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광해관리공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민족기록화 단체]]
+
{{단체정보
 +
|사진=민족기록화 단체 한국광해관리공단 로고 01.jpg
 +
|사진출처=『[http://www.mireco.or.kr/ 한국광해관리공단]』<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광해관리공단.
 +
|대표명칭=한국광해관리공단
 +
|한자표기=韓國鑛害管理工團
 +
|영문명칭=Mine Reclamation Corp.(MIRECO)
 +
|이칭=
 +
|유형=
 +
|창립자=
 +
|창립시대=
 +
|창립일=2006년 6월
 +
|변경일=
 +
|해체일=
 +
|주요업무=
 +
|담당업무=
 +
|관련기관=
 +
|관련단체=
 +
|소재지=강원도 원주시 세계로 2
 +
|웹사이트=[http://www.mireco.or.kr/ 한국광해관리공단]
 +
}}
 +
 
 +
=='''정의'''==
 +
효율적인 광해방지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2006년에 설립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이다.<ref>이강원,손호웅,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구미서관, 2016.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79522&cid=58439&categoryId=58439 한국광해관리공단]",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내용'''==
 +
===설립===
 +
광해(鑛害) 방지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고, 석탄산업을 지원하여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2006년 6월 1일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을 해산하고 광해방지사업단으로 설립되었으며, 2008년 6월 29일 지금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1003560 한국광해관리공단]",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주요 사업===
 +
주요 사업은 광산별 광해방지계획의 수립 및 광해방지대책 강구, 광해로 인한 손해배상, 광산지역의 환경개선사업, 광해방지사업과 관련하여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탁받은 사업, 광업권자 또는 조광권자가 다른 법률에서 부담하여야 할 채무 등의 이행보증, 석탄사업법에서 규정한 폐광대책사업·장학사업 등 석탄산업 안정을 위한 지원, 석탄산업 합리화 추진 등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1003560 한국광해관리공단]",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광해방지사업===
 +
광해방지사업으로는 가행광산(稼行鑛山) 및 휴·폐광산 광해의 방지 및 훼손지 복구 사업, 폐시설물·자재 등의 철거 및 처리, 광해방지시설의 설치·운영 및 관리, 광해방지를 위한 조사·연구와 기술개발 및 교육, 광해방지에 대한 국내외 기술협력, 토양오염 개량 등을 수행한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1003560 한국광해관리공단]",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석탄지원사업===
 +
석탄지원사업으로는 1989년부터 석탄의 최고 판매가격을 고시가격으로 정하고 석탄광업자와 근로자에게 생산원가와 판매가격의 차액을 석탄가격안정지원금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같은 방식으로 연탄제조업자와 수송업자에게 연탄가격안정지원금을 지원하고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1003560 한국광해관리공단]",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기타 지원사업===
 +
1980년대 이후 석탄산업이 사양화되어감에 따라 폐광지역 근로자들에게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으로 농공단지 개발 사업을 통한 제조업과 서비스산업 지원책 등을 펼치고 있다. 2011년의 경우 대체산업융자금 지원대상업체로 폐광지역 12개 업체를 선정해 총 43억 원을 지원했다. 대체산업융자금 지원사업은 저리 융자금으로 폐광지역에 위치한 기업 창업 및 이전을 돕는 사업이다. 2011년에 선정된 업체는 지역별로 강원도 5개, 경북 4개, 전남 3개 등 총 12개다.<ref>"한국광해관리공단", 『네이버 기관단체사전:기업』, 굿모닝미디어,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45450&cid=43126&categoryId=43126 한국광해관리공단]", 기업사전,
 +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해외 광해관리사업===
 +
몽골, 베트남, 말레이시아, CIS(독립국가연합) 국가, 페루 등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광해관리사업도 벌이고 있다. 광해관리공단측은 "개발도상국의 환경복구 작업을 지원해 주면서 우호적 이미지를 다진 뒤 자원 확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패키지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2010년 5월 몽골에 해외 1호 사무소를 냈다.<ref>"한국광해관리공단", 『네이버 기관단체사전:기업』, 굿모닝미디어,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45450&cid=43126&categoryId=43126 한국광해관리공단]", 기업사전,
 +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69/C069.htm "강원탄광"(문학진)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69/C06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광해방지사업단]] || [[한국광해관리공단]]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
 +
| [[한국광해관리공단]] || [[석탄산업]] || A는 B과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한국광해관리공단]] || [[석탄지원사업]] || A는 B과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한국광해관리공단]] || [[광해방지사업]] || A는 B과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한국광해관리공단 로고 01.jpg| 한국광해관리공단 로고.<ref>『[http://www.mireco.or.kr/ 한국광해관리공단]』<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광해관리공단.</ref>
 +
</gallery>
 +
===영상===
 +
*'''한국광해관리공단 홍보영상(게시일: 2011년 12월 22일)'''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qjo5sr5jiRY"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 "[http://www.mireco.or.kr/ 한국광해관리공단]",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광해관리공단.
 +
#* 이강원,손호웅,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구미서관, 2016.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79522&cid=58439&categoryId=58439 한국광해관리공단]",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1003560 한국광해관리공단]",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한국광해관리공단", 『네이버 기관단체사전:기업』, 굿모닝미디어,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45450&cid=43126&categoryId=43126 한국광해관리공단]", 기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단체]]

