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3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탑비정보
 
{{탑비정보
|사진=
+
|사진=BHST_Jeongtosaji_hongbeob_stele_front_resolution.jp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대표명칭=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영문명칭=  
+
|영문명칭= Stele for State Preceptor Hongbeop from Jeongtosa Temple Site, Chungju
|한자=  
+
|한자= 忠州 淨土寺址 弘法國師塔碑
|이칭=  
+
|이칭= 정토사 홍법국사 실상탑비
|지정번호=  
+
|지정번호= 보물 제359호
|지정일=  
+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주소=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동 서빙고로 137
|위도=  
+
|위도= 37.523842
|경도=  
+
|경도= 126.980459
|찬자=
+
|찬자= [[손몽주|손몽주(孫夢周)]]
|서자=  
+
|서자= 미상
|각자=
+
|각자= 미상
|서체=
+
|서체= [[해서|해서(楷書)]]
|승려=
+
|승려= [[홍법|홍법(弘法)]]
 +
|건립연대= 1017년
 
|승탑=[[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승탑=[[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비문=[[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문]]
 
 
}}
 
}}
  
 
=='''정의'''==
 
=='''정의'''==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충주 정토사지|충주 정토사지(忠州 淨土寺址)]]에 있었던 고려시대의 승려 [[홍법|홍법국사(弘法國師)]]의 [[탑비]].
  
 
=='''내용'''==
 
=='''내용'''==
 
===개요===
 
===개요===
  
 +
이 비는 1963년 보물 제359호로 지정되었으며, 전체 높이 375㎝, 비신(碑身)<ref>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ref>  높이 222㎝, 너비 105㎝, 두께 22.5㎝이다.
 +
 +
비는 [[충주 정토사지|정토사 터]]에 있던 고려 전기의 선사 [[홍법|홍법국사(弘法國師)]]의 것이다. [[고려 성종|성종]] 때 '대선사(大禪師)'의 칭호가 내려지고, [[고려 목종|목종]] 때 [[국사|국사(國師)]]에 봉하여 [[서울 봉은사|봉은사(奉恩寺)]]에 머물렀다. 그 뒤 [[충주 정토사지|정토사(淨土寺)]]에 기거하다 입적하자, [[고려 목종|목종]]은 국서(國書)와 함께 돈과 재물을 내렸으며, 시호를 홍법(弘法), 탑 이름을 실상(實相)이라 하였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5 - 서울』, 돌베개, 200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7205&cid=42840&categoryId=42848 정토사 홍법국사 실상탑비]", 답사여행의 길잡이: 서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왕은 [[손몽주|손몽주(孫夢周)]]에게 비문을 짓게 하여 1017년([[고려 현종|현종]] 8)에 탑비를 건립하였다.<ref>정충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066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귀부|귀부(龜趺)]]·비신(碑身)·[[이수|이수(螭首)]] 모두가 완전하다. [[이수]] 앞면 가운데에 ‘實相之塔(실상지탑)’이라는 [[해서|해서(楷書)]]의 [[제액|제액(題額)]]이 있고, 비신 윗 부분에는 ‘開天山淨土寺故國師弘法大禪師之碑(개천산정토사고국사홍법대선사지비)’라는 [[제액|전액(篆額)]]이 있다.<ref>정충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066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비신에 새겨진 글자는 많은 부분이 마모되어 전체적인 비문의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우며,<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28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글씨는 2㎝ 정도의 [[구양순체|구양순체(歐陽詢體)]]의 [[해서|해서(楷書)]]이다.<ref>정충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066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이 비는 원래 [[충주 정토사지|정토사지(淨土寺址)]]에 있던 것으로, 1915년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忠州 淨土寺址 弘法國師塔)]]과 함께 경복궁으로 옮겨왔다. 2005년에 홍법국사탑과 탑비가 함께 옮겨져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다.<ref>정충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066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비문===
 
===비문===
  
 +
====전면====
 +
비문 앞면 내용은 [[홍법|홍법국사]]가 태어나 출가하여 중국에 건너가 여러 선지식을 예방하고 돌아와 [[광통 보제사|보제사(普濟寺)]] 등에서 교화를 폈으며 [[고려 성종|성종]]과 [[고려 목종|목종]]의 우대를 받고 입적하여 [[국사|국사(國師)]]에 추증(追贈)<ref>나라의 공로가 있는 벼슬아치가 죽은 뒤에 품계를 높여 주던 일.</ref>되었음을 기술하였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28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
====후면====
 +
후면에는 제자들을 열거하였는데, 승통(僧統), 삼중대사(三重大師)에 이어 재가제자(在家弟子)를 들었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28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
{{비문정보
 +
|비문1=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36-46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43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비문2="[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28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비문3=
 +
}}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와 홍법국사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38/stele_hongbeop_jeongto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 A는 B에 있다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홍법]]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 [[홍법]]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홍법]] || [[충주 정토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충주 정토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A는 B의 이름을 지었다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 [[충주 정토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손몽주]]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충주 정토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 A는 B와 관련있다 ||  
+
| [[충주 정토사지]] || [[충주 정토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
 +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현휘]]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시각자료'''==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주석'''==
 
