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 함녕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분류: | + | {{유물유적정보 |
+ | |사진=한글팀 덕수궁 함녕전 전경jpg.jpg | ||
+ | |사진출처=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KS_01_02_01&VdkVgwKey=12,08200000,11&queryText=* 함녕전]", 문화유산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 ||
+ | |대표명칭=덕수궁 함녕전 | ||
+ | |영문명칭= | ||
+ | |한자표기=德壽宮 咸寧殿 | ||
+ | |지정번호=보물 제820호 | ||
+ | |지정일=1980년 01월 08일 | ||
+ | |이칭= | ||
+ | |유형=유적건조물 | ||
+ | |시대=조선 | ||
+ | |소장처= | ||
+ | |경도=37.566009 | ||
+ | |위도=126.975114 | ||
+ | |수량= | ||
+ | |관련인물= | ||
+ | |관련단체= | ||
+ | |관련장소= | ||
+ | |관련물품= | ||
+ | |관련유물유적=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 ||
+ | }} <!-- |소유자=국유 | ||
+ | |관리자=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 | ||
+ | ==정의== | ||
+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덕수궁]] 내부에 위치한 전각이다. | ||
+ | |||
+ | ==내용== | ||
+ | 함녕전(咸寧殿)은 고종황제가 거처하던 황제의 생활공간인 침전이다. 1897년 (광무 1)에 지었는데 1904년(광무 8) 수리공사 중 불에 타, 지금 있는 건물은 그해 12월에 다시 지은 것이다. 이곳은 [[조선 순종|순종]]에게 왕위를 물려 준 뒤 1919년 1월 21일 [[조선 고종|고종황제]]가 돌아가신 곳이기도 하다. 함녕전은 조선 후기 마지막 침전 건물로 건축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8200000,11 덕수궁 함녕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규모 및 외관=== | ||
+ | 규모는 앞면 3칸·옆면 4칸이며 서쪽 뒤로 4칸을 덧붙여 전체는 ㄱ자형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인데 합각에 화문장처럼 아름다운 문양을 새겨 넣었다. 또 지붕 귀마루에 잡상을 나열한 점은 침전 건축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특이한 구성이다. 처마는 겹처마로 새부리 모양으로 짜 넣어 간결하게 장식한 익공 양식이며 구름과 덩굴문양으로 꾸몄다. 건물의 천장은 밖에서 볼 때 살짝 가려지는 우물 정(井)자 모양의 천장으로 꾸몄고, 네 면 모든 칸에 벽을 두르지 않고 창을 달아 놓았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8200000,11 덕수궁 함녕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
+ | ===외부 환경의 변화=== | ||
+ | 한편 함녕전 주변에는 담과 행각으로 둘러싸여 있었는데 정문인 광명문(光明門)을 비롯해 치중문 응춘문 선양문 돈신문 안창문 청희문 봉양문 등 출입문과 정이재 양이재 등 건물도 있었으나 일제시기 헐려 없어지거나 왜곡 변질되고 만다. 함녕전의 정문인 광명문은 덕수궁에 이왕직(李王職)미술관이 세워지면서 1938년 현재의 중화문 남서쪽으로 옮겨진다. 함녕전은 정면 9간 측면 4간 겹처마 팔작지붕이다.<ref>"함녕전",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통건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 』<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네이버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3229&cid=49270&categoryId=49270 함녕전]",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 | ===왕실 의례장소로서의 함녕전=== | ||
+ | 한편 함녕전은 각종 왕실의례의 주 무대로서, [[조선 고종 | 고종]]의 후궁인 [[순원황후]]의 책봉식, 고종의 탄신 50주년 축하 연회([[고종황제신축진연]]), [[조선 순종 | 순종]]과 [[순정황후]]의 가례 등이 이곳에서 진행되었다. 순원황후의 사망한 곳도 여기이다.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홀기류 한글고문서 지식 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14/A21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덕수궁 함녕전]] || [[순헌황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순헌황후]] || [[순비책봉의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고종황제신축진연]] ||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덕수궁 함녕전]] || [[고종황제신축진연]]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A ekc:isPerformedAt B | ||
+ | |- | ||
+ | |[[덕수궁]] || [[덕수궁 함녕전]] || A는 B가 있는 곳이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덕수궁 함녕전]] || [[순종 순정황후 가례]]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A ekc:isPerformedAt B | ||
+ | |- | ||
+ | |[[순종 순정황후 가례]]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700" height="4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A316/S001/S001.htm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A316/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한글팀 덕수궁 함녕전 외부.jpg | 함녕전 비석 | ||
+ | 파일:한글팀 덕수궁 함녕전 현판.jpg | 함녕전 현판 | ||
+ | </gallery>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참고문헌== | ||
+ | ===더 읽을 거리=== | ||
+ | *논문 | ||
+ | **이민원, 「조일본의 침략과 대한제국의 경운궁」,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22,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4 | ||
+ | |||
+ | |||
+ | [[분류:한글고문서]] | ||
+ | [[분류 : 문화유산]] |
2017년 11월 25일 (토) 01:07 기준 최신판
덕수궁 함녕전 (德壽宮 咸寧殿) |
|
대표명칭 | 덕수궁 함녕전 |
---|---|
한자표기 | 德壽宮 咸寧殿 |
유형 | 유적건조물 |
시대 | 조선 |
지정번호 | 보물 제820호 |
지정일 | 1980년 01월 08일 |
관련유물유적 |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
|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덕수궁 내부에 위치한 전각이다.
내용
함녕전(咸寧殿)은 고종황제가 거처하던 황제의 생활공간인 침전이다. 1897년 (광무 1)에 지었는데 1904년(광무 8) 수리공사 중 불에 타, 지금 있는 건물은 그해 12월에 다시 지은 것이다. 이곳은 순종에게 왕위를 물려 준 뒤 1919년 1월 21일 고종황제가 돌아가신 곳이기도 하다. 함녕전은 조선 후기 마지막 침전 건물로 건축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1]
규모 및 외관
규모는 앞면 3칸·옆면 4칸이며 서쪽 뒤로 4칸을 덧붙여 전체는 ㄱ자형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인데 합각에 화문장처럼 아름다운 문양을 새겨 넣었다. 또 지붕 귀마루에 잡상을 나열한 점은 침전 건축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특이한 구성이다. 처마는 겹처마로 새부리 모양으로 짜 넣어 간결하게 장식한 익공 양식이며 구름과 덩굴문양으로 꾸몄다. 건물의 천장은 밖에서 볼 때 살짝 가려지는 우물 정(井)자 모양의 천장으로 꾸몄고, 네 면 모든 칸에 벽을 두르지 않고 창을 달아 놓았다.[2]
왕실 의례장소로서의 함녕전
한편 함녕전은 각종 왕실의례의 주 무대로서, 고종의 후궁인 순원황후의 책봉식, 고종의 탄신 50주년 축하 연회(고종황제신축진연), 순종과 순정황후의 가례 등이 이곳에서 진행되었다. 순원황후의 사망한 곳도 여기이다.
지식 관계망
- 홀기류 한글고문서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덕수궁 함녕전 | 순헌황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순헌황후 | 순비책봉의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고종황제신축진연 |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덕수궁 함녕전 | 고종황제신축진연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A ekc:isPerformedAt B |
덕수궁 | 덕수궁 함녕전 | A는 B가 있는 곳이다 | A dcterms:hasPart B |
덕수궁 함녕전 | 순종 순정황후 가례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A ekc:isPerformedAt B |
순종 순정황후 가례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민원, 「조일본의 침략과 대한제국의 경운궁」,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22,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