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탑비정보 | {{탑비정보 | ||
− | |사진= | + | |사진=BHST Ssangbongsa Cheolgam stele.jp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대표명칭=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건립연대=9세기 말 | |건립연대=9세기 말 | ||
|승탑=[[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 |승탑=[[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 ||
− | |||
}} | }} | ||
26번째 줄: | 25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개요=== | ===개요=== | ||
− | 전체높이 1.4m. 이 비는 [[화순 쌍봉사|화순 쌍봉사(和順 雙峯寺)]]에 있는 [[도윤|철감선사 도윤(澈鑒禪師 道允)]]의 탑비이다. [[도윤|철감선사]]가 71세의 나이로 [[화순 쌍봉사|쌍봉사]]에서 입적하니, 왕은 시호를 ‘철감(澈鑒)’이라 내리었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7622 쌍봉사철감선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 + | 전체높이 1.4m. 이 비는 [[화순 쌍봉사|화순 쌍봉사(和順 雙峯寺)]]에 있는 [[도윤|철감선사 도윤(澈鑒禪師 道允)]]의 탑비이다. [[도윤|철감선사]]가 71세의 나이로 [[화순 쌍봉사|쌍봉사]]에서 입적하니, 왕은 시호를 ‘철감(澈鑒)’이라 내리었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7622 쌍봉사철감선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 | + | 비신(碑身)<ref>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ref>이 없어진 채 [[귀부|귀부(龜趺)]]와 [[이수|이수(螭首)]]만 남아 있다. 네모난 바닥돌 위의 거북은 용의 머리를 하고 여의주를 문 채 엎드려 있는 모습으로, 오른쪽 앞발을 살짝 올리고 있다. [[이수]]는 용조각을 생략한 채 구름무늬만으로 채우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1700000,36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앞면 가운데에 [[제약|제액(題額)]]을 만들고 비제(碑題)를 음각 [[예서|예서(隸書)]]로 새겼다.<ref>김희태,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5600742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1963년 보물 제170호로 지정되었다. | 1963년 보물 제170호로 지정되었다. | ||
===비신의 행방=== | ===비신의 행방=== | ||
− | + | 비신(碑身)의 행방에 대해서는 1786년에 세워진 [[화순 쌍봉사|쌍봉사(雙峯寺)]] 사적비에 ‘[[도윤|철감선사]]의 이름마저도 제대로 전해지지 않고 있다.’라고 쓰여진 것과 ‘절의 동서 양쪽에 비석이 있는데 서쪽의 것은 신라 때의 것이고 동쪽의 것은 고려 때의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모두 없어졌다.’라고 쓰여진 것으로 볼 때, 서쪽의 것이 [[도윤|철감선사]]의 비였던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마을에 전해지는 구전에 따르면 일제 강점기 일본인들이 탑비 부근의 땅 속에 이 비를 묻었을 것이라고 한다.<ref>김희태,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5600742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비문정보 |
− | " | + | |비문1="[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7622 쌍봉사철감선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07/stele_doyun_ssangbong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화순 쌍봉사]] || A는 B에 있다 || | +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화순 쌍봉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도윤]] | +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도윤]]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07/ssangbong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01/S001/seonam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갤러리=== |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 |
+ | 파일:BHST_Ssangbongsa_Cheolgam_stele.jpg|철감선사탑비 | ||
+ | 파일:BHST_Ssangbongsa_Cheolgam_stele_gwibu.jpg|철감선사탑비 귀부 | ||
+ | 파일:BHST_Ssangbongsa_Cheolgam_stele_isu.jpg|철감선사탑비 이수 | ||
+ | 파일:BHST_Ssangbongsa_Cheolgam_stele_text.jpg|철감선사탑비 안내판 | ||
+ | 파일:BHST_Ssangbongsa_Cheolgam_stele-1.jpg|철감선사탑비 | ||
+ | 파일:BHST_Ssangbongsa_Cheolgam_stele-2.jpg|철감선사탑비 | ||
+ | 파일:BHST_Ssangbongsa_Cheolgam_stele-3.jpg|철감선사탑비 | ||
+ | 파일:BHST_Ssangbongsa_Cheolgam_stele-4.jpg|철감선사탑비 | ||
+ | </gallery> | ||
=='''주석'''== | =='''주석'''== | ||
59번째 줄: | 82번째 줄: | ||
* 김희태,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5600742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희태,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5600742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1700000,36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1700000,36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7622 쌍봉사철감선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 +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7622 쌍봉사철감선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교열완료]] |
2017년 11월 27일 (월) 02:08 기준 최신판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和順 雙峯寺 澈鑒禪師塔碑) |
|
대표명칭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Master Cheolgam at Ssangbongsa Temple, Hwasun |
한자 | 和順 雙峯寺 澈鑒禪師塔碑 |
주소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산의로 459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170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미상 |
서자 | 미상 |
각자 | 미상 |
서체 | 전서(篆書) |
승려 | 도윤(道允) |
건립연대 | 9세기 말 |
승탑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
|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봉사(雙峯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승려 철감선사 도윤(澈鑒禪師 道允, 798-868)의 탑비.
내용
개요
전체높이 1.4m. 이 비는 화순 쌍봉사(和順 雙峯寺)에 있는 철감선사 도윤(澈鑒禪師 道允)의 탑비이다. 철감선사가 71세의 나이로 쌍봉사에서 입적하니, 왕은 시호를 ‘철감(澈鑒)’이라 내리었다.[1]
비신(碑身)[2]이 없어진 채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만 남아 있다. 네모난 바닥돌 위의 거북은 용의 머리를 하고 여의주를 문 채 엎드려 있는 모습으로, 오른쪽 앞발을 살짝 올리고 있다. 이수는 용조각을 생략한 채 구름무늬만으로 채우고 있다.[3] 앞면 가운데에 제액(題額)을 만들고 비제(碑題)를 음각 예서(隸書)로 새겼다.[4]
1963년 보물 제170호로 지정되었다.
비신의 행방
비신(碑身)의 행방에 대해서는 1786년에 세워진 쌍봉사(雙峯寺) 사적비에 ‘철감선사의 이름마저도 제대로 전해지지 않고 있다.’라고 쓰여진 것과 ‘절의 동서 양쪽에 비석이 있는데 서쪽의 것은 신라 때의 것이고 동쪽의 것은 고려 때의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모두 없어졌다.’라고 쓰여진 것으로 볼 때, 서쪽의 것이 철감선사의 비였던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마을에 전해지는 구전에 따르면 일제 강점기 일본인들이 탑비 부근의 땅 속에 이 비를 묻었을 것이라고 한다.[5]
비문 보러가기 |
• "쌍봉사철감선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
지식 관계망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화순 쌍봉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도윤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 ↑ "쌍봉사철감선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김희태,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희태,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김희태,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쌍봉사철감선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