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오승윤-구미전자공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
 
}}
 
=='''정의'''==
 
=='''정의'''==
[[구미국가산업단지]] 중 [[구미1공단]]에서 이루어진 전자공업의 작업 광경을 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오승윤]] 화백의 민족기록화.<br/>
+
[[구미국가산업단지|구미1공단]] 전자공업단지의 작업 광경을 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오승윤]]의 민족기록화이다.
[[구미국가산업단지]]는 1968년 8월 구미 지역을 지방공업개발 장려지구로 지정함에 따라 형성되었다. 1969년 3월에 착수하여 1973년 12월에 준공된 [[구미1공단]]은 섬유단지로 출발한 일반단지와 전자단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지 면적은 1,022만 3,000㎡ 에 달한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766 구미국가산업단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10월 28일.</ref><br/>
 
  
 
=='''설명'''==
 
=='''설명'''==
===작품 소재===
+
===작품 배경===
작품의 소재는 [[구미국가산업단지]] [[구미1공단]] 이루어진 전자공업 작업 광경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작품의 제작시기(1975년)가 [[구미1공단]]의 준공 시기(1973년 12월)와 가깝고, 컴퓨터와 반도체단지인 [[구미2공단]]은 1977년 7월에 착공하여 1983년 2월에 완공되었기 때문에 시기적으로 [[구미1공단]]을 다루었을 것이라 판단되기 때문이다.<br/>
+
[[구미국가산업단지]]는 1968년 8월 구미 지역을 지방공업개발 장려지구로 지정함에 따라 형성되었다. 1969년 3월에 착수하여 1973년 12월에 준공된 [[구미국가산업단지|구미1공단]]은 섬유단지로 출발한 일반단지와 전자단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지 면적은 1,022만 3,000㎡에 달한다.<ref>박양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766 구미국가산업단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10월 28일.</ref><br/>
1960년대 후반 전자산업을 주축으로 한 전문단지 개발과 함께 당시 국가주력산업이던 대구 지역의 섬유산업과 연계된 수출전략산업 육성이 우리나라 경제발전의 핵심과제로 두드러지면서 이들 산업을 위한 공단 조성은 필연적이었다. 이에 따라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 한 풍부한 인적자원과 낙동강으로부터 양질의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측면에서 구미 지역은 최적지의 공단 지역으로 선정되었다.<br/>
+
 
[[구미국가산업단지]] 조성의 시발이라 할 수 있는 [[구미1공단]]은 섬유업종을 중심으로 하는 일반단지와 전자업종을 중심으로 하는 전자단지로 조성되었다.<ref>"[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201802 구미1공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1960년대 후반 전자산업을 주축으로 한 전문단지 개발과 국가주력사업이었던 대구 지역의 섬유산업 공단 조성은 우리나라 경제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었다. 이에 따라 구미 지역은 대구를 중심으로 한 풍부한 인적자원과 낙동강으로부터 양질의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는 면에서 최적지로 선정되었다. 그 결과 [[구미국가산업단지]] 조성의 시발이라 할 수 있는 [[구미1공단]]은 섬유업종을 중심으로 하는 일반단지와 전자업종을 중심으로 하는 전자단지로 조성되었다.<ref>신호균,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201802 구미1공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작품의 소재는 전자공업 작업이며, 작품의 배경은 [[구미국가산업단지]] 중 [[구미국가산업단지|구미1공단]]으로 추정된다. 이는 작품의 제작 시기(1975년)가 [[구미국가산업단지|구미1공단]]의 준공 시기(1973년 12월)와 가깝고, 컴퓨터와 반도체단지인 [[구미국가산업단지|구미2공단]]은 1977년 7월에 착공하여 1983년 2월에 완공되었기 때문이다.
  
 
===그림 읽기===
 
===그림 읽기===
26번째 줄: 27번째 줄:
 
<imagemap>
 
<imagemap>
 
파일:오승윤-구미전자공업-1975s.jpg  | 오승윤 「구미전자공업」 1975|800px|center
 
파일:오승윤-구미전자공업-1975s.jpg  | 오승윤 「구미전자공업」 1975|800px|center
poly 177 195 358 202 505 207 585 210 680 217 675 255 692 332 670 395 650 397 637 402 622 415 600 417 602 420 587 425 575 434 517 419 485 444 470 441 430 471 400 494 398 507 337 522 303 509 302 497 307 487 308 476 300 459 292 451 275 442 250 451 260 466 257 474 245 502 200 504 182 481 157 477 192 431 130 303 97 256 137 233 135 209 155 196 185 196 188 196 [[소양강댐]]
 
poly 70 90 168 145 200 153 252 178 257 177 257 170 263 168 265 176 275 185 265 193 677 195 723 147 786 153 793 152 793 80 70 92 70 92 [[소양호]]
 
