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비문) |
(→가상현실)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3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탑비정보 | {{탑비정보 | ||
− | |사진= | + | |사진=BHST Silsangsa Sucheol stele.jp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대표명칭=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
− | | | + | |영문명칭=Stele for Buddhist Monk Sucheol at Silsangsa Temple, Namwon |
|한자=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碑 | |한자=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碑 | ||
|이칭=실상사 수철화상능가보월탑비 | |이칭=실상사 수철화상능가보월탑비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전라남도 남원시 산내면 [[남원 실상사|실상사(實相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수철|수철(秀澈, 817-893)]]의 탑비. | + | 전라남도 남원시 산내면 [[남원 실상사|실상사(實相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수철|수철(秀澈, 817-893)]]의 [[탑비]]. |
=='''내용'''== | =='''내용'''== | ||
===개요=== | ===개요=== | ||
− | 탑비는 대석(臺石), 비신(碑身), [[이수|이수(螭首)]]로 구성되어 있다. | + | 탑비는 대석(臺石), 비신(碑身)<ref>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ref>, [[이수|이수(螭首)]]로 구성되어 있다. |
− | [[수철|수철화상(秀澈和尙)]]은 893년([[신라 진성왕|진성왕]] 7) 5월 4일 입적하였는데, 탑비의 뒷면에 새겨진 음기(陰記)에 따르면, 탑비는 905년([[신라 효공왕|효공왕]] 9) 10월 15일에 세워지고, 1714년([[조선 숙종|숙종]] 40)에 중건되었다.<ref>하일식, "심원사 수철화상비", | + | [[수철|수철화상(秀澈和尙)]]은 893년([[신라 진성왕|진성왕]] 7) 5월 4일 입적하였는데, 탑비의 뒷면에 새겨진 음기(陰記)<ref>비석의 뒷면에 새긴 글. </ref>에 따르면, 탑비는 905년([[신라 효공왕|효공왕]] 9) 10월 15일에 세워지고, 1714년([[조선 숙종|숙종]] 40)에 중건되었다.<ref>하일식, "심원사 수철화상비", 『한국금석문집성13 : 신라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13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31 한국금석문집성13 : 신라9 비문9]",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ref> |
− | 비문의 찬자·서자·각자는 알 수 없으며, 비문에는 관직명만이 남아 있다. 비문의 글씨는 당대를 전후하여 성행한 [[구양순체|구양순체(歐陽詢體)]]를 따랐다. | + | 비문의 찬자·서자·각자는 알 수 없으며, 비문에는 관직명만이 남아 있다. 비문의 글씨는 당대를 전후하여 성행한 [[구양순체|구양순체(歐陽詢體)]]를 따랐다. |
− | 탑비의 형식은 당시의 일반적인 탑비 형식과 달리 [[귀부|귀부(龜趺)]]가 없고 대신 안상(眼象) 6구를 새긴 장방형의 대석 위에 비를 세웠으며, 비좌(碑座)에는 큼직한 복련(覆蓮)을 둘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665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수|이수]]에는 여의주를 중심으로 다투는 듯 두 마리의 용이 좌우 대칭으로 자리 잡고 그 사이를 운문(雲文)으로 채운 형태가 전후면에 거의 동일하게 나타난다. 전면에는 ⌂형으로 액(額)을 마련 후 '능가보월탑비(楞迦寶月塔碑)' 라는 [[제액|전액(篆額)]]을 새겼다.<ref>"[http://portal.nrich.go.kr/kor/stoneUserView.do?menuIdx=738&stone_idx=156 | + | 탑비의 형식은 당시의 일반적인 탑비 형식과 달리 [[귀부|귀부(龜趺)]]가 없고 대신 안상(眼象)<ref>안상연에 새겨진 눈 모양의 장식.</ref> 6구를 새긴 장방형의 대석 위에 비를 세웠으며, 비좌(碑座)에는 큼직한 복련(覆蓮)을 둘렀다.<ref>김응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665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수|이수]]에는 여의주를 중심으로 다투는 듯 두 마리의 용이 좌우 대칭으로 자리 잡고 그 사이를 운문(雲文)으로 채운 형태가 전후면에 거의 동일하게 나타난다. 전면에는 ⌂형으로 액(額)<ref>현판.</ref>을 마련 후 '능가보월탑비(楞迦寶月塔碑)' 라는 [[제액|전액(篆額)]]을 새겼다.<ref>"[http://portal.nrich.go.kr/kor/stoneUserView.do?menuIdx=738&stone_idx=156 (정기조사) 보물 제34호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2012).pdf]", 보존방안 목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 | |||
