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무신진찬도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회화정보
 
{{회화정보
 
|사진= 궁중기록화_회화_무신진찬도병00_중박.jpg
 
|사진= 궁중기록화_회화_무신진찬도병00_중박.jpg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http://www.museum.go.kr/) 소장.
 
|대표명칭= 무신진찬도병
 
|대표명칭= 무신진찬도병
 
|한자표기= 戊申進饌圖屛
 
|한자표기= 戊申進饌圖屛
8번째 줄: 8번째 줄:
 
|주제= 연향례
 
|주제= 연향례
 
|제작연대= 1848년
 
|제작연대= 1848년
|구성= 총 8폭<br />1, 2폭 : 인정전진하도(仁政殿陳賀圖)<br />3, 4폭 : 통명전진찬도(通明殿進饌圖)<br />5, 6폭 : 통명전야진찬도(通明殿夜進饌圖)<br />7폭 : 통명전헌종회작도(通明殿憲宗會圖)
+
|구성= 총 8폭
 
|크기= 각 폭 136.1 × 47.6cm
 
|크기= 각 폭 136.1 × 47.6cm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14번째 줄: 14번째 줄:
 
}}
 
}}
  
==정의==
+
=='''정의'''==
 +
1848년(조선 헌종 14) [[대왕대비]] [[순원왕후|순원왕후(純元王后)]]의 육순(六旬)과 [[신정왕후|신정왕후(神貞王后)]]의 망오(望五: 41세)를 경축하는 의미로 [[창덕궁]] 인정전과 [[창경궁]] 통명전에서 열린 진찬 행사에 대해 그린 궁중행사도이다.<ref>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4쪽.</ref>
  
==내용==
+
=='''내용'''==
 
===해제===
 
===해제===
 +
[[의궤청]]에서 제작되었으며 1848년 4월 16일부터 그리기 시작하여 총 5좌를 4개월 동안 제작하였다. 좌목에는 총 7명의 화원이 상을 받은 것과 제작에 참여한 10명의 화원 명단을 기록하였다. 진하의식(陳賀儀式) 1장면과 연향 3장면으로 구성되었으며, 그림 하나가 병풍 두 폭에 걸쳐 그려져 있다. 오른쪽부터 행사의 순서대로 총 7폭으로 이루어져 있고, 8번째 폭은 좌목(座目)이다.<ref>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4쪽.</ref>
 +
 
