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기아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한글고문서_개념기사]]
+
{{개념정보
 +
|사진=한글팀 승기아탕.JPG
 +
|사진출처=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1008&index_id=cp10080121&content_id=cp100801210001&search_left_menu= 승기악탕  '도미면']", 재미있는 세시음식 이야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대표명칭=승기아탕
 +
|한자표기=勝只雅湯
 +
|영문명칭=
 +
|이칭=승기악탕, 승가기탕, 도미면, 도미찜
 +
|유형=
 +
|관련개념=
 +
}}
 +
==정의==
 +
숭어·잉어·조기·도미 등을 구워 채소·국수 등과 함께 끓인 음식이다.
 +
==내용==
 +
===[[승기아탕]]의 유래===
 +
[[조선 성종]] 때에 함경도의 국경을 변방 오랑캐들이 수시로 침입하자 [[허종|허종(許琮)]]에게 의주를 통솔하게 하였다. 의주 백성들은 허종을 환영하는 뜻에서 도미에 갖은 고명을 한 특별한 음식을 만들어 대접하였다. [[허종]]이 난생 처음 대하는 음식이어서 옆에 있던 사람에게 음식의 이름을 물었다. 그는 [[허종]]을 위하여 처음 만들었으므로 아직 이름이 없다고 하였다. 허종은 이 음식의 맛이 풍류와 기생보다 낫다고 생각하여 그 이름을 '승기악탕'이라 지었다고 한다.<ref>강인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160 승기악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기록에 따라 승기악탕이라고도 한다.
 +
 
 +
===[[승기아탕]]의 조리법===
 +
채소를 준비하여 무를 잘게 채치고 숙주나물을 씻어 꼬리를 따놓는다. 그리고 황화채(원추리꽃 말린 것)는 불리고 미나리는 한 치 가량씩 잘라 놓는다. 표고버섯과 목이버섯을 더운 물에 불려 기름에 볶아 골패쪽(마름모) 모양으로 썬다. 달걀도 흰자와 노른자를 각각 부쳐서 역시 골패쪽 형태로 썬다. 모든 재료를 큰 접시에 색을 맞추어 모양 있게 담은 뒤에 맨 위에 달걀 한 개를 깨끗이 씻어 얹어 놓는다. 그런 다음 고기 한 접시를 갖은 양념을 하여 재어 놓는다. 도미 한 마리를 비늘을 긁고 내장을 빼낸 뒤에 잘 씻는다. 도미의 살에 드문드문 칼집을 넣는다. 진간장을 발라 살짝 구워서 기름을 바른 다음 냄비에 담아놓는다. 상에 내기 직전, 도미가 담긴 냄비에 물을 붓고 앞서 재어놓은 고기를 넣어 한참 끓이다가 접시에 준비한 채소를 넣어 익히면 된다.<ref>강인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160 승기악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관련 기록===
 +
[[승기아탕]]은 [[빙허각이씨]]가 쓴 『[[규합총서]]』와 [[송영로 처 연안 이씨]]가 쓴 『[[주식시의]]』에 등장한다. 유래는 [[홍선표]]가 1940년 저술한 『[[조선요리학]]』에 전해져 온다.
 +
{{연계자원정보
 +
|연계자원1=[[한글 고문헌에 담긴 조선시대의 맛]]
 +
|연계자원2=
 +
|연계자원3=
 +
}}
 +
 
