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 인각사 석불좌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유물유적정보 |
|사진= BHST_Ingaksa_Buddha.jpg | |사진= BHST_Ingaksa_Buddha.jpg |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 |대표명칭=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 ||
− | |영문명칭=Stone Seated Buddha of Ingaksa Temple, Gunwi | + | |한자표기= 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
− | | | + | |영문명칭= Stone Seated Buddha of Ingaksa Temple, Gunwi |
− | |지정번호=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39호 | + | |이칭= |
− | |지정일=2002년 8월 19일 | + | |유형= |
− | + | |시대= | |
+ |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39호 | ||
+ | |지정일= 2002년 8월 19일 | ||
|소장처=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612 | |소장처=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612 | ||
− | |경도= | + | |경도= 128.779299 |
− | |위도= | + | |위도= 36.127847 |
− | |||
− | |||
− | |||
− | |||
|수량= 1기 | |수량= 1기 | ||
+ | |관련인물= | ||
+ | |관련단체= | ||
+ | |관련장소= [[군위 인각사]] | ||
+ | |관련물품= | ||
+ | |관련유물유적= | ||
}} | }} | ||
− | |||
=='''정의'''== | =='''정의'''== | ||
− |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군위 인각사지|인각사]]에 봉안되어 있는 불상.<ref>주진령,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7066 군위인각사석불좌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군위 인각사지|인각사(麟角寺)]]에 봉안되어 있는 불상.<ref>주진령,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7066 군위인각사석불좌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내용'''== | =='''내용'''== | ||
− | + | 이 석불좌상은 전체 높이 약 153㎝, 불두 높이 약 53.5㎝, 어깨 폭 약 64㎝, 무릎 폭 약 97.5㎝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91641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전체 높이 약 153㎝, 불두 높이 약 53.5㎝, 어깨 폭 약 64㎝, 무릎 폭 약 97.5㎝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신체표현이나 의습선의 표현, 상호 표현 등 모든 면에서 부드럽게 처리하였다. | + | 신체표현이나 의습선의 표현, 상호 표현 등 모든 면에서 부드럽게 처리하였다. 머리에는 굵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그 위로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큼직하게 솟아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91641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얼굴은 전체적으로 통통하고 둥글한 윤곽에 눈코입이 작게 표현 되었으며, 특히 입이 작고 양 끝이 움푹하게 들어가 있어서 뺨이 더 통통하게 보인다. 양 귓불은 길게 늘어져 어깨까지 닿아 있고<ref>주진령,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7066 군위인각사석불좌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목에는 3개의 주름인 삼도(三道)<ref>심준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9403 삼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가 표현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91641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평행된 옷주름이 촘촘하게 물 흐르듯 새겨져 있으며, U자형으로 넓게 트인 가슴에는 속옷과 띠매듭이 드러나고 있다. 무릎사이에 부채꼴 모양으로 넓게 퍼진 옷주름은 양 팔뚝을 감싸고 흘러내린 대의(大衣)<ref>'삼의(三衣)'의 하나. 삼의 중 가장 큰 것을 말하며, 설법 등의 행사 때 입음</ref>의 주름과 겹쳐져 무릎 부근에서 크게 3단의 옷주름이 표현되어 있다. 손 모양은 오른손으로 [[촉지인|촉지인(觸地印)]]을 취하고 있고, 왼손으로 [[선정인|선정인(禪定印)]]을 취하였으며, 손 위에는 조그마한 구슬을 올려 놓았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3390000,37 군위인각사석불좌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불상 신체의 양감이 표현되지 않은 점, 경직된 어깨, 높고 짧은 양 무릎, 옷 전체에 | + | 불상 신체의 양감이 표현되지 않은 점, 경직된 어깨, 높고 짧은 양 무릎, 옷 전체에 등 간격으로 음각된 의습선 등으로 보아 양 무릎에 의습선을 표현하지 않거나 신체의 양감이 풍부하게 표현된 9세기의 불상과는 다르며, 또한 상호와 신체 등이 큼직하게 표현되기 시작한 고려의 불상과도 달라<ref>주진령,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7066 군위인각사석불좌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제작시기가 10세기에서 11세기 사이일 것으로 짐작되어 불상 양식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하게 이용될 수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91641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지식 관계망'''== | |
