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 국문 유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유용한 자료) |
(→『선조 국문 유서』의 소장과정) |
||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로마자명칭= Seonjo Gukmun Yuseo | |로마자명칭= Seonjo Gukmun Yuseo | ||
|영문명칭= King Seonjo’s writing to his people written in Korean while he was in retreat at Uiju during the Imjin Wars | |영문명칭= King Seonjo’s writing to his people written in Korean while he was in retreat at Uiju during the Imjin Wars | ||
− | |작자= 선조 | + | |작자= [[조선 선조|선조]] |
|작성시기= 1593년 | |작성시기= 1593년 | ||
|간행시기= 조선후기 | |간행시기= 조선후기 | ||
|간행처= | |간행처= | ||
|기탁처= 권이도 기탁 | |기탁처= 권이도 기탁 | ||
− | |소장처= 부산시립박물관, 보물 제951호 | + | |소장처= [[부산시립박물관]], 보물 제951호 |
|청구기호= | |청구기호= | ||
|유형= 고문서 | |유형= 고문서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 }} | ||
</noinclude> | </noinclude> | ||
− | |||
− | |||
=='''정의'''== | =='''정의'''== | ||
− | [[임진왜란]] | + | [[임진왜란]] 중이던 1593년(선조 26) [[조선 선조|선조]]가 [[의주]]에 피신해 있을 당시 백성들에게 내린 한글 교서이다. |
=='''내용'''== | =='''내용'''== | ||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 ||
− | + | 장지에 10행 429자로 작성한 필사본이며, ‘[[유서지보|유서지보(諭書之寶)]]’가 세 군데 찍혀 있다. [[임진왜란]] 당시 많은 조선인이 포로가 된 후 왜군에 협력했는데, [[조선 선조|선조]]는 이들이 쉽게 읽을 수 있는 한글 교서를 반포함으로써 포로가 된 백성을 회유해 돌아오게 하였다. 이 유서는 [[조선 선조|선조]]가 한양으로 돌아오기 한 달 전에 내려진 것인데, 당시 [[김해성]]을 지키던 장수 [[권탁|권탁(權卓, 1544년-1593년)]]은 이 문서를 가지고 적진에 침투해 적병 수십 명을 죽이고 포로 100여 명을 구출해 돌아왔다. 이 교서는 [[권탁]]의 후손이 보관하다가 1854년(철종 5) 김해시 흥동에 [[어서각|어서각(御書閣)]]이 건립되면서 이곳에 보관되었다. 유서의 내용은 강제로 왜인에게 붙들려 간 백성은 죄를 묻지 않는다는 것과 왜군을 잡아오거나 왜군의 정보를 알아오는 사람, 또는 포로로 잡힌 우리 백성들을 설득해 데려오는 사람에게는 천민, 양민을 가리지 않고 벼슬을 내린다는 것이었다. 이 자료를 통해 [[임진왜란]] 당시의 상황을 엿볼 수 있으며, 당시 사용된 한글의 용례를 확인할 수 있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92-93쪽.</REF> | |
− | ===『 | + | ===『[[선조 국문 유서]]』의 소장과정=== |
− | 『 | + | 『[[선조 국문 유서]]』는 당시 김해수성장(金海守城將)이었던 [[권탁|권탁(權卓)]]이 지니고 있던 것을 집안 대대로 전해 오다가 철종 6년(1855)에 김해시 흥동(興洞)에 [[권탁]]을 기리는 현충사(顯忠祠)를 지으면서 곁에 세워진 [[어서각|어서각(御書閣)]]에 봉안되었다. 1975년 7월에 이 문서를 도난당했다가 1년 반 뒤에 다시 찾았다. 1975년에 지방 문화재로, 1988년 6월 16일에는 보물 제951호로 지정되었다. 2002년 5월부터 [[부산시립박물관]](현 부산광역시 부산박물관)에 대여 전시되고 있다.<ref>김유범, 「한글 고문서 <宣祖國文諭書>에 대하여」, 『국어사연구』, Vol 18, 2014, 194-195쪽.</ref> 『[[선조 국문 유서]]』는 임진왜란 시기인 1593년에 쓰인 한글 문서로 16세기와 17세기의 한국어 사용 현실을 잘 보여주고 있어 어학적으로 가치가 있다<ref>이병근, 「〈선조 국문 유서〉의 국어학적 의의」, 『冠嶽語文硏究』Vol 21,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6, 16-17쪽.</ref> |
+ | |||
+ | {{연계자원정보 | ||
+ | |연계자원1=[[선조 국문 유서 (해독)]] | ||
+ | |연계자원2= | ||
+ | |연계자원3= | ||
+ | |연계자원4= | ||