+ | 1963년 보물 제34호로 지정되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0340000,35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비문=== | ===비문=== | ||
− | 비문은 마멸과 결락이 심하여 판독에 어려움이 많으며, 그로 인해 연구자마다 각기 다른 판독문을 제시하고 있다.<ref>추만호, 「심원사 수철화상 능가보월탑비의 금석학적 분석」, | + | 비문은 마멸과 결락이 심하여 판독에 어려움이 많으며, 그로 인해 연구자마다 각기 다른 판독문을 제시하고 있다.<ref>비문 판독은 다음의 연구를 참조할 수 있다. 추만호, 「심원사 수철화상 능가보월탑비의 금석학적 분석」, 『역사민속학』1, 한국역사민속학회, 1991, 266-307쪽.; 정병삼, "심원사 수철화상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제3책,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정선종, 「실상사 수철화상탑비의 음기와 중건에 대하여」, 『불교문화연구』11, 남도불교문화연구회, 2009, 173-200쪽.; 하일식, "심원사 수철화상비", 『한국금석문집성13 : 신라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ref> 비문에는 [[수철|수철화상]]의 출생에서 입적 및 조탑(造塔) 경위가 기록되어 있으며, [[수철|수철화상]]은 [[남원 실상사|실상사]]에서 입적하였으나 원래는 심원사(深源寺)의 승려이었기 때문에 비문에는 '심원사□□□국사수철화상(深源寺□□□國師秀澈和尙)'으로 쓰여 있다.<ref>김응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665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비문의 찬자에 대한 추정=== | ===비문의 찬자에 대한 추정=== | ||
− | 이 비문의 찬자는 알 수 없는데, 일각에서는 비문에 남아있는 관직명과 문체를 토대로 비문의 찬자를 [[최치원|최치원(崔致遠)]]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그 근거로는 당대 최고의 문필가와 서법가가 비문을 | + | 현재까지 이 비문의 찬자는 정확히 알 수 없는데, 일각에서는 비문에 남아있는 관직명과 문체를 토대로 비문의 찬자를 [[최치원|최치원(崔致遠)]]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그 근거로는 당대 최고의 문필가와 서법가가 비문을 짓는다는 점과, 그들이 역임한 직함을 있던 그대로 사용한다는 점과, 그들의 글짓는 습관이 비문에 나타난다는 점이다.<ref>추만호, 「심원사 수철화상 능가보월탑비의 금석학적 분석」, 『역사민속학』1, 한국역사민속학회, 1991, 289-293쪽.</ref> |
− | 그러나 이러한 주장에 대하여 반론이 제기되고 있다. | + | 그러나 이러한 주장에 대하여 반론이 제기되고 있다. 이전에 작성된 변려문(騈儷文)<ref>한문 문체의 일종. 문장이 4자와 6자를 기본으로 한 대구(對句)로 이루어져 수사적(修辭的)으로 미감(美感)을 주는 문체로, 변(騈)은 한 쌍의 말이 마차를 끈다는 뜻이고, 여(儷)는 부부라는 뜻이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1888&cid=40942&categoryId=32972 변려문]",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의 진수를 보여주는 [[최치원]]의 글에 비하여 수철화상탑비의 수준이 그에 못 미친다는 것이다. 또한 [[최치원]]이 898년 정월 [[합천 해인사|해인사]] 중창과 관련된 글을 찬술한 시점에는 사실상 관직에서 물러나 은거하던 상태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해당 비문이 찬술된 시점인 905년 경에는 [[최치원]]이 중국에 사신으로 파견되었기 때문에 비문을 작성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ref>최경선, 「〈영원사수철화상비 〉의 판독과 찬자(撰者)·서자(書者)에 대한 검토」, 『역사와현실』101, 한국역사연구회, 2016, 220-221쪽.</ref> |
+ | |||
+ | {{비문정보 | ||
+ | |비문1=하일식, "심원사 수철화상비", 『한국금석문집성 13: 신라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13-24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31 한국금석문집성 13: 신라9 비문9]",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 |비문2="[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2824 실상사수철화상능가보월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 | }}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 | +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30/stele_jeunggak-sucheol_silsang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D030/silsangsanmun.htm 