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각자료)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4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탑비정보
 
{{탑비정보
|사진=
+
|사진=BHST_jijeung_stele.jp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대표명칭=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영문명칭=  
+
|영문명칭= Stele for Buddhist Monk Jijeung at Bongamsa Temple, Mungyeong
|한자=  
+
|한자=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碑
|이칭=  
+
|이칭=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
|지정번호=  
+
|지정번호= 국보 제315호
|지정일=  
+
|지정일= 2010년 01월 04일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5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5
 
|위도= 36.700353
 
|위도= 36.700353
 
|경도= 128.005583
 
|경도= 128.005583
|찬자=
+
|찬자= [[최치원|최치원(崔致遠)]]
|서자=  
+
|서자= [[혜강|혜강(慧江)]]
|각자=
+
|각자= [[혜강|혜강(慧江)]]
|서체=
+
|서체= [[행서|행서(行書)]]
|승려=
+
|승려= [[도헌|도헌(道憲)]]
 +
|건립연대= 924년
 
|승탑=[[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승탑=[[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비문=[[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문]]
 
 
}}
 
}}
  
 
=='''정의'''==
 
=='''정의'''==
 
+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문경 봉암사|봉암사(鳳巖寺)]]에 있는 통일신라의 승려 [[도헌|지증대사 도헌(智證大師 道憲, 824-882)]]의 [[탑비]].
  
 
=='''내용'''==
 
=='''내용'''==
 
===개요===
 
===개요===
  
 +
이 비는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138호로 지정되었다가 2010년 1월 4일 국보 제315호로 승격되었다.<ref>박문각 시사상식편집부,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201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68186&cid=43667&categoryId=43667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 시사상식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비신의 높이는 2.73m, 너비는 l.64m, 두께는 23cm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0047 봉암사 지증대사적조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귀부|귀부(龜趺)]]와 [[이수|이수(螭首)]]가 완전히 보존되어 있고, [[귀부]]의 머리 부분은 이미 용두화(龍頭化)되어 있으며,<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0047 봉암사 지증대사적조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비석의 크기나 [[귀부]]와 [[이수]]의 조각수법 등이 통일신라 말기를 대표하는 전형적인 양식과 기법이다.<ref>정영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959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비문에 쓰여진 글씨는 자경 2㎝ 크기의 [[행서(行書)]]로 [[왕희지|왕희지(王羲之)]] 글씨의 영향을 받았다.<ref>정영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959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이 탑비는 [[희양산문|희양산문(曦陽山門)]]의 개창자인 [[도헌|지증대사(智證大師)]]의 것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3150000,37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도헌|지증대사]]가 882년([[신라 헌강왕|헌강왕]] 8)에 [[문경 봉암사|봉암사]]에서 41세의 나이로 입적하자, [[신라 헌강왕|헌강왕]]은 ‘지증(智證)’이라는 시호와 ‘적조(寂照)’라는 탑명을 내리고<ref>정영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959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885년에 왕명으로 [[최치원|최치원(崔致遠)]]에게 비문을 짓게 하였다. 893년([[신라 진성여왕|진성여왕]] 7) 무렵에 [[최치원]]이 비문을 완성하였고,<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2826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그 뒤 30여년이 지난 924년([[신라 경애왕|경애왕]] 1)에 [[경주 분황사|분황사(芬皇寺)]] 승려 [[혜강|혜강(慧江)]]이 비문을 쓰고 이를 새겨 건립하였다.<ref>정영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959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 비문은 [[최치원]]이 지은 [[사산비명|사산비명(四山碑銘)]]의 하나로 유명하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2826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비문===
 
===비문===
  
 +
비문에는 신라의 불교사를 3시기로 나누어 약술하고, [[도신|도신(道信)]]-[[쌍봉|쌍봉(雙峰)]]-[[법랑|법랑(法朗)]]-[[신행|신행(愼行)]]-[[준범|준범(遵範)]]-[[혜은|혜은(慧隱)]]-[[도헌|도헌(道憲)]]으로 이어지는 [[도헌|지증대사]]의 법계(法系)를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있어서 신라하대의 선종사(禪宗史) 연구의 중요한 사료가 된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3150000,37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저자 [[최치원]]은 [[고헌|지증대사]]의 일생 행적을 육이(六異, 여섯 가지의 신기하고 기이한 사실)와 육시(六是, 여섯 가지의 훌륭한 행적)로 정리하고, 예를 들어가며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는데 이는 다른 비문에서는 볼 수 없는 전기 서술의 한 특징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AC%B8%EA%B2%BD_%EB%B4%89%EC%95%94%EC%82%AC_%EC%A7%80%EC%A6%9D%EB%8C%80%EC%82%AC%ED%83%91%EB%B9%84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이 밖에도 신라시대 토지소유관계, 개인 소유의 논밭(田莊) 성격 등을 연구할 때에도 기초 자료로 적극 활용되고 있으며,<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2826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신라 하대의 인명, 지명, 관명, 사찰명, 제도, 풍속 등의 정보와 백제의 소도(蘇塗)<ref>삼한시대에 천신(天神)을 제사지낸 지역의 명칭.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2359 소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에 대한 기록도 적혀 있는데, 이는 백제 소도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국내 유일의 기록이다.<ref>박문각 시사상식편집부,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201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68186&cid=43667&categoryId=43667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 시사상식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비문정보
 +
|비문1="[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2826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비문2=
 +
|비문3=
 +
}}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47/stele_jijeung_bongam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 A는 B에 있다 ||
+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문경 봉암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A는 B의 이름을 지었다 ||
 
 
|-
 
|-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신라 헌강왕]] ||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 A dc:contributor B
 
|-
 
|-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도헌]]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최치원]]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혜강]]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 A는 B와 관련있다 ||  
+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혜강]]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A ekc:inscriber B
 
|-
 
|-
 +
| [[사산비명]]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47/Bongam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47/Bongam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
===영상===
 
