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착용상황)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옥대(왕실남성)|옥대(玉帶)(왕실남성)]]는 왕실 남성이 착용하는 복식이다.
{{복식정보
+
*[[옥대(왕실여성)|옥대(玉帶)(왕실여성)]]는 왕실 여성이 착용하는 복식이다.
|이미지=
 
|사진출처=
 
|대표명칭= 옥대
 
|한자표기= 玉帶
 
|이칭별칭=
 
|복식구분= 의복
 
|착용신분=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착용성별= 남성
 
|관련복식= [[면복 상의]], [[강사포]], [[곤룡포]]
 
|필드수= 7
 
}}
 
  
==정의==
+
[[분류:동음이의어]]
겉옷 위에 띠는 대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47쪽.</ref>
+
[[분류:프로젝트관리]]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등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조선 초기에는 면복용 옥대가 사용되지 않았으며 17세기 인조 때 처음 면복에 사용하기 시작했다. 전례서에는 18세기 정조 때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8841&cid=46649&categoryId=46649 사직서의궤](社稷署儀軌)』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6462&cid=46649&categoryId=46649 경모궁의궤](景慕宮儀軌)』에 옥대가 기록되기 시작했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48쪽.</ref>
 
 
 
===형태===
 
가죽으로 띠를 만들어 비단을 씌우고 그 위에 옥으로 된 과판을 붙여 장식한다. 왕의 옥대에는 대홍색 비단을, 왕세자의 옥대에는 흑색 비단을 사용했다. 왕의 옥대는 무늬를 아로새긴 옥으로 과판을 만들었다.
 
 
 
===기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항목A!!항목B!!관계
 
|-
 
| '''{{PAGENAME}}''' || [[왕]]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PAGENAME}}''' || [[왕세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PAGENAME}}''' || [[왕세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PAGENAME}}'''  || [[갓]] || A는 B에 착용한다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gallery>
 
 
 
===영상===
 
 
 
==주석==
 
<references/>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2017년 7월 12일 (수) 23:58 기준 최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