+ | *'''보각국사 일연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04/monk_bogak.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 [[ | + | |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 [[군위 인각사]] || A는 B에 있다 || |
|- |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 ||
+ | 파일:BHST_Ingaksa_Buddha.jpg | ||
+ | </gallery> | ||
=='''주석'''== | =='''주석'''== | ||
61번째 줄: | 58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주진령,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7066 군위인각사석불좌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91641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3390000,37 군위인각사석불좌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 | [[분류:불상]] |
2024년 4월 12일 (금) 00:42 기준 최신판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
|
대표명칭 |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
---|---|
한자표기 | 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
영문명칭 | Stone Seated Buddha of Ingaksa Temple, Gunwi |
지정번호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39호 |
지정일 | 2002년 8월 19일 |
소장처 |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612 |
수량 | 1기 |
관련장소 | 군위 인각사 |
|
정의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인각사(麟角寺)에 봉안되어 있는 불상.[1]
내용
이 석불좌상은 전체 높이 약 153㎝, 불두 높이 약 53.5㎝, 어깨 폭 약 64㎝, 무릎 폭 약 97.5㎝이다.[2]
신체표현이나 의습선의 표현, 상호 표현 등 모든 면에서 부드럽게 처리하였다. 머리에는 굵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그 위로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큼직하게 솟아 있다.[3] 얼굴은 전체적으로 통통하고 둥글한 윤곽에 눈코입이 작게 표현 되었으며, 특히 입이 작고 양 끝이 움푹하게 들어가 있어서 뺨이 더 통통하게 보인다. 양 귓불은 길게 늘어져 어깨까지 닿아 있고[4] 목에는 3개의 주름인 삼도(三道)[5]가 표현되었다.[6]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평행된 옷주름이 촘촘하게 물 흐르듯 새겨져 있으며, U자형으로 넓게 트인 가슴에는 속옷과 띠매듭이 드러나고 있다. 무릎사이에 부채꼴 모양으로 넓게 퍼진 옷주름은 양 팔뚝을 감싸고 흘러내린 대의(大衣)[7]의 주름과 겹쳐져 무릎 부근에서 크게 3단의 옷주름이 표현되어 있다. 손 모양은 오른손으로 촉지인(觸地印)을 취하고 있고, 왼손으로 선정인(禪定印)을 취하였으며, 손 위에는 조그마한 구슬을 올려 놓았다.[8]
불상 신체의 양감이 표현되지 않은 점, 경직된 어깨, 높고 짧은 양 무릎, 옷 전체에 등 간격으로 음각된 의습선 등으로 보아 양 무릎에 의습선을 표현하지 않거나 신체의 양감이 풍부하게 표현된 9세기의 불상과는 다르며, 또한 상호와 신체 등이 큼직하게 표현되기 시작한 고려의 불상과도 달라[9] 제작시기가 10세기에서 11세기 사이일 것으로 짐작되어 불상 양식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하게 이용될 수 있다.[10]
지식 관계망
- 보각국사 일연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 군위 인각사 | A는 B에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주진령, "군위인각사석불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두산백과』online . - ↑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두산백과』online . - ↑ 주진령, "군위인각사석불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심준보, "삼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두산백과』online . - ↑ '삼의(三衣)'의 하나. 삼의 중 가장 큰 것을 말하며, 설법 등의 행사 때 입음
- ↑ "군위인각사석불좌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주진령, "군위인각사석불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두산백과』online .
참고문헌
- 주진령, "군위인각사석불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두산백과』online . - "군위인각사석불좌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