오른쪽으로 약간 튼 형태인데 입에는 상·하 8개의 이빨로 여의주를 꽉 물고 있는 형상이다. 등에는 전형적인 귀갑문 대신 평행 사선문(斜線紋)으로 정연하게 음각하였다. 비신은 [[귀부]]와 [[이수]]와는 달리 대리석으로 조성했다. 비신의 양 측면에는 운룡문(雲龍紋)이 가득 양각되었는데, 매우 사실적으로 조각되어 마치 살아 있는 쌍룡이 구름을 타고 승천하는 착각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이수]]에는 운문 위에 2마리의 용이 각각 [[이수]]의 양끝을 물고 있는 형상을 지니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3950000,36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귀부]]의 머리는 오른쪽으로 약간 튼 형태인데 입에는 상·하 8개의 이빨로 여의주를 꽉 물고 있는 형상이다. 등에는 전형적인 귀갑문 대신 평행 사선문(斜線紋)으로 정연하게 음각하였다. 비신은 [[귀부]]와 [[이수]]와는 달리 대리석으로 조성했다. 비신의 양 측면에는 운룡문(雲龍紋)이 가득 양각되었는데, 매우 사실적으로 조각되어 마치 살아 있는 쌍룡이 구름을 타고 승천하는 착각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이수]]에는 운문 위에 2마리의 용이 각각 [[이수]]의 양끝을 물고 있는 형상을 지니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3950000,36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40번째 줄: | 40번째 줄: | ||
====전면==== | ====전면==== | ||
− | 전면의 상단에는 [[김광욱|김광욱(金光煜)]]이 쓴 '월출산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 비명(月出山 道岬寺 道詵國師守眉大禪師碑銘)'이라는 [[제액|전액(篆額)]]이 있다. 그 아래에 있는 '월출산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대선사 비명병서(月出山 道岬寺 道詵國師守眉大禪師碑銘幷序)'라는 제목의 글은 [[이경석|이경석(李景奭)]]이 짓고 [[오준|오준(吳竣)]]이 쓴 것이다. 비문의 말미에 '1636년 4월에 시작하여 1653년 4월에 세웠다(崇禎 丙子 四月日始 癸巳四月日立)'라고 건립연대가 있다. 그 아래로 찬자(撰者), 서자(書者), 전서자(篆書者)의 직함이 있다. 비문의 내용은 [[도선|도선국사(道詵國師)]]의 일생을 정리한 것이 대부분으로, [[수미|수미선사(守眉禪師)]]에 대한 내용은 기술되어 있지 않다.<ref>김민규, | + | 전면의 상단에는 [[김광욱|김광욱(金光煜)]]이 쓴 '월출산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 비명(月出山 道岬寺 道詵國師守眉大禪師碑銘)'이라는 [[제액|전액(篆額)]]이 있다. 그 아래에 있는 '월출산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대선사 비명병서(月出山 道岬寺 道詵國師守眉大禪師碑銘幷序)'라는 제목의 글은 [[이경석|이경석(李景奭)]]이 짓고 [[오준|오준(吳竣)]]이 쓴 것이다. 비문의 말미에 '1636년 4월에 시작하여 1653년 4월에 세웠다(崇禎 丙子 四月日始 癸巳四月日立)'라고 건립연대가 있다. 그 아래로 찬자(撰者), 서자(書者), 전서자(篆書者)의 직함이 있다. 비문의 내용은 [[도선|도선국사(道詵國師)]]의 일생을 정리한 것이 대부분으로, [[수미|수미선사(守眉禪師)]]에 대한 내용은 기술되어 있지 않다.<ref>김민규, 「〈도선국사·수미선사비〉의 제작 장인과 양식 연구」, 『문화재』48,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63-65쪽.</ref> |
− | 전면의 좌측에 위치한 추기(追記)는 홍문관 부수찬인 [[이수인|이수인(李壽仁)]]이 짓고, 진사 [[김시간|김시간(金時暕)]]이 쓴 것으로 연대는 없다. 추기의 내용은 비석 건립 과정이 전반부를 차지하고 후반부는 [[도선|도선국사]]의 생애를 간단하게 서술하고 있다.<ref>김민규, | + | 전면의 좌측에 위치한 추기(追記)는 홍문관 부수찬인 [[이수인|이수인(李壽仁)]]이 짓고, 진사 [[김시간|김시간(金時暕)]]이 쓴 것으로 연대는 없다. 추기의 내용은 비석 건립 과정이 전반부를 차지하고 후반부는 [[도선|도선국사]]의 생애를 간단하게 서술하고 있다.<ref>김민규, 「〈도선국사·수미선사비〉의 제작 장인과 양식 연구」, 『문화재』48,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65쪽.</ref> |
====후면==== | ====후면==== | ||
