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유히의 생애)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인물정보 | ||
+ | |사진=한글팀 일러 조선중년문관.png | ||
+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유희 | ||
+ | |한자표기=柳僖 | ||
+ | |영문명칭= | ||
+ | |본관=진주(晉州) | ||
+ | |이칭=경(儆) | ||
+ | |시호= | ||
+ | |호=서파(西陂)·방편자(方便子)·남악(南嶽) 유한규(柳漢奎) | ||
+ | |자=계중(戒仲) | ||
+ | |생년= 1773 | ||
+ | |몰년= 1837 | ||
+ | |출생지= | ||
+ | |사망지= | ||
+ | |시대= | ||
+ | |국적= | ||
+ | |대표저서=[[언문지]] | ||
+ | |대표직함= | ||
+ | |배우자= | ||
+ | |부= 유한규(柳漢奎) | ||
+ | |모=[[사주당이씨]] | ||
+ | |자녀= | ||
+ | |전임자= | ||
+ | |후임자= | ||
+ | |상훈= | ||
+ | |능묘= | ||
+ | |성격= | ||
+ | |유형= | ||
+ | }} | ||
=='''정의'''== | =='''정의'''== | ||
− | + | 조선 후기의 학자이다. | |
− | == | + | ==내용== |
− | === | + | ===[[유희]]의 생애=== |
− | + | 영조 말기 경기도 용인군 막현면 마사에서 태어났다. 자는 계중, 호는 방편자, 남악, 서파였다. 그의 부친은 『[[규합총서]]』를 저술한 [[빙허각이씨]]와 남매지간인 [[유한규|유한규(柳漢奎)]]이며 모친은 태종의 11대손인 전주이씨 [[이창직|이창직(李昌㮨)]]의 딸 [[사주당이씨 | 사주당(師朱堂)]]이다. 어릴 때부터 한문에 능했으며 18세에 과거 초시에 합격했으나 두메에 들어가 20년 동안 과거를 보지 않았다. 37세부터는 충청도 단양으로 이향하였다가 47세에는 선산이 있는 용인으로 다시 환향하였다. 그의 모친인 [[사주당이씨]]는 [[강필효 | 해은 강필효(海隱 姜必孝)]], [[이양연 | 임연 이양연(臨淵 李亮淵)]]과 같은 당대의 학자와 문신이 찾아갈 만큼 학식이 고명하고 저서가 많았다. 그러나 임종 직전 '여자의 글은 용납되지 않고 비웃음만 사기 쉬우니 다 태워버려라' 하고는 [[태교신기언해 | 『태교신기(胎敎新記)』]]만을 남기게 하였다. [[유희]]는 1829년 57세의 나이로 회시에 합격했으나 1837년 2월 용인 남악 신사에서 65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ref>김민주, 「柳僖 선생의 生涯와 學問」, 『10월의 문화인물』, 국립국어연구원, 2000, 2-5쪽. </ref> | |
− | === | + | ===[[유희]]의 학문과 편찬활동=== |
− | + | [[유희]]는 양명학에서 영향을 받은 [[강화학파]]의 학자 [[정동유]]의 제자이자 언어학자로 잘 알려져 있다. 실재로 유희가 남긴 『[[언문지|언문지(諺文志)]]』, 『[[물명고|물명고(物名考)]]』 등은 조선의 자학(字學), 언어학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 서적이다. 어려서부터 경학에도 능하여 『[[역대정삭고|역대정삭고(歷代正朔攷)]]』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평생 학문에 매진하여 연구한 초고가 100여 권이나 되는데 이 중 그의 연구서를 집대성한 것이 『[[문통|문통(文通)]]』이다. | |
− | 그 중에 19권인 | + | 그 중에 19권인 『[[언문지|언문지(諺文志)]]』와 『[[태교신기언해|태교신기언해(胎敎新記諺解)]]』가 잔존하고 유실되었던 『[[물명고|물명고(物名考)]]』도 재발견되었다. |
− | 뿐만 아니라 [[量田議]], [[律樂類說]], [[歷象志]] 등의 저술은 | + | 뿐만 아니라 『[[양전의|양전의(量田議)]]』, 『[[율악유설|율악유설(律樂類說)]]』, 『[[역상지|역상지(歷象志)]]』 등의 저술은 말로서만이 아닌 실제로 고증하려는 학자의 깊은 노력과 성찰이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ref>김민주, 「柳僖 선생의 生涯와 學問」, 『10월의 문화인물』, 국립국어연구원, 2000, 3-6쪽. </ref> |
+ | |||
+ | {{연계자원정보 | ||
+ | |연계자원1=[[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
+ | |연계자원2= | ||
+ | |연계자원3=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언문지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15/A01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04/A204.htm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지식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13/A013.htm 화동정음통석운고 지식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12/A012.htm 훈몽자회 지식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30/A030.htm 태교신기언해 지식관계망]'''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언문지]] || [[유희]]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정동유]] || [[유희]]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사주당이씨]] || [[유희]]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 [[태교신기언해]] || [[사주당이씨]]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태교신기언해]] || [[유희]] || A는 B에 의해 언해되었다 || A ekc:translator B | ||