 +
==지식 관계망==
 +
*한글고문헌에 담긴 조선시대의 맛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05/A20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69/A069.htm 규합총서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70/A070.htm 주식시의 지식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승기아탕]] || [[허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주식시의]] || [[승기아탕]]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규합총서]] || [[승기아탕]]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조선요리학]] || [[승기아탕]]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규합총서]] || [[빙허각이씨]]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주식시의]] || [[송영로 처 연안 이씨]]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한글팀 승기아탕.JPG|승기아탕
 +
</gallery>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김상보, 『조선왕조 궁중음식』, 수학사, 2004.
 +
**한복진, 『음식고전 : 옛 책에서 한국 음식의 뿌리를 찾다』, 현암사, 2016.
 +
*웹자원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1008&index_id=cp10080121&content_id=cp100801210001&search_left_menu= 승기악탕  '도미면']", 재미있는 세시음식 이야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
===유용한 정보===
 +
*"[http://home.ebs.co.kr/ebscampaign/etc/2/htmlMenu 천년의 밥상]", EBS캠페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EBS』<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교육방송공사.
 +
[[분류:한글고문서]][[분류:개념]]

2017년 11월 30일 (목) 15:39 기준 최신판

승기아탕
(勝只雅湯)
"승기악탕 '도미면'", 재미있는 세시음식 이야기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대표명칭 승기아탕
한자표기 勝只雅湯
이칭 승기악탕, 승가기탕, 도미면, 도미찜


정의

숭어·잉어·조기·도미 등을 구워 채소·국수 등과 함께 끓인 음식이다.

내용

승기아탕의 유래

조선 성종 때에 함경도의 국경을 변방 오랑캐들이 수시로 침입하자 허종(許琮)에게 의주를 통솔하게 하였다. 의주 백성들은 허종을 환영하는 뜻에서 도미에 갖은 고명을 한 특별한 음식을 만들어 대접하였다. 허종이 난생 처음 대하는 음식이어서 옆에 있던 사람에게 음식의 이름을 물었다. 그는 허종을 위하여 처음 만들었으므로 아직 이름이 없다고 하였다. 허종은 이 음식의 맛이 풍류와 기생보다 낫다고 생각하여 그 이름을 '승기악탕'이라 지었다고 한다.[1] 기록에 따라 승기악탕이라고도 한다.

승기아탕의 조리법

채소를 준비하여 무를 잘게 채치고 숙주나물을 씻어 꼬리를 따놓는다. 그리고 황화채(원추리꽃 말린 것)는 불리고 미나리는 한 치 가량씩 잘라 놓는다. 표고버섯과 목이버섯을 더운 물에 불려 기름에 볶아 골패쪽(마름모) 모양으로 썬다. 달걀도 흰자와 노른자를 각각 부쳐서 역시 골패쪽 형태로 썬다. 모든 재료를 큰 접시에 색을 맞추어 모양 있게 담은 뒤에 맨 위에 달걀 한 개를 깨끗이 씻어 얹어 놓는다. 그런 다음 고기 한 접시를 갖은 양념을 하여 재어 놓는다. 도미 한 마리를 비늘을 긁고 내장을 빼낸 뒤에 잘 씻는다. 도미의 살에 드문드문 칼집을 넣는다. 진간장을 발라 살짝 구워서 기름을 바른 다음 냄비에 담아놓는다. 상에 내기 직전, 도미가 담긴 냄비에 물을 붓고 앞서 재어놓은 고기를 넣어 한참 끓이다가 접시에 준비한 채소를 넣어 익히면 된다.[2]

관련 기록

승기아탕빙허각이씨가 쓴 『규합총서』와 송영로 처 연안 이씨가 쓴 『주식시의』에 등장한다. 유래는 홍선표가 1940년 저술한 『조선요리학』에 전해져 온다.

연계 자원 보러 가기
한글 고문헌에 담긴 조선시대의 맛


지식 관계망

  • 한글고문헌에 담긴 조선시대의 맛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승기아탕 허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식시의 승기아탕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규합총서 승기아탕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조선요리학 승기아탕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규합총서 빙허각이씨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주식시의 송영로 처 연안 이씨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강인희, "승기악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강인희, "승기악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김상보, 『조선왕조 궁중음식』, 수학사, 2004.
    • 한복진, 『음식고전 : 옛 책에서 한국 음식의 뿌리를 찾다』, 현암사, 2016.
  • 웹자원
    • "승기악탕 '도미면'", 재미있는 세시음식 이야기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