− | 후면의 상단에는 [[김시간|김시간(金時暕)]]이 쓴 '국사도선비음명(國師道詵碑陰銘)'이라는 전자(篆字) 글씨체의 제목이 있다. 그 아래로 [[정두경|정두경(鄭斗卿)]]이 찬하고 [[김비|김비(金棐)]]가 쓴 음기(陰記)가 있다. 음기 말미에 찬자(撰者), 서자(書者), 전서자(篆書者)의 직함과 성명이 병기되어 있으며, 끝에 '1636년 4월에 시작하여 1653년 4월에 세웠다(崇禎 丙子 四月日始 癸巳四月日立)'라는 건립연대가 있다. 이 아래쪽에는 음기와 다른 서체와 작은 글씨로 '길이가 18척 너비가 9척(長十八尺 廣九尺)'이라는 비석의 규모를 새겨 놓기도 했다. 음기의 내용은 전면의 [[이경석|이경석(李景奭)]]의 글과 크게 다르지 않아서 [[도선|도선국사(道詵國師)]]의 이야기만 담고 있을 뿐 [[수미|수미선사(守眉禪師)]]의 내용은 전혀 없다. 음기 옆으로는 [[인평대군|인평대군(麟坪大君)]]을 시작으로 당시 정치인들의 직함과 성명이 나열되어 있다. 음기와 [[인평대군|인평대군]] 등 관료 직함 아래로는 산중질(山中秩), 시주질(施主秩), 공장질(工匠秩) 등이 적혀 있다.<ref>김민규, | + | 후면의 상단에는 [[김시간|김시간(金時暕)]]이 쓴 '국사도선비음명(國師道詵碑陰銘)'이라는 전자(篆字)<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4462&cid=50826&categoryId=50826 전자]", 문화콘텐츠닷컴(문화원형 용어사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글씨체의 제목이 있다. 그 아래로 [[정두경|정두경(鄭斗卿)]]이 찬하고 [[김비|김비(金棐)]]가 쓴 음기(陰記)<ref>비갈(碑碣)의 등뒤에 새긴 글</ref>가 있다. 음기 말미에 찬자(撰者), 서자(書者), 전서자(篆書者)의 직함과 성명이 병기되어 있으며, 끝에 '1636년 4월에 시작하여 1653년 4월에 세웠다(崇禎 丙子 四月日始 癸巳四月日立)'라는 건립연대가 있다. 이 아래쪽에는 음기와 다른 서체와 작은 글씨로 '길이가 18척 너비가 9척(長十八尺 廣九尺)'이라는 비석의 규모를 새겨 놓기도 했다. 음기의 내용은 전면의 [[이경석|이경석(李景奭)]]의 글과 크게 다르지 않아서 [[도선|도선국사(道詵國師)]]의 이야기만 담고 있을 뿐 [[수미|수미선사(守眉禪師)]]의 내용은 전혀 없다. 음기 옆으로는 [[인평대군|인평대군(麟坪大君)]]을 시작으로 당시 정치인들의 직함과 성명이 나열되어 있다. 음기와 [[인평대군|인평대군]] 등 관료 직함 아래로는 산중질(山中秩), 시주질(施主秩), 공장질(工匠秩) 등이 적혀 있다.<ref>김민규, 「〈도선국사·수미선사비〉의 제작 장인과 양식 연구」, 『문화재』48,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65쪽.</ref>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18/stele_doseon-sumi_dogap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도선]]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도선]]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수미]]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수미]]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이경석]]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이경석]]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이수인]]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이수인]]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정두경]]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정두경]]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김광욱]]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김광욱]]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김시간]]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김시간]]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김비]]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김비]]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 | ||
78번째 줄: | 83번째 줄: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5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8/Dogap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clickable button | [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8/Dogapsa.htm 가상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 | |||
<!--<html> | <!--<html> | ||
<iframe width="100%" height="700" src="http://digerati.aks.ac.kr/Pavilions/tour2016-10/site_01/site_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700" src="http://digerati.aks.ac.kr/Pavilions/tour2016-10/site_01/site_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84번째 줄: | 95번째 줄: |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 ||
− | 파일:BHST_Dogapsa_Doseon-Sumi_stele-bigak.jpg|영암 도갑사 | + | 파일:BHST_Dogapsa_Doseon-Sumi_stele-bigak.jpg|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비각 |