실상산문 지식관계망]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48번째 줄: | 61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수철]]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수철]]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남원 실상사]] || A는 B에 있다 || | + |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남원 실상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56번째 줄: | 71번째 줄: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30/silsang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30/silsang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갤러리=== | ||
65번째 줄: | 84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추만호, 「심원사 수철화상 능가보월탑비의 금석학적 분석」, 『역사민속학』1, 한국역사민속학회, 1991, 266-307쪽. | |
+ | * <font color="red">정병삼, "심원사 수철화상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제3책,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font> | ||
+ | * 정선종, 「실상사 수철화상탑비의 음기와 중건에 대하여」, 『불교문화연구』11, 남도불교문화연구회, 2009, 173-200쪽. | ||
+ | * 최경선, 「〈영원사수철화상비 〉의 판독과 찬자(撰者)·서자(書者)에 대한 검토」, 『역사와현실』101, 한국역사연구회, 2016, 201-236쪽. | ||
+ | * 김응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665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하일식, "심원사 수철화상비", 『한국금석문집성 13: 신라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13-24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31 한국금석문집성 13: 신라9 비문9]",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 * "[http://portal.nrich.go.kr/kor/stoneUserView.do?menuIdx=738&stone_idx=156 (정기조사) 보물 제34호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2012).pdf]", 보존방안 목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0340000,35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2824 실상사수철화상능가보월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보물]]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보물]] [[분류:승탑/교열완료]] |
2017년 12월 21일 (목) 14:08 기준 최신판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碑) |
|
대표명칭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Buddhist Monk Sucheol at Silsangsa Temple, Namwon |
한자 | 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碑 |
이칭 | 실상사 수철화상능가보월탑비 |
주소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입석리) 실상사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34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미상 |
서자 | 미상 |
각자 | 미상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수철(秀澈) |
건립연대 | 905년 |
승탑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
|
목차
정의
전라남도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實相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수철(秀澈, 817-893)의 탑비.
내용
개요
탑비는 대석(臺石), 비신(碑身)[1], 이수(螭首)로 구성되어 있다.
수철화상(秀澈和尙)은 893년(진성왕 7) 5월 4일 입적하였는데, 탑비의 뒷면에 새겨진 음기(陰記)[2]에 따르면, 탑비는 905년(효공왕 9) 10월 15일에 세워지고, 1714년(숙종 40)에 중건되었다.[3]
비문의 찬자·서자·각자는 알 수 없으며, 비문에는 관직명만이 남아 있다. 비문의 글씨는 당대를 전후하여 성행한 구양순체(歐陽詢體)를 따랐다.