+
* OPEN TV, "[https://www.youtube.com/watch?v=PNGDfGUUbvs (3D 입체영상)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YouTube, 게시일: 2016년 02월 08일.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PNGDfGUUbvs?ecver=2"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주석'''==
 
=='''주석'''==
62번째 줄: 93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박문각 시사상식편집부,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201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68186&cid=43667&categoryId=43667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 시사상식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정영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959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0047 봉암사 지증대사적조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3150000,37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2826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https://ko.wikipedia.org/wiki/%EB%AC%B8%EA%B2%BD_%EB%B4%89%EC%95%94%EC%82%AC_%EC%A7%80%EC%A6%9D%EB%8C%80%EC%82%AC%ED%83%91%EB%B9%84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교열완료]]

2017년 12월 21일 (목) 14:13 기준 최신판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碑)
BHST jijeung stele.jpg
대표명칭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영문명칭 Stele for Buddhist Monk Jijeung at Bongamsa Temple, Mungyeong
한자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碑
이칭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5
문화재 지정번호 국보 제315호
문화재 지정일 2010년 01월 04일
찬자 최치원(崔致遠)
서자 혜강(慧江)
각자 혜강(慧江)
서체 행서(行書)
승려 도헌(道憲)
건립연대 924년
승탑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정의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봉암사(鳳巖寺)에 있는 통일신라의 승려 지증대사 도헌(智證大師 道憲, 824-882)탑비.

내용

개요

이 비는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138호로 지정되었다가 2010년 1월 4일 국보 제315호로 승격되었다.[1] 비신의 높이는 2.73m, 너비는 l.64m, 두께는 23cm이다.[2]

귀부(龜趺)이수(螭首)가 완전히 보존되어 있고, 귀부의 머리 부분은 이미 용두화(龍頭化)되어 있으며,[3] 비석의 크기나 귀부이수의 조각수법 등이 통일신라 말기를 대표하는 전형적인 양식과 기법이다.[4]

비문에 쓰여진 글씨는 자경 2㎝ 크기의 행서(行書)왕희지(王羲之) 글씨의 영향을 받았다.[5]

이 탑비는 희양산문(曦陽山門)의 개창자인 지증대사(智證大師)의 것이다.[6] 지증대사가 882년(헌강왕 8)에 봉암사에서 41세의 나이로 입적하자, 헌강왕은 ‘지증(智證)’이라는 시호와 ‘적조(寂照)’라는 탑명을 내리고[7] 885년에 왕명으로 최치원(崔致遠)에게 비문을 짓게 하였다. 893년(진성여왕 7) 무렵에 최치원이 비문을 완성하였고,[8] 그 뒤 30여년이 지난 924년(경애왕 1)에 분황사(芬皇寺) 승려 혜강(慧江)이 비문을 쓰고 이를 새겨 건립하였다.[9] 이 비문은 최치원이 지은 사산비명(四山碑銘)의 하나로 유명하다.[10]

비문

비문에는 신라의 불교사를 3시기로 나누어 약술하고, 도신(道信)-쌍봉(雙峰)-법랑(法朗)-신행(愼行)-준범(遵範)-혜은(慧隱)-도헌(道憲)으로 이어지는 지증대사의 법계(法系)를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있어서 신라하대의 선종사(禪宗史) 연구의 중요한 사료가 된다.[11]

저자 최치원지증대사의 일생 행적을 육이(六異, 여섯 가지의 신기하고 기이한 사실)와 육시(六是, 여섯 가지의 훌륭한 행적)로 정리하고, 예를 들어가며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는데 이는 다른 비문에서는 볼 수 없는 전기 서술의 한 특징이다.[12]

이 밖에도 신라시대 토지소유관계, 개인 소유의 논밭(田莊) 성격 등을 연구할 때에도 기초 자료로 적극 활용되고 있으며,[13] 신라 하대의 인명, 지명, 관명, 사찰명, 제도, 풍속 등의 정보와 백제의 소도(蘇塗)[14]에 대한 기록도 적혀 있는데, 이는 백제 소도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국내 유일의 기록이다.[15]


비문 보러가기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지식관계망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문경 봉암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신라 헌강왕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A dc:contributor B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도헌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최치원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혜강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혜강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A ekc:inscriber B
사산비명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영상

주석

  1. 박문각 시사상식편집부,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2014. 온라인 참조: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 시사상식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봉암사 지증대사적조탑비", 『두산백과』online.
  3. "봉암사 지증대사적조탑비", 『두산백과』online.
  4. 정영식,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정영식,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7. 정영식,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9. 정영식,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0.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11.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12.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위키백과』online.
  13.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14. 삼한시대에 천신(天神)을 제사지낸 지역의 명칭. "소도", 『두산백과』online.
  15. 박문각 시사상식편집부,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2014. 온라인 참조: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 시사상식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