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정창섭-인천항제2도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용 및 참조)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3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
 
}}
 
=='''정의'''==
 
=='''정의'''==
[[인천항]]은 조석간만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갑문식 도크]]를 설치하였는데, 조석간만의 차가 심한 항만에서 선박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수위를 조정하기 위한 구조물을 [[갑문]]이라 한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5272docId=1056757&cid=40942&categoryId=32191 갑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 온라인 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br/>
+
1966년 6월에 착공하여 1974년 5월 10일에 완공된 [[인천항 도크#인천항 제2도크|인천항 제2도크]] 공사 장면을 담은 [[정창섭]]의 민족기록화이다.<br/>
[[갑문식 도크]]로는 아시아 최대 규모인(세계 5위) [[인천항 도크]]는 [[인천항 제1도크]]와 [[인천항 제2도크]]로 이루어져 있는데, 해당 작품은 1966년 6월에 착공하여 1974년 5월 10일에 완공된 [[인천항 제2도크]] 공사 장면을 담고 있다.<br/>
 
189억원이 투자되었고, 300만 명의 인부가 동원된 [[인천항 제2도크]]의 완공에 따라, 대형 선박 25척이 부두까지 들어와 하역을 할 수 있게 되면서 인천항에서 조수간만의 차에 구애받지 않고 대형 선박 출입 가능하게 되었다.<br/>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해당 작품의 소재는 [[인천항 제2도크]]로, 작품 오른편에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묘사되어 있는데, 실제로 [[인천항 제2도크]]에는 [[경부고속도로]] 서울-대전 간만큼의 콘크리트가 사용되었다고 한다.<ref>정경숙, "[http://goodmorning.incheon.go.kr/board/54/1911979?curPage=&codeNm=2015/07&codeText=%EA%B9%8C%EC%B9%98%EB%B0%9C%EB%A1%9C%20%EB%B3%B8%20%EC%9D%B8%EC%B2%9C 멀어진 바다, 사라진 비린내]", 『굿모닝인천』, 2015년 07월 06일.</ref><br/>
+
[[인천항]]은 조석간만(潮汐干滿)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갑문식 도크]]를 설치하였다. [[갑문|갑문(閘門)]]이란 조석간만의 차가 심한 항만에서 선박이 통과할 수 있도록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물을 말한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5272docId=1056757&cid=40942&categoryId=32191 갑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인천항 도크]]는 [[갑문식 도크]]로는 아시아 최대 규모(세계 5위)이다. [[인천항]]은 [[인천항 도크#인천항 제1도크|인천항 제1도크]]와 [[인천항 도크#인천항 제2도크|인천항 제2도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위해 189억원이 투자되고 300만 명의 인부가 동원되었다. [[인천항 도크#인천항 제2도크|인천항 제2도크]]의 완공으로 대형 선박 25척이 한꺼번에 부두까지 들어와 하역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인천항은 조수간만의 차에 구애받지 않고 대형 선박의 출입이 가능해졌다.
오른편에는 크레인이 상공으로 끌어올리고 있는 철재 상판 위의 노동자를 묘사되어 있는데, 그가 번쩍 들어올린 오른손은 동양 최대의 투자비용(189억)과 규모를 자랑하는 [[인천항]]을 자랑스럽게 가리키고있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87-88쪽.</ref>
+
<br/>
 +
<br/>
 +
정창섭의 [[인천항 도크#인천항 제2도크|인천항 제2도크]]는 작품 오른편에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묘사되어 있는데, 실제로 [[인천항 도크#인천항 제2도크|인천항 제2도크]]에는 [[경부고속도로]] 서울-대전 간 공사 투입량만큼의 콘크리트가 사용되었다고 한다.<ref>정경숙, "[http://goodmorning.incheon.go.kr/board/54/1911979?curPage=&codeNm=2015/07&codeText=%EA%B9%8C%EC%B9%98%EB%B0%9C%EB%A1%9C%20%EB%B3%B8%20%EC%9D%B8%EC%B2%9C 멀어진 바다, 사라진 비린내]", 『굿모닝인천』, 2015년 07월 06일.</ref> 또한 오른편에는 크레인이 상공으로 끌어올리고 있는 철재 상판 위에서 작업중인 노동자가 묘사되어 있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87-88쪽.</ref>
  