탑비의 형식은 당시의 일반적인 탑비 형식과 달리 귀부(龜趺)가 없고 대신 안상(眼象)[4] 6구를 새긴 장방형의 대석 위에 비를 세웠으며, 비좌(碑座)에는 큼직한 복련(覆蓮)을 둘렀다.[5] 이수에는 여의주를 중심으로 다투는 듯 두 마리의 용이 좌우 대칭으로 자리 잡고 그 사이를 운문(雲文)으로 채운 형태가 전후면에 거의 동일하게 나타난다. 전면에는 ⌂형으로 액(額)[6]을 마련 후 '능가보월탑비(楞迦寶月塔碑)' 라는 전액(篆額)을 새겼다.[7]
1963년 보물 제34호로 지정되었다.[8]
비문
비문은 마멸과 결락이 심하여 판독에 어려움이 많으며, 그로 인해 연구자마다 각기 다른 판독문을 제시하고 있다.[9] 비문에는 수철화상의 출생에서 입적 및 조탑(造塔) 경위가 기록되어 있으며, 수철화상은 실상사에서 입적하였으나 원래는 심원사(深源寺)의 승려이었기 때문에 비문에는 '심원사□□□국사수철화상(深源寺□□□國師秀澈和尙)'으로 쓰여 있다.[10]
비문의 찬자에 대한 추정
현재까지 이 비문의 찬자는 정확히 알 수 없는데, 일각에서는 비문에 남아있는 관직명과 문체를 토대로 비문의 찬자를 최치원(崔致遠)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그 근거로는 당대 최고의 문필가와 서법가가 비문을 짓는다는 점과, 그들이 역임한 직함을 있던 그대로 사용한다는 점과, 그들의 글짓는 습관이 비문에 나타난다는 점이다.[11]
그러나 이러한 주장에 대하여 반론이 제기되고 있다. 이전에 작성된 변려문(騈儷文)[12]의 진수를 보여주는 최치원의 글에 비하여 수철화상탑비의 수준이 그에 못 미친다는 것이다. 또한 최치원이 898년 정월 해인사 중창과 관련된 글을 찬술한 시점에는 사실상 관직에서 물러나 은거하던 상태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해당 비문이 찬술된 시점인 905년 경에는 최치원이 중국에 사신으로 파견되었기 때문에 비문을 작성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13]
비문 보러가기 |
• 하일식, "심원사 수철화상비", 『한국금석문집성 13: 신라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13-24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3: 신라9 비문9", |
• "실상사수철화상능가보월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
지식관계망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수철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남원 실상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 ↑ 비석의 뒷면에 새긴 글.
- ↑ 하일식, "심원사 수철화상비", 『한국금석문집성13 : 신라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13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13 : 신라9 비문9",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안상연에 새겨진 눈 모양의 장식.
- ↑ 김응현,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현판.
- ↑ "(정기조사) 보물 제34호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2012).pdf", 보존방안 목록,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비문 판독은 다음의 연구를 참조할 수 있다. 추만호, 「심원사 수철화상 능가보월탑비의 금석학적 분석」, 『역사민속학』1, 한국역사민속학회, 1991, 266-307쪽.; 정병삼, "심원사 수철화상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제3책,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정선종, 「실상사 수철화상탑비의 음기와 중건에 대하여」, 『불교문화연구』11, 남도불교문화연구회, 2009, 173-200쪽.; 하일식, "심원사 수철화상비", 『한국금석문집성13 : 신라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 ↑ 김응현,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추만호, 「심원사 수철화상 능가보월탑비의 금석학적 분석」, 『역사민속학』1, 한국역사민속학회, 1991, 289-293쪽.
- ↑ 한문 문체의 일종. 문장이 4자와 6자를 기본으로 한 대구(對句)로 이루어져 수사적(修辭的)으로 미감(美感)을 주는 문체로, 변(騈)은 한 쌍의 말이 마차를 끈다는 뜻이고, 여(儷)는 부부라는 뜻이다. "변려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최경선, 「〈영원사수철화상비 〉의 판독과 찬자(撰者)·서자(書者)에 대한 검토」, 『역사와현실』101, 한국역사연구회, 2016, 220-221쪽.
참고문헌
- 추만호, 「심원사 수철화상 능가보월탑비의 금석학적 분석」, 『역사민속학』1, 한국역사민속학회, 1991, 266-307쪽.
- 정병삼, "심원사 수철화상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제3책,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 정선종, 「실상사 수철화상탑비의 음기와 중건에 대하여」, 『불교문화연구』11, 남도불교문화연구회, 2009, 173-200쪽.
- 최경선, 「〈영원사수철화상비 〉의 판독과 찬자(撰者)·서자(書者)에 대한 검토」, 『역사와현실』101, 한국역사연구회, 2016, 201-236쪽.
- 김응현,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하일식, "심원사 수철화상비", 『한국금석문집성 13: 신라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13-24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3: 신라9 비문9",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정기조사) 보물 제34호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2012).pdf", 보존방안 목록,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실상사수철화상능가보월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