 
</imagemap>
 
</imagemap>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font color="red">'''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font>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79/C079.htm "구미전자공업(오승윤)"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79/C07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오승우]]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 [[오승윤-구미전자공업]] || [[오승우]]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  ||[[구미1공단]]||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오승윤-구미전자공업]] || [[구미국가산업단지]]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구미1공단]] ||[[구미시]]|| A는 B에 위치한다 ||  
+
| [[구미국가산업단지]] || [[경제개발 5개년계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구미국가산업단지]] ||[[구미1공단]]|| A는 B를 포함한다 ||
+
| [[경제개발 5개년계획]] || [[박정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51번째 줄: 54번째 줄: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1975년 || [[오승우]]가 {{PAGENAME}}을 그렸다
+
| 1969년 3월-1973년 12월 || [[구미국가산업단지|구미1공단]]이 준공되었다
 +
|-
 +
| 1975년 || [[오승우]]가 [[오승윤-구미전자공업]]을 그렸다
 +
|-
 +
| 1977년 7월-1983년 2월 ||  [[구미국가산업단지|구미2공단]]이 준공되었다
 +
|-
 
|}
 
|}
  
 
===공간정보===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현대 기업의 탄생 전자지도'''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36.1179973 || 128.3637253|| [[구미1공단]]은 [[구미시]]에 위치한다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s://dh.aks.ac.kr/Encyves/Map/C010/C010.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html>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88번째 줄: 96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현실===
<font color="red">'''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font>
 
  
 
===갤러리===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center>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오승윤-구미전자공업_73년항공촬영.jpg|1973년 [[구미국가산업단지]] 항공뷰<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Y&archiveEventId=0014613960 구미전자공업단지(항공촬영)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오승윤-구미전자공업_근로자작업광경.jpg|1973년 [[구미국가산업단지]] 근로자 작업광경<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Y&archiveEventId=0014428618 구미전자공단근로자작업광경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gallery>
  
 
===영상===
 
===영상===
 +
*'''[kculturechannel] 구미국가산업단지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게시일: 2012년 9월 4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gTH7t3BjhQw"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주석'''==
 
=='''주석'''==
98번째 줄: 113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웹 자원
 +
#* 박양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766 구미국가산업단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10월 28일.
 +
#* 신호균,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201802 구미1공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용한 정보===
 +
# "[http://theme.archives.go.kr/next/industry/delegate1970C.do 1970년대_구미국가산업단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산업단지개발』<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현대]][[분류:광공업]]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49 기준 최신판


구미전자공업
오승윤-구미전자공업-1975s.jpg
작가 오승윤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광공업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구미1공단 전자공업단지의 작업 광경을 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오승윤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배경

구미국가산업단지는 1968년 8월 구미 지역을 지방공업개발 장려지구로 지정함에 따라 형성되었다. 1969년 3월에 착수하여 1973년 12월에 준공된 구미1공단은 섬유단지로 출발한 일반단지와 전자단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지 면적은 1,022만 3,000㎡에 달한다.[1]

1960년대 후반 전자산업을 주축으로 한 전문단지 개발과 국가주력사업이었던 대구 지역의 섬유산업 공단 조성은 우리나라 경제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었다. 이에 따라 구미 지역은 대구를 중심으로 한 풍부한 인적자원과 낙동강으로부터 양질의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는 면에서 최적지로 선정되었다. 그 결과 구미국가산업단지 조성의 시발이라 할 수 있는 구미1공단은 섬유업종을 중심으로 하는 일반단지와 전자업종을 중심으로 하는 전자단지로 조성되었다.[2]

작품의 소재는 전자공업 작업이며, 작품의 배경은 구미국가산업단지구미1공단으로 추정된다. 이는 작품의 제작 시기(1975년)가 구미1공단의 준공 시기(1973년 12월)와 가깝고, 컴퓨터와 반도체단지인 구미2공단은 1977년 7월에 착공하여 1983년 2월에 완공되었기 때문이다.

그림 읽기

오승윤 「구미전자공업」 1975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오승윤-구미전자공업 오승우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오승윤-구미전자공업 구미국가산업단지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구미국가산업단지 경제개발 5개년계획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경제개발 5개년계획 박정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69년 3월-1973년 12월 구미1공단이 준공되었다
1975년 오승우오승윤-구미전자공업을 그렸다
1977년 7월-1983년 2월 구미2공단이 준공되었다

공간정보

  • 현대 기업의 탄생 전자지도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kculturechannel] 구미국가산업단지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게시일: 2012년 9월 4일)

주석

  1. 박양춘, "구미국가산업단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10월 28일.
  2. 신호균, "구미1공단",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구미전자공업단지(항공촬영)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4. "구미전자공단근로자작업광경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박양춘, "구미국가산업단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10월 28일.
    • 신호균, "구미1공단",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유용한 정보

  1. "1970년대_구미국가산업단지", 『산업단지개발』online, 국가기록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