+ | |연계자원5= | ||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 * '''선조 국문 유서 지식관계망''' | |
− | === | + | <html>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37/A03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선조]]|| | + | |[[선조 국문 유서]]||[[조선 선조]]||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A dcterms:creator B |
|- | |- | ||
− | |[[임진왜란]]||[[선조]]||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임진왜란]]||[[조선 선조]]||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 | ||
− | |[[임진왜란]]|| | + | |[[임진왜란]]||[[선조 국문 유서]]||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 | ||
− | |[[권탁]]|| | + | |[[권탁]]||[[선조 국문 유서]]||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 | ||
− | |[[권탁]]||[[안동 권씨]]||A는 B에 포함된다|| | + | |[[권탁]]||[[안동 권씨]]||A는 B에 포함된다||A dcterms:isPartOf B |
|- | |- | ||
− | |[[안동 권씨]] | + | |[[선조 국문 유서]]||[[안동 권씨]]||A는 B에 소장되었다||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선조 국문 유서]]||[[어서각]]||A는 B에 소장되었다||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선조 국문 유서]]||[[부산시립박물관]]||A는 B에 소장되었다||A edm:currentLocation B |
|} | |} | ||
59번째 줄: | 70번째 줄: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 + | |1592년||[[임진왜란]]이 일어났다 |
|- | |- | ||
− | |2002년 | + | |1593년||[[선조 국문 유서]]가 작성되었다 |
+ | |- | ||
+ | |1593년-1855년||[[선조 국문 유서]]는 [[안동 권씨]]가 소장하고 있었다 | ||
+ | |- | ||
+ | |1855년-2002년||[[선조 국문 유서]]는 [[어서각]]에 소장되었다 | ||
+ | |- | ||
+ | |2002년-현재||[[선조 국문 유서]]는 [[부산시림박물관]]에 소장되었다 | ||
|} | |} | ||
89번째 줄: | 106번째 줄: | ||
===더 읽을 거리=== | ===더 읽을 거리=== | ||
*논문 | *논문 | ||
− | **이병근, 「〈선조 국문 유서〉의 국어학적 의의」, | + | **이병근, 「〈선조 국문 유서〉의 국어학적 의의」, 『冠嶽語文硏究』Vol 21,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6, 16-17쪽. |
− | **김유범, 「한글 고문서 <宣祖國文諭書>에 대하여」, 『국어사연구』 | + | **김유범, 「한글 고문서 <宣祖國文諭書>에 대하여」, 『국어사연구』 Vol 18, 국어사학회, 2014, 193-218쪽. |
− | + | *웹자원 | |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9510000,21 선조 국문 유서]",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9510000,21 선조 국문 유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
+ | [[분류:전시자료]] [[분류:문헌]] | ||
[[분류:장원석]] | [[분류:장원석]] | ||
[[분류:이창섭]] | [[분류:이창섭]] | ||
− |
2017년 12월 8일 (금) 22:38 기준 최신판
선조 국문 유서 | |
한자명칭 | 宣祖 國文 諭書 |
---|---|
영문명칭 | King Seonjo’s writing to his people written in Korean while he was in retreat at Uiju during the Imjin Wars |
작자 | 선조 |
작성시기 | 1593년 |
간행시기 | 조선후기 |
기탁처 | 권이도 기탁 |
소장처 | 부산시립박물관, 보물 제951호 |
유형 | 고문서 |
크기(세로×가로) | 80×40㎝ |
판본 | 필사본 |
수량 | 1章 |
표기문자 | 한글, 한자 |
목차
정의