− | 파일:BHST_Dogapsa_Doseon-Sumi_stele-text.jpg|영암 도갑사 | + | 파일:BHST Dogapsa Doseon-Sumi_stele.jpg|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비각 전면 |
− | 파일:BHST_Dogapsa_Doseon-Sumi_stele-title.jpg|영암 도갑사 | + | 파일:BHST_Dogapsa_Doseon-Sumi_stele-text.jpg|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안내판 |
− | 파일:BHST_Dogapsa_Doseon-Sumi_stele-gwibu.jpg|영암 도갑사 | + | 파일:BHST_Dogapsa_Doseon-Sumi_stele-title.jpg|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제액 |
− | 파일:BHST_Dogapsa_Doseon-Sumi_stele-isu.jpg|영암 도갑사 | + | 파일:BHST_Dogapsa_Doseon-Sumi_stele-gwibu.jpg|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귀부 |
− | 파일:BHST_Dogapsa_Doseon-Sumi_stele-side.jpg|영암 도갑사 | + | 파일:BHST_Dogapsa_Doseon-Sumi_stele-isu.jpg|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이수 |
− | 파일:BHST_Dogapsa_Doseon-Sumi_stele-gwibu-1.jpg|영암 도갑사 | + | 파일:BHST_Dogapsa_Doseon-Sumi_stele-side.jpg|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측면 |
+ | 파일:BHST_Dogapsa_Doseon-Sumi_stele-gwibu-1.jpg|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뒷면 | ||
</gallery> | </gallery> | ||
===영상=== | ===영상=== | ||
+ | * OPEN TV, "[https://www.youtube.com/watch?v=3vT-kDtpNyM (3D 입체영상)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YouTube, 게시일: 2016년 2월 8일.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3vT-kDtpNy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102번째 줄: | 115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김민규, | + | *김민규, 「〈도선국사·수미선사비〉의 제작 장인과 양식 연구」, 『문화재』48,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62-79쪽. |
*박준형, 「나의 첫 탁본 여행인 도갑사의 《월출산도선국사수미대선사비》와 《수미왕사비》의 탁본을 다녀와서…」, 『전라금석문연구』창간호, 전라금석문연구회, 2003, 5-6쪽. | *박준형, 「나의 첫 탁본 여행인 도갑사의 《월출산도선국사수미대선사비》와 《수미왕사비》의 탁본을 다녀와서…」, 『전라금석문연구』창간호, 전라금석문연구회, 2003, 5-6쪽. | ||
*이영숙, 「영암 도갑사 도선·수미비의 조성배경에 대한 고찰」, 『문화사학』32, 한국문화사학회, 2009, 173-193쪽. | *이영숙, 「영암 도갑사 도선·수미비의 조성배경에 대한 고찰」, 『문화사학』32, 한국문화사학회, 2009, 173-193쪽. | ||
115번째 줄: | 128번째 줄: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분류:탑비]] | [[분류:탑비]] | ||
− | [[분류:승탑/ | + | [[분류:승탑/교열완료]] |
2017년 12월 21일 (목) 14:27 기준 최신판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靈巖 道岬寺 道詵國師 守眉禪師碑) |
|
대표명칭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State Preceptor Doseon and Master Sumi of Dogapsa Temple, Yeongam |
한자 | 靈巖 道岬寺 道詵國師 守眉禪師碑 |
이칭 | 도갑사도선수미양대사비(道岬寺道詵守眉兩大師碑) |
주소 | 전남 영암군 군서면 도갑사로 306, 도갑사 (도갑리)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1395호 |
문화재 지정일 | 2004년 1월 26일 |
찬자 | 이경석(李景奭), 이수인(李壽仁), 정두경(鄭斗卿) |
서자 | 김광욱(金光煜), 오준(吳竣), 김시간(金時暕), 김비(金棐) |
각자 | 미상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도선(道詵), 수미(守眉) |
건립연대 | 1653년 |
|
목차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사(道岬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선각국사 도선(先覺國師 道詵, 827-898)과 조선시대의 승려인 묘각화상 수미(妙覺和尙 守眉)의 탑비.