 
===작품 배경===
 
===작품 배경===
28번째 줄: 28번째 줄: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imagemap>
 
<imagemap>
파일:정창섭-인천항제2도크-1973s.jpg|정창섭 「인천항제2도크」 1973|800px|center
+
파일:정창섭-인천항제2도크-1973s.jpg|정창섭 「인천항제2도크」 1973|800px|center  
rect 226 96 270 225 [[이성계]]
 
rect 517 142 564 292 [[이오로첩목아]]
 
poly 535 95 604 89 604 75 626 68 654 74 657 84 715 68 715 58 751 44 755 13 697 1 792 6 791 116 761 106 733 79 720 121 694 121 689 108 681 130 622 138 580 133 550 124 543 118 541 115 [[오녀산성]]
 
 
</imagemap>
 
</imagemap>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사진"  heights=150px>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사진"  heights=150px>
38번째 줄: 35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font color="red">'''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font>
+
*'''[https://dh.aks.ac.kr/Encyves/Graph/C103/C103.htm "인천항제2도크(정창섭)" 지식관계망]'''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정창섭-인천항도크.htm 임시]
+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정창섭-인천항도크.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103/C10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정창섭]]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3년
+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정창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PAGENAME}}  ||[[인천항도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PAGENAME}} ||[[인천항 제2도크]]||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인천항 도크#인천항 제2도크|인천항 제2도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PAGENAME}}  ||[[인천항]]||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인천항]]||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인천항도크]] || [[인천항 제1도크]] || A는 B를 포함한다  ||  
+
|[[인천항 도크]] || [[인천항 도크#인천항 제2도크|인천항 제2도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인천항도크]] || [[인천항 제2도크]] || A는 B를 포함한다  ||  
+
|[[인천항 도크]] || [[인천항 도크#인천항 제1도크|인천항 제1도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인천항도크]] || [[인천항]] || A는 B에 위치한다 ||  
+
| [[인천항 도크]] || [[인천항]]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갑문식 도크]]|| [[인천항도크]] || A는 B를 포함한다  ||  
+
| [[인천항 도크]] || [[갑문식 도크]]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
 
|}
70번째 줄: 66번째 줄: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1973년 || [[정창섭]]이 {{PAGENAME}}제작하였다.
+
|1973년 || [[정창섭]]이 [[정창섭-인천항제2도크]]그렸다
 +
|-
 +
| 1883년 || [[인천항]]이 개항하였다
 +
|-
 +
| 1918년 || [[인천항 도크#인천항 제1도크|인천항 제1도크]]가 준공되었다
 +
|-
 +
| 1974년 ||  [[인천항 도크#인천항 제2도크|인천항 제2도크]]가 준공되었다
 
|-
 
|-
 
|}
 
|}
78번째 줄: 80번째 줄: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37.463812|| 126.625059 ||[[인천항]]은 [[인천항도크]]가 위치한 곳이다  
+
|37.463812|| 126.625059 ||[[인천항]]은 [[인천항 도크]]가 위치한 곳이다  
 
|-
 
|-
 
|}
 
|}
96번째 줄: 98번째 줄:
 
파일:김원-해안사방-1975s.jpg |[[김원-해안사방]]
 
파일:김원-해안사방-1975s.jpg |[[김원-해안사방]]
 
파일:박영선-현충사-1973s.jpg |[[박영선-현충사]]
 
파일:박영선-현충사-1973s.jpg |[[박영선-현충사]]
파일:손응성-불국사(복원)-1973s.jpg |[[손응성-불국사(복원)]]
+
파일:손응성-불국사(복원)-1973s.jpg |[[손응성-불국사]]
 