===구성===
 
===구성===
 +
'''〈인정전진하도(仁政殿陳賀圖)〉''' : 1, 2폭<br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_회화_무신진찬도병01_중박.jpg
 +
</gallery>
 +
[[창덕궁 인정전]]에서 [[헌종]]이 주관하여 거행된 진하례(陳賀禮)를 그렸다. 1848년 3월 16일 [[헌종]]이 [[창덕궁 인정전]]에서 [[대왕대비]]전과 [[왕대비]]전에 존호를 가상(加上)한 뒤 교서를 반포하고 [[백관]]들이 진하례를 올리는 장면이다.<ref>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5쪽.</ref>
 +
<br />
 +
<br />
 +
'''〈통명전진찬도(通明殿進饌圖)〉''' : 3, 4폭<br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_회화_무신진찬도병02_중박.jpg
 +
</gallery>
 +
1848년 3월 17일 [[대왕대비]]전인 [[창경궁 통명전]]에서 거행된 내진찬(內進饌)으로, 품계별로 구별된 공간 속에서 연회가 베풀어졌다.<ref>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ref> [[창경궁 통명전]] 내부에 [[대왕대비]]의 자리를 남면으로 설치하고 앞 기둥 세칸을 제외하고 붉은 색 발로 가렸다. 남쪽의 악공들이 연회장을 들여다 볼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연회 초청자의 자리는 별도로 마련하였다.<ref> 안태욱, 『궁중연향도의 탄생-조선후기 연향 기록화와 양식에 대한 미술사적 연구』, 민속원, 2014, 200~201쪽.</ref>
 +
<br />
 +
<br />
 +
'''〈통명전야진찬도(通明殿夜進饌圖)〉''' : 5, 6폭<br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_회화_무신진찬도병03_중박.jpg
 +
</gallery>
 +
1848년 3월 17일 [[창경궁 통명전]]에서 거행된 야진찬(夜進饌)을 그린 장면으로, 등과 촛불이 그려져 있다.<ref>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ref>
 +
<br />
 +
<br />
 +
'''〈통명전헌종회작도(通明殿憲宗會圖)〉''' : 7폭<br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_회화_무신진찬도병04_중박.jpg
 +
</gallery>
 +
1848년 3월 19일에 [[창경궁 통명전]]에서 베풀어진 연회를 그린 장면이다. <ref>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ref>
 +
<br />
 +
<br />
 +
'''〈좌목(座目)〉''' : 8폭<br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_회화_무신진찬도병05_중박.jpg
 +
</gallery>
 +
행사도의 제작 연대와 행사 날짜 및 진찬을 준비한 총 지휘관을 비롯한 말단 사령까지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ref>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ref>
 +
 +
{{연계자원정보
 +
|연계자원1= '''의궤'''<br/>[[헌종무신진찬의궤|헌종무신진찬의궤(憲宗戊申進饌儀軌)]]
 +
|연계자원2=
 +
|연계자원3=
 +
|연계자원4=
 +
|연계자원5=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무신진찬도병 || [[도화서]]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무신진찬도병 || [[연향례]]  || A는 B를 표현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무신진찬도병 || [[순원왕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무신진찬도병 || [[대왕대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무신진찬도병 || [[헌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무신진찬도병 || [[신정왕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무신진찬도병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무신진찬도병 || [[백관의 조복]] || A에 B가 그려져 있다 || A ekc:depicts B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1848년 3월 16일 || [[순원왕후]]를 위한 [[연향례]]를 베풀었다
 +
|-
 +
| 1848년 4월 16일 || [[무신진찬도병]]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
|}
 +
 
===공간정보===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37.580793  || 126.994541 || [[창경궁 통명전]]에서 진찬 의례가 거행됐다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caption="[[백관의 조복]]" heights=1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조복01.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조복02.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조복03.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조복04.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조복05.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조복06.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조복07.png
 +
</gallery>
 +
<gallery caption="[[백관의 상복]]" heights=1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상복01.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상복02.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상복03.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백관의상복04.png
 +
</gallery>
 +
<gallery caption="기타 인물들의 복식" heights=150px style="text-align:left">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궁녀01.png|궁녀의 복식<br/> [[할의|할의(割衣)]], [[당의|당의(唐衣)]], [[치마|치마(赤亇)]], [[혜(여성)|혜(鞋)]]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궁녀02.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궁녀03.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궁녀04.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궁녀05.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01.png|[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213&index_id=cp02131086&content_id=cp021310860001&search_left_menu=1 여령의 복식]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02.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03.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04.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05.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06.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07.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08.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09.png|[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213&index_id=cp02131092&content_id=cp021310920001&print=Y 집사여령의 복식]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10.png|[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213&index_id=cp02131096&content_id=cp021310960001&search_left_menu=1 검무복]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11.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여령12.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처용01.png|[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AGE&search_div_id=CP_AGE002&cp_code=cp0701&index_id=cp07010022&content_id=cp070100220001&search_left_menu=4 처용무복]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처용02.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처용03.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처용04.png
 +
파일:궁중기록화_무신진찬도병_처용05.png
 +
</gallery>
  
==시각자료==
+
=='''주석'''==
===가상현실===
+
<references/>
 
 
==주석==
 
  
==참고문헌==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유용한 정보===
+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 안태욱, 『궁중연향도의 탄생-조선후기 연향 기록화와 양식에 대한 미술사적 연구』, 민속원, 2014.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회화]]
[[분류:회화]]
 