내용
개요
전체 높이 약 4.8m, 폭 1.42m. 탑비는 귀부(龜趺), 비신(碑身)[1], 이수(螭首)를 모두 갖춘 형태로, 도갑사(道岬寺)의 부도전(浮屠田) 부근에 건립된 보호각 안에 보존되어 있다.[2]
보통 비는 한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는데 반해 이 비는 비명이 도선국사(道詵國師)와 수미선사(守眉禪師) 두 사람의 공동명의로 되어 있다. 비문의 내용은 주로 도선국사에 관한 것이며, 수미선사에 대해서는 1457년에 도갑사를 중창한 내용이 전하고 있다.[3]
이 비는 1636년(인조 14) 4월에 건립을 시작하여 17년 후인 1653년(효종 4) 4월에 완료되었다. 비문에 따르면 본래 이곳에 도선국사의 고비(古碑)[4]가 있었는데 비바람으로 글자가 마멸되고 귀부의 머리가 결락되는 등 훼손이 심하여 다시 세우게 되었다고 한다. 도갑사를 중창한 옥습대사(玉習大師)가 3년에 걸쳐 각 사찰에 다니면서 찬조를 구하는 한편, 신도들로부터 모금하고 한양까지 가서 비문을 청탁하였다. 비석에 사용된 돌은 전라도 관찰사의 도움으로 부역을 통해 여산(礪山)[5] 에서 운반해 왔으며, 돌이 도착한 이후 7개월 만에 공사가 완료되었다고 한다.[6]
귀부의 머리는 오른쪽으로 약간 튼 형태인데 입에는 상·하 8개의 이빨로 여의주를 꽉 물고 있는 형상이다. 등에는 전형적인 귀갑문 대신 평행 사선문(斜線紋)으로 정연하게 음각하였다. 비신은 귀부와 이수와는 달리 대리석으로 조성했다. 비신의 양 측면에는 운룡문(雲龍紋)이 가득 양각되었는데, 매우 사실적으로 조각되어 마치 살아 있는 쌍룡이 구름을 타고 승천하는 착각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이수에는 운문 위에 2마리의 용이 각각 이수의 양끝을 물고 있는 형상을 지니고 있다.[7]
1974년 5월 22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8호로 지정되었고, 2004년 1월 26일에 보물 제1395호로 승격되었다.