임진왜란 중이던 1593년(선조 26) 선조가 의주에 피신해 있을 당시 백성들에게 내린 한글 교서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장지에 10행 429자로 작성한 필사본이며, ‘유서지보(諭書之寶)’가 세 군데 찍혀 있다. 임진왜란 당시 많은 조선인이 포로가 된 후 왜군에 협력했는데, 선조는 이들이 쉽게 읽을 수 있는 한글 교서를 반포함으로써 포로가 된 백성을 회유해 돌아오게 하였다. 이 유서는 선조가 한양으로 돌아오기 한 달 전에 내려진 것인데, 당시 김해성을 지키던 장수 권탁(權卓, 1544년-1593년)은 이 문서를 가지고 적진에 침투해 적병 수십 명을 죽이고 포로 100여 명을 구출해 돌아왔다. 이 교서는 권탁의 후손이 보관하다가 1854년(철종 5) 김해시 흥동에 어서각(御書閣)이 건립되면서 이곳에 보관되었다. 유서의 내용은 강제로 왜인에게 붙들려 간 백성은 죄를 묻지 않는다는 것과 왜군을 잡아오거나 왜군의 정보를 알아오는 사람, 또는 포로로 잡힌 우리 백성들을 설득해 데려오는 사람에게는 천민, 양민을 가리지 않고 벼슬을 내린다는 것이었다. 이 자료를 통해 임진왜란 당시의 상황을 엿볼 수 있으며, 당시 사용된 한글의 용례를 확인할 수 있다.[1]
『선조 국문 유서』의 소장과정
『선조 국문 유서』는 당시 김해수성장(金海守城將)이었던 권탁(權卓)이 지니고 있던 것을 집안 대대로 전해 오다가 철종 6년(1855)에 김해시 흥동(興洞)에 권탁을 기리는 현충사(顯忠祠)를 지으면서 곁에 세워진 어서각(御書閣)에 봉안되었다. 1975년 7월에 이 문서를 도난당했다가 1년 반 뒤에 다시 찾았다. 1975년에 지방 문화재로, 1988년 6월 16일에는 보물 제951호로 지정되었다. 2002년 5월부터 부산시립박물관(현 부산광역시 부산박물관)에 대여 전시되고 있다.[2] 『선조 국문 유서』는 임진왜란 시기인 1593년에 쓰인 한글 문서로 16세기와 17세기의 한국어 사용 현실을 잘 보여주고 있어 어학적으로 가치가 있다[3]
연계 자원 보러 가기 |
• 선조 국문 유서 (해독) |
지식 관계망
- 선조 국문 유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선조 국문 유서 | 조선 선조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임진왜란 | 조선 선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임진왜란 | 선조 국문 유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권탁 | 선조 국문 유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권탁 | 안동 권씨 | A는 B에 포함된다 | A dcterms:isPartOf B |
선조 국문 유서 | 안동 권씨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선조 국문 유서 | 어서각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선조 국문 유서 | 부산시립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592년 |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
1593년 | 선조 국문 유서가 작성되었다 |
1593년-1855년 | 선조 국문 유서는 안동 권씨가 소장하고 있었다 |
1855년-2002년 | 선조 국문 유서는 어서각에 소장되었다 |
2002년-현재 | 선조 국문 유서는 부산시림박물관에 소장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5.129623 | 129.092841 | 선조 국문 유서는 부산시립박물관에서 보관되고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92-93쪽.
- ↑ 김유범, 「한글 고문서 <宣祖國文諭書>에 대하여」, 『국어사연구』, Vol 18, 2014, 194-195쪽.
- ↑ 이병근, 「〈선조 국문 유서〉의 국어학적 의의」, 『冠嶽語文硏究』Vol 21,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6, 16-17쪽.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병근, 「〈선조 국문 유서〉의 국어학적 의의」, 『冠嶽語文硏究』Vol 21,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6, 16-17쪽.
- 김유범, 「한글 고문서 <宣祖國文諭書>에 대하여」, 『국어사연구』 Vol 18, 국어사학회, 2014, 193-218쪽.
- 웹자원
- "선조 국문 유서",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선조 국문 유서", 문화재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