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탕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창고로서의 내탕고) |
(→참고문헌)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단체정보 |
− | |사진= | + | |사진=한글팀 내탕고 내탕고.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Travelinfo.kto?func_name=myStoryView&boardDTO.bbs_id=BBS_bbs3&boardDTO.tag=&boardDTO.ntce_at=D&rdcnt_sort=&recomend_sort=&creat_sort=DESC&boardDTO.class_code1=&boardDTO.search_condition=01&boardDTO.search_name=&pageDTO.rows_page=10&pageDTO.curr_page=95&boardDTO.bbs_sn=1640841 1박2일이 찾았던 경복궁근정전이 가장 아름답게보이는 곳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 작성일:2012년 02월 08일. |
|대표명칭=내탕고 | |대표명칭=내탕고 | ||
|한자표기=內帑庫 | |한자표기=內帑庫 |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 | |이칭= | + | |이칭= |
− | |소재지= | + | |유형= |
+ | |창립자= | ||
+ | |창립시대=조선 | ||
+ | |창립일= | ||
+ | |변경일= | ||
+ | |해체일= | ||
+ | |주요업무= | ||
+ | |담당업무=왕실 재산 보관 창고 | ||
+ | |관련기관= | ||
+ | |관련단체=내수사 | ||
+ | |소재지=서울특별시 [[경복궁 사정전]] | ||
|웹사이트= | |웹사이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의== | ==정의== | ||
− | 조선시대 왕실의 재물을 보관하던 | + | 조선시대 왕실의 재물을 보관하던 창고이자 그것을 관리하던 기관이다. |
==내용== | ==내용== | ||
===기관으로서의 내탕고, 내수사=== | ===기관으로서의 내탕고, 내수사=== | ||
− | + | 내수사(內需司)는 왕실의 사유재산을 관리하는 기관으로 내탕고는 때로 내수사를 지칭하기도 하였다. | |
− | <ref>정현재, | + | <ref>정현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577 내탕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내수사는 함흥에 있는 [[조선 태조]] | + | 내수사는 함흥에 있는 [[조선 태조]]와 [[조선 태종]]의 사가(私家) 재산을 관리하던 부서였다. 그러다 [[조선 세종]] 때 그 업무가 확대되어 국가 공식기구로 등록되었다. [[조선 성종]] 대 이후 내수사에서 관리하는 왕실농장의 고리대금이 심해지자, 왕실의 재산은 모두 국가의 재산인데 왕실이 사사로이 재산을 축적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어나 내수사 폐지가 논의된다. |
<ref>이숙연, 「조선전기(朝鮮前期) 내수사(內需司) 폐지 논쟁과 군주(君主)의 위상」, 『대동문화연구』 84,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137-140쪽.</ref> | <ref>이숙연, 「조선전기(朝鮮前期) 내수사(內需司) 폐지 논쟁과 군주(君主)의 위상」, 『대동문화연구』 84,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137-140쪽.</ref> | ||
− | 그러나 매번 논의에만 그치다가 1801년 [[조선 순조]]대에 내수사의 노비가 혁파되었고 [[조선 고종]]대에 폐지되었다. | + | 그러나 매번 논의에만 그치다가 1801년 [[조선 순조]] 대에 내수사의 노비가 혁파되었고 [[조선 고종]]대에 폐지되었다. |
− | <ref>정현재, | + | <ref>정현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497 내수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창고로서의 내탕고=== | ===창고로서의 내탕고=== | ||
− | 내탕고는 금, 은, 비단, 음식 등 왕실의 재물을 보관하던 창고이다. 가뭄이나 홍수 같은 천재지변이 일어나 백성이 곤궁하게 되었을 때, 이 내탕고의 | + | 내탕고는 금, 은, 비단, 음식 등 왕실의 재물을 보관하던 창고이다. 가뭄이나 홍수 같은 천재지변이 일어나 백성이 곤궁하게 되었을 때, 이 내탕고의 재물로써 구휼하기도 하고, 관료들에게 포상을 내리기도 하였다. 또 주변 사람들에게 선물하는 데 이용하기도 하였다. ([[정조가 큰외숙모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에서 그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내탕고의 재물은 왕실의 사사로운 사용 뿐 아니라, 왕실의 체면과 권위를 유지하는 재원으로 기능하기도 하였다.<ref>정현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577 내탕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경복궁 사정전]]의 앞에 있으며, 총 10개의 방으로 나뉘어있다. 천자문의 앞 10자를 따서 배열 순서대로 이름을 붙였다. 맨 처음 '천자고', '지자고' 부터 마지막 '월자고'까지이다. | [[경복궁 사정전]]의 앞에 있으며, 총 10개의 방으로 나뉘어있다. 천자문의 앞 10자를 따서 배열 순서대로 이름을 붙였다. 맨 처음 '천자고', '지자고' 부터 마지막 '월자고'까지이다. | ||
<ref>박석희·최식원·황금희, 『경복궁에서 세종과 함께 찾는 조선의 정체성』, 미다스북스, | <ref>박석희·최식원·황금희, 『경복궁에서 세종과 함께 찾는 조선의 정체성』, 미다스북스, | ||
2013.</ref> | 2013.</ref> | ||
+ | |||
+ | ==지식관계망== | ||