비문
비문은 전면에 2개, 후면에 1개 등 모두 3개의 내용으로 구분되어 일반적인 비문과는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세 부분의 명문이 모두 동일한 건립 연대를 나타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부분의 찬자(撰者)와 서자(書者)가 모두 다른 것은 비석을 다시 세우기로 계획한 시점부터 모금 기간과 공사 기간을 합쳐 21년이라는 긴 기간이 걸렸기 때문으로 보인다.[8]
전면
전면의 상단에는 김광욱(金光煜)이 쓴 '월출산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 비명(月出山 道岬寺 道詵國師守眉大禪師碑銘)'이라는 전액(篆額)이 있다. 그 아래에 있는 '월출산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대선사 비명병서(月出山 道岬寺 道詵國師守眉大禪師碑銘幷序)'라는 제목의 글은 이경석(李景奭)이 짓고 오준(吳竣)이 쓴 것이다. 비문의 말미에 '1636년 4월에 시작하여 1653년 4월에 세웠다(崇禎 丙子 四月日始 癸巳四月日立)'라고 건립연대가 있다. 그 아래로 찬자(撰者), 서자(書者), 전서자(篆書者)의 직함이 있다. 비문의 내용은 도선국사(道詵國師)의 일생을 정리한 것이 대부분으로, 수미선사(守眉禪師)에 대한 내용은 기술되어 있지 않다.[9]
전면의 좌측에 위치한 추기(追記)는 홍문관 부수찬인 이수인(李壽仁)이 짓고, 진사 김시간(金時暕)이 쓴 것으로 연대는 없다. 추기의 내용은 비석 건립 과정이 전반부를 차지하고 후반부는 도선국사의 생애를 간단하게 서술하고 있다.[10]
후면
후면의 상단에는 김시간(金時暕)이 쓴 '국사도선비음명(國師道詵碑陰銘)'이라는 전자(篆字)[11] 글씨체의 제목이 있다. 그 아래로 정두경(鄭斗卿)이 찬하고 김비(金棐)가 쓴 음기(陰記)[12]가 있다. 음기 말미에 찬자(撰者), 서자(書者), 전서자(篆書者)의 직함과 성명이 병기되어 있으며, 끝에 '1636년 4월에 시작하여 1653년 4월에 세웠다(崇禎 丙子 四月日始 癸巳四月日立)'라는 건립연대가 있다. 이 아래쪽에는 음기와 다른 서체와 작은 글씨로 '길이가 18척 너비가 9척(長十八尺 廣九尺)'이라는 비석의 규모를 새겨 놓기도 했다. 음기의 내용은 전면의 이경석(李景奭)의 글과 크게 다르지 않아서 도선국사(道詵國師)의 이야기만 담고 있을 뿐 수미선사(守眉禪師)의 내용은 전혀 없다. 음기 옆으로는 인평대군(麟坪大君)을 시작으로 당시 정치인들의 직함과 성명이 나열되어 있다. 음기와 인평대군 등 관료 직함 아래로는 산중질(山中秩), 시주질(施主秩), 공장질(工匠秩) 등이 적혀 있다.[13]
지식관계망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영암 도갑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도선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수미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이경석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이수인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정두경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김광욱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김시간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김비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OPEN TV, "(3D 입체영상)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YouTube, 게시일: 2016년 2월 8일.
주석
- ↑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 ↑ 최인선, "도갑사도선수미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최인선, "도갑사도선수미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오래된 비석
- ↑ "여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최연식, "영암 도갑사 도선 국사·수미 선사비",
『디지털영암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최연식, "영암 도갑사 도선 국사·수미 선사비",
『디지털영암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민규, 「〈도선국사·수미선사비〉의 제작 장인과 양식 연구」, 『문화재』48,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63-65쪽.
- ↑ 김민규, 「〈도선국사·수미선사비〉의 제작 장인과 양식 연구」, 『문화재』48,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65쪽.
- ↑ "전자", 문화콘텐츠닷컴(문화원형 용어사전)
『네이버지식백과』online . - ↑ 비갈(碑碣)의 등뒤에 새긴 글
- ↑ 김민규, 「〈도선국사·수미선사비〉의 제작 장인과 양식 연구」, 『문화재』48,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65쪽.
참고문헌
- 김민규, 「〈도선국사·수미선사비〉의 제작 장인과 양식 연구」, 『문화재』48,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62-79쪽.
- 박준형, 「나의 첫 탁본 여행인 도갑사의 《월출산도선국사수미대선사비》와 《수미왕사비》의 탁본을 다녀와서…」, 『전라금석문연구』창간호, 전라금석문연구회, 2003, 5-6쪽.
- 이영숙, 「영암 도갑사 도선·수미비의 조성배경에 대한 고찰」, 『문화사학』32, 한국문화사학회, 2009, 173-193쪽.
- 이지관, "영암 도갑사 도선 수미 양대사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조선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9, 400-455쪽.
- "도갑사도선수미양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최인선, "도갑사도선수미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최연식, "영암 도갑사 도선 국사·수미 선사비",
『디지털영암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