+ | |- | ||
+ | | [[강화학파]] || [[정제두]]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유한구]] || [[유희]]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 [[유한구]] || [[빙허각이씨]] || A는 여형제 B가 있다 || A ekc:hasSister B | ||
+ | |- | ||
+ | | [[규합총서]] || [[빙허각이씨]]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정제두]] || [[이광사]]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 ||
=='''주석'''== | =='''주석'''== | ||
19번째 줄: | 91번째 줄: |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柳僖의 生涯와 國語學 資料集』, 한국어문회, 2000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柳僖의 生涯와 國語學 資料集』, 한국어문회, 2000 | ||
− | [[분류: | + | [[분류:한글고문서]][[분류:인물]] |
2017년 11월 24일 (금) 12:37 기준 최신판
유희(柳僖) | |
대표명칭 | 유희 |
---|---|
한자표기 | 柳僖 |
생몰년 | 1773-1837 |
본관 | 진주(晉州) |
이칭 | 경(儆) |
호 | 서파(西陂)·방편자(方便子)·남악(南嶽) 유한규(柳漢奎) |
자 | 계중(戒仲) |
대표저서 | 언문지 |
부 | 유한규(柳漢奎) |
모 | 사주당이씨 |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이다.
내용
유희의 생애
영조 말기 경기도 용인군 막현면 마사에서 태어났다. 자는 계중, 호는 방편자, 남악, 서파였다. 그의 부친은 『규합총서』를 저술한 빙허각이씨와 남매지간인 유한규(柳漢奎)이며 모친은 태종의 11대손인 전주이씨 이창직(李昌㮨)의 딸 사주당(師朱堂)이다. 어릴 때부터 한문에 능했으며 18세에 과거 초시에 합격했으나 두메에 들어가 20년 동안 과거를 보지 않았다. 37세부터는 충청도 단양으로 이향하였다가 47세에는 선산이 있는 용인으로 다시 환향하였다. 그의 모친인 사주당이씨는 해은 강필효(海隱 姜必孝), 임연 이양연(臨淵 李亮淵)과 같은 당대의 학자와 문신이 찾아갈 만큼 학식이 고명하고 저서가 많았다. 그러나 임종 직전 '여자의 글은 용납되지 않고 비웃음만 사기 쉬우니 다 태워버려라' 하고는 『태교신기(胎敎新記)』만을 남기게 하였다. 유희는 1829년 57세의 나이로 회시에 합격했으나 1837년 2월 용인 남악 신사에서 65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1]
유희의 학문과 편찬활동
유희는 양명학에서 영향을 받은 강화학파의 학자 정동유의 제자이자 언어학자로 잘 알려져 있다. 실재로 유희가 남긴 『언문지(諺文志)』, 『물명고(物名考)』 등은 조선의 자학(字學), 언어학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 서적이다. 어려서부터 경학에도 능하여 『역대정삭고(歷代正朔攷)』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평생 학문에 매진하여 연구한 초고가 100여 권이나 되는데 이 중 그의 연구서를 집대성한 것이 『문통(文通)』이다. 그 중에 19권인 『언문지(諺文志)』와 『태교신기언해(胎敎新記諺解)』가 잔존하고 유실되었던 『물명고(物名考)』도 재발견되었다. 뿐만 아니라 『양전의(量田議)』, 『율악유설(律樂類說)』, 『역상지(歷象志)』 등의 저술은 말로서만이 아닌 실제로 고증하려는 학자의 깊은 노력과 성찰이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2]
연계 자원 보러 가기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지식 관계망
- 언문지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언문지 | 유희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정동유 | 유희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사주당이씨 | 유희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태교신기언해 | 사주당이씨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태교신기언해 | 유희 | A는 B에 의해 언해되었다 | A ekc:translator B |
강화학파 | 정제두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유한구 | 유희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유한구 | 빙허각이씨 | A는 여형제 B가 있다 | A ekc:hasSister B |
규합총서 | 빙허각이씨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정제두 | 이광사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주석
- ↑ 김민주, 「柳僖 선생의 生涯와 學問」, 『10월의 문화인물』, 국립국어연구원, 2000, 2-5쪽.
- ↑ 김민주, 「柳僖 선생의 生涯와 學問」, 『10월의 문화인물』, 국립국어연구원, 2000, 3-6쪽.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柳僖의 生涯와 國語學 資料集』, 한국어문회,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