</gallery>
 
</gallery>
  
 
=='''시각자료'''==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현실===
<font color="red">'''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font>
 
  
 
===갤러리===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정창섭-인천항제2도크_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시회개관식참석.jpg|박정희 대통령 뒤에 걸린 정창섭-인천항제2도크<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28741&dsid=000000000003&gubun=search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시회개관식참석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gallery>
  
 
===영상===
 
===영상===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983호-인천항 도크 준공(게시일: 2016년 12월 7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wwPs2ksUgQg"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722호-우리는 건설한다(게시일: 2016년 11월 16일)''' - 41초~ : 인천항 2도크 축조 공사 모습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O1IfF1jdqr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주석'''==
 
=='''주석'''==
112번째 줄: 124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
# 논문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7102 인천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3월 19일.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 웹 자원
 +
#* 한주성,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7102 인천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3월 19일.
 +
#* 정경숙, "[http://goodmorning.incheon.go.kr/board/54/1911979?curPage=&codeNm=2015/07&codeText=%EA%B9%8C%EC%B9%98%EB%B0%9C%EB%A1%9C%20%EB%B3%B8%20%EC%9D%B8%EC%B2%9C 멀어진 바다, 사라진 비린내]", 『굿모닝인천』, 2015년 07월 06일.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5272docId=1056757&cid=40942&categoryId=32191 갑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현대]][[분류:건설/교통]]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57 기준 최신판


인천항제2도크
정창섭-인천항제2도크-1973s.jpg
작가 박항섭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건설/교통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1966년 6월에 착공하여 1974년 5월 10일에 완공된 인천항 제2도크 공사 장면을 담은 정창섭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인천항은 조석간만(潮汐干滿)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갑문식 도크를 설치하였다. 갑문(閘門)이란 조석간만의 차가 심한 항만에서 선박이 통과할 수 있도록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물을 말한다.[1] 인천항 도크갑문식 도크로는 아시아 최대 규모(세계 5위)이다. 인천항인천항 제1도크인천항 제2도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위해 189억원이 투자되고 300만 명의 인부가 동원되었다. 인천항 제2도크의 완공으로 대형 선박 25척이 한꺼번에 부두까지 들어와 하역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인천항은 조수간만의 차에 구애받지 않고 대형 선박의 출입이 가능해졌다.

정창섭의 인천항 제2도크는 작품 오른편에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묘사되어 있는데, 실제로 인천항 제2도크에는 경부고속도로 서울-대전 간 공사 투입량만큼의 콘크리트가 사용되었다고 한다.[2] 또한 오른편에는 크레인이 상공으로 끌어올리고 있는 철재 상판 위에서 작업중인 노동자가 묘사되어 있다.[3]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인천항이다.

그림 읽기

정창섭 「인천항제2도크」 1973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정창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인천항 제2도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인천항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인천항 도크 인천항 제2도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인천항 도크 인천항 제1도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인천항 도크 인천항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인천항 도크 갑문식 도크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3년 정창섭정창섭-인천항제2도크를 그렸다
1883년 인천항이 개항하였다
1918년 인천항 제1도크가 준공되었다
1974년 인천항 제2도크가 준공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463812 126.625059 인천항인천항 도크가 위치한 곳이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983호-인천항 도크 준공(게시일: 2016년 12월 7일)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722호-우리는 건설한다(게시일: 2016년 11월 16일) - 41초~ : 인천항 2도크 축조 공사 모습

주석

  1. "갑문",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정경숙, "멀어진 바다, 사라진 비린내", 『굿모닝인천』, 2015년 07월 06일.
  3.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87-88쪽.
  4.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시회개관식참석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5.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시회개관식참석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논문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 웹 자원
    • 한주성, "인천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3월 19일.
    • 정경숙, "멀어진 바다, 사라진 비린내", 『굿모닝인천』, 2015년 07월 06일.
    • "갑문", 『doopedia』online,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