=='''주석'''==
62번째 줄: 93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정충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066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5 - 서울』, 돌베개, 200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7205&cid=42840&categoryId=42848 정토사 홍법국사 실상탑비]", 답사여행의 길잡이: 서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28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교열완료]]

2022년 8월 19일 (금) 11:58 기준 최신판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忠州 淨土寺址 弘法國師塔碑)
BHST Jeongtosaji hongbeob stele front resolution.jpg
대표명칭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영문명칭 Stele for State Preceptor Hongbeop from Jeongtosa Temple Site, Chungju
한자 忠州 淨土寺址 弘法國師塔碑
이칭 정토사 홍법국사 실상탑비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동 서빙고로 137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359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찬자 손몽주(孫夢周)
서자 미상
각자 미상
서체 해서(楷書)
승려 홍법(弘法)
건립연대 1017년
승탑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충주 정토사지(忠州 淨土寺址)에 있었던 고려시대의 승려 홍법국사(弘法國師)탑비.

내용

개요

이 비는 1963년 보물 제359호로 지정되었으며, 전체 높이 375㎝, 비신(碑身)[1] 높이 222㎝, 너비 105㎝, 두께 22.5㎝이다.

비는 정토사 터에 있던 고려 전기의 선사 홍법국사(弘法國師)의 것이다. 성종 때 '대선사(大禪師)'의 칭호가 내려지고, 목종국사(國師)에 봉하여 봉은사(奉恩寺)에 머물렀다. 그 뒤 정토사(淨土寺)에 기거하다 입적하자, 목종은 국서(國書)와 함께 돈과 재물을 내렸으며, 시호를 홍법(弘法), 탑 이름을 실상(實相)이라 하였다.[2] 왕은 손몽주(孫夢周)에게 비문을 짓게 하여 1017년(현종 8)에 탑비를 건립하였다.[3]

귀부(龜趺)·비신(碑身)·이수(螭首) 모두가 완전하다. 이수 앞면 가운데에 ‘實相之塔(실상지탑)’이라는 해서(楷書)제액(題額)이 있고, 비신 윗 부분에는 ‘開天山淨土寺故國師弘法大禪師之碑(개천산정토사고국사홍법대선사지비)’라는 전액(篆額)이 있다.[4]

비신에 새겨진 글자는 많은 부분이 마모되어 전체적인 비문의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우며,[5] 글씨는 2㎝ 정도의 구양순체(歐陽詢體)해서(楷書)이다.[6]

이 비는 원래 정토사지(淨土寺址)에 있던 것으로, 1915년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忠州 淨土寺址 弘法國師塔)과 함께 경복궁으로 옮겨왔다. 2005년에 홍법국사탑과 탑비가 함께 옮겨져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다.[7]

비문

전면

비문 앞면 내용은 홍법국사가 태어나 출가하여 중국에 건너가 여러 선지식을 예방하고 돌아와 보제사(普濟寺) 등에서 교화를 폈으며 성종목종의 우대를 받고 입적하여 국사(國師)에 추증(追贈)[8]되었음을 기술하였다.[9]

후면

후면에는 제자들을 열거하였는데, 승통(僧統), 삼중대사(三重大師)에 이어 재가제자(在家弟子)를 들었다.[10]


비문 보러가기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36-46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지식관계망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와 홍법국사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홍법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홍법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A ekc:isStupaOf B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법 충주 정토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충주 정토사 A는 B에 있었다 A edm:formerLocation B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충주 정토사 A는 B에 있었다 A edm:formerLocation B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손몽주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충주 정토사지 충주 정토사 A는 B의 터이다 A edm:isRelatedTo B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현휘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2.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5 - 서울』, 돌베개, 2004. 온라인 참조: "정토사 홍법국사 실상탑비", 답사여행의 길잡이: 서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정충락,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정충락,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6. 정충락,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정충락,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나라의 공로가 있는 벼슬아치가 죽은 뒤에 품계를 높여 주던 일.
  9.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10.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