2017년 12월 25일 (월) 02:38 기준 최신판

한국광해관리공단(韓國鑛害管理工團)
한국광해관리공단online, 한국광해관리공단.
대표명칭 한국광해관리공단
한자표기 韓國鑛害管理工團
영문명칭 Mine Reclamation Corp.(MIRECO)
소재지 강원도 원주시 세계로 2
창립일 2006년 6월
웹사이트 한국광해관리공단



정의

효율적인 광해방지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2006년에 설립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이다.[1]

내용

설립

광해(鑛害) 방지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고, 석탄산업을 지원하여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2006년 6월 1일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을 해산하고 광해방지사업단으로 설립되었으며, 2008년 6월 29일 지금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2]

주요 사업

주요 사업은 광산별 광해방지계획의 수립 및 광해방지대책 강구, 광해로 인한 손해배상, 광산지역의 환경개선사업, 광해방지사업과 관련하여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탁받은 사업, 광업권자 또는 조광권자가 다른 법률에서 부담하여야 할 채무 등의 이행보증, 석탄사업법에서 규정한 폐광대책사업·장학사업 등 석탄산업 안정을 위한 지원, 석탄산업 합리화 추진 등이다.[3]

광해방지사업

광해방지사업으로는 가행광산(稼行鑛山) 및 휴·폐광산 광해의 방지 및 훼손지 복구 사업, 폐시설물·자재 등의 철거 및 처리, 광해방지시설의 설치·운영 및 관리, 광해방지를 위한 조사·연구와 기술개발 및 교육, 광해방지에 대한 국내외 기술협력, 토양오염 개량 등을 수행한다.[4]

석탄지원사업

석탄지원사업으로는 1989년부터 석탄의 최고 판매가격을 고시가격으로 정하고 석탄광업자와 근로자에게 생산원가와 판매가격의 차액을 석탄가격안정지원금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같은 방식으로 연탄제조업자와 수송업자에게 연탄가격안정지원금을 지원하고 있다.[5]

기타 지원사업

1980년대 이후 석탄산업이 사양화되어감에 따라 폐광지역 근로자들에게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으로 농공단지 개발 사업을 통한 제조업과 서비스산업 지원책 등을 펼치고 있다. 2011년의 경우 대체산업융자금 지원대상업체로 폐광지역 12개 업체를 선정해 총 43억 원을 지원했다. 대체산업융자금 지원사업은 저리 융자금으로 폐광지역에 위치한 기업 창업 및 이전을 돕는 사업이다. 2011년에 선정된 업체는 지역별로 강원도 5개, 경북 4개, 전남 3개 등 총 12개다.[6]

해외 광해관리사업

몽골, 베트남, 말레이시아, CIS(독립국가연합) 국가, 페루 등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광해관리사업도 벌이고 있다. 광해관리공단측은 "개발도상국의 환경복구 작업을 지원해 주면서 우호적 이미지를 다진 뒤 자원 확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패키지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2010년 5월 몽골에 해외 1호 사무소를 냈다.[7]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광해방지사업단 한국광해관리공단 A는 B의 전신이다 A ekc:isOldNameOf B
한국광해관리공단 석탄산업 A는 B과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한국광해관리공단 석탄지원사업 A는 B과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한국광해관리공단 광해방지사업 A는 B과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 한국광해관리공단 홍보영상(게시일: 2011년 12월 22일)

주석

  1. 이강원,손호웅,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구미서관, 2016. 온라인 참조: "한국광해관리공단",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한국광해관리공단", 『doopedia』online, 두산백과.
  3. "한국광해관리공단", 『doopedia』online, 두산백과.
  4. "한국광해관리공단", 『doopedia』online, 두산백과.
  5. "한국광해관리공단", 『doopedia』online, 두산백과.
  6. "한국광해관리공단", 『네이버 기관단체사전:기업』, 굿모닝미디어, 온라인 참조: "한국광해관리공단", 기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한국광해관리공단", 『네이버 기관단체사전:기업』, 굿모닝미디어, 온라인 참조: "한국광해관리공단", 기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8. 한국광해관리공단online, 한국광해관리공단.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한국광해관리공단", online, 한국광해관리공단.
    • 이강원,손호웅,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구미서관, 2016. 온라인 참조: "한국광해관리공단",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국광해관리공단",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한국광해관리공단", 『네이버 기관단체사전:기업』, 굿모닝미디어, 온라인 참조: "한국광해관리공단", 기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