2023년 2월 28일 (화) 04:36 기준 최신판


무신진찬도병
(戊申進饌圖屛)
국립중앙박물관(http://www.museum.go.kr/) 소장.
대표명칭 무신진찬도병
한자표기 戊申進饌圖屛
이칭별칭 인정전진하도(仁政殿陳賀圖)
주제 연향례
제작연대 1848년
구성 총 8폭
크기 각 폭 136.1 × 47.6cm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정의

1848년(조선 헌종 14) 대왕대비 순원왕후(純元王后)의 육순(六旬)과 신정왕후(神貞王后)의 망오(望五: 41세)를 경축하는 의미로 창덕궁 인정전과 창경궁 통명전에서 열린 진찬 행사에 대해 그린 궁중행사도이다.[1]

내용

해제

의궤청에서 제작되었으며 1848년 4월 16일부터 그리기 시작하여 총 5좌를 4개월 동안 제작하였다. 좌목에는 총 7명의 화원이 상을 받은 것과 제작에 참여한 10명의 화원 명단을 기록하였다. 진하의식(陳賀儀式) 1장면과 연향 3장면으로 구성되었으며, 그림 하나가 병풍 두 폭에 걸쳐 그려져 있다. 오른쪽부터 행사의 순서대로 총 7폭으로 이루어져 있고, 8번째 폭은 좌목(座目)이다.[2]

구성

〈인정전진하도(仁政殿陳賀圖)〉 : 1, 2폭

창덕궁 인정전에서 헌종이 주관하여 거행된 진하례(陳賀禮)를 그렸다. 1848년 3월 16일 헌종창덕궁 인정전에서 대왕대비전과 왕대비전에 존호를 가상(加上)한 뒤 교서를 반포하고 백관들이 진하례를 올리는 장면이다.[3]

〈통명전진찬도(通明殿進饌圖)〉 : 3, 4폭

1848년 3월 17일 대왕대비전인 창경궁 통명전에서 거행된 내진찬(內進饌)으로, 품계별로 구별된 공간 속에서 연회가 베풀어졌다.[4] 창경궁 통명전 내부에 대왕대비의 자리를 남면으로 설치하고 앞 기둥 세칸을 제외하고 붉은 색 발로 가렸다. 남쪽의 악공들이 연회장을 들여다 볼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연회 초청자의 자리는 별도로 마련하였다.[5]

〈통명전야진찬도(通明殿夜進饌圖)〉 : 5, 6폭

1848년 3월 17일 창경궁 통명전에서 거행된 야진찬(夜進饌)을 그린 장면으로, 등과 촛불이 그려져 있다.[6]

〈통명전헌종회작도(通明殿憲宗會圖)〉 : 7폭

1848년 3월 19일에 창경궁 통명전에서 베풀어진 연회를 그린 장면이다. [7]

〈좌목(座目)〉 : 8폭

행사도의 제작 연대와 행사 날짜 및 진찬을 준비한 총 지휘관을 비롯한 말단 사령까지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8]


연계 자원 보러 가기
의궤
헌종무신진찬의궤(憲宗戊申進饌儀軌)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무신진찬도병 도화서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무신진찬도병 연향례 A는 B를 표현하였다 A ekc:depicts B
무신진찬도병 순원왕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무신진찬도병 대왕대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무신진찬도병 헌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무신진찬도병 신정왕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무신진찬도병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무신진찬도병 백관의 조복 A에 B가 그려져 있다 A ekc:depicts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848년 3월 16일 순원왕후를 위한 연향례를 베풀었다
1848년 4월 16일 무신진찬도병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80793 126.994541 창경궁 통명전에서 진찬 의례가 거행됐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4쪽.
  2.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4쪽.
  3.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5쪽.
  4.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
  5. 안태욱, 『궁중연향도의 탄생-조선후기 연향 기록화와 양식에 대한 미술사적 연구』, 민속원, 2014, 200~201쪽.
  6.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
  7.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
  8.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안태욱, 『궁중연향도의 탄생-조선후기 연향 기록화와 양식에 대한 미술사적 연구』, 민속원, 2014.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