+ | * '''정조가 큰외숙모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148/A14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내탕고]] || [[조선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내탕고]] || [[조선 태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정조가 큰외숙모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 [[내탕고]]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 | ||
+ | | [[내탕고]] || [[경복궁]] || A는 B에 위치한다 || A dcterms:isPartOf B | ||
+ |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1801 || [[조선 순조]]가 [[내탕고]]의 노비를 혁파하였다. | ||
+ | |- | ||
+ | |조선후기 || [[조선 고종]]이 [[내탕고]]를 폐지하였다. | ||
+ | |} | ||
+ | |||
+ | ===공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37.5790885||126.9748553||[[내탕고]]는 [[경복궁]]에 있다.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 : 한글팀 내탕고 사정전구조도.JPG | 사정전 구조도 | ||
+ | </gallery>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더 | + | ===더 읽을 거리=== |
− | *지승종, 「조선전기 내수사의 성격과 내수사노비」, 『한국학보』11, 일지사, 1985. | + | *논문 |
− | [[분류: | + | *#지승종, 「조선전기 내수사의 성격과 내수사노비」, 『한국학보』11, 일지사, 1985. |
− | [[분류: | + | [[분류:한글고문서]] |
+ | [[분류:단체]] | ||
+ | [[분류:문화유산]] |
2017년 11월 24일 (금) 22:13 기준 최신판
내탕고(內帑庫) | |
대표명칭 | 내탕고 |
---|---|
한자표기 | 內帑庫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경복궁 사정전 |
창립시대 | 조선 |
담당업무 | 왕실 재산 보관 창고 |
관련단체 | 내수사 |
목차
정의
조선시대 왕실의 재물을 보관하던 창고이자 그것을 관리하던 기관이다.
내용
기관으로서의 내탕고, 내수사
내수사(內需司)는 왕실의 사유재산을 관리하는 기관으로 내탕고는 때로 내수사를 지칭하기도 하였다. [1] 내수사는 함흥에 있는 조선 태조와 조선 태종의 사가(私家) 재산을 관리하던 부서였다. 그러다 조선 세종 때 그 업무가 확대되어 국가 공식기구로 등록되었다. 조선 성종 대 이후 내수사에서 관리하는 왕실농장의 고리대금이 심해지자, 왕실의 재산은 모두 국가의 재산인데 왕실이 사사로이 재산을 축적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어나 내수사 폐지가 논의된다. [2] 그러나 매번 논의에만 그치다가 1801년 조선 순조 대에 내수사의 노비가 혁파되었고 조선 고종대에 폐지되었다. [3]
창고로서의 내탕고
내탕고는 금, 은, 비단, 음식 등 왕실의 재물을 보관하던 창고이다. 가뭄이나 홍수 같은 천재지변이 일어나 백성이 곤궁하게 되었을 때, 이 내탕고의 재물로써 구휼하기도 하고, 관료들에게 포상을 내리기도 하였다. 또 주변 사람들에게 선물하는 데 이용하기도 하였다. (정조가 큰외숙모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에서 그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내탕고의 재물은 왕실의 사사로운 사용 뿐 아니라, 왕실의 체면과 권위를 유지하는 재원으로 기능하기도 하였다.[4] 경복궁 사정전의 앞에 있으며, 총 10개의 방으로 나뉘어있다. 천자문의 앞 10자를 따서 배열 순서대로 이름을 붙였다. 맨 처음 '천자고', '지자고' 부터 마지막 '월자고'까지이다. [5]
지식관계망
- 정조가 큰외숙모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내탕고 | 조선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내탕고 | 조선 태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조가 큰외숙모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 내탕고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내탕고 | 경복궁 | A는 B에 위치한다 | A dcterms:isPartOf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801 | 조선 순조가 내탕고의 노비를 혁파하였다. |
조선후기 | 조선 고종이 내탕고를 폐지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90885 | 126.9748553 | 내탕고는 경복궁에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정현재, "내탕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숙연, 「조선전기(朝鮮前期) 내수사(內需司) 폐지 논쟁과 군주(君主)의 위상」, 『대동문화연구』 84,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137-140쪽.
- ↑ 정현재, "내수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현재, "내탕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석희·최식원·황금희, 『경복궁에서 세종과 함께 찾는 조선의 정체성』, 미다스북스, 2013.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지승종, 「조선전기 내수사의 성격과 내수사노비」, 『한국학